• 제목/요약/키워드: Nodal st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Five-year Survival Associated with Stage I Gastric Cancer after Resection of Early Recurrence at Nodal Station No. 14v: a Case Report

  • Abe, Iku;Kinoshita, Takahiro;Kaito, Akio;Sunagawa, Hideki;Watanabe, Masahiro;Sugita, Shizuki;Tonouchi, Akiko;Sato, Re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7권2호
    • /
    • pp.186-191
    • /
    • 2017
  • The role of nodal station No. 14v (along the superior mesenteric vein) in lymphadenectomy for distal gastric cancer remains elusive. A 73-year-old woman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gastric cancer, and was referred to our division for additional surgery because of pathologically non-curative resection. A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ith D1+ dissection was performed, with a final diagnosis of pT1bN1M0, Stage IB (2 nodal metastases to No. 6). Four months post-surger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14-mm solitary nodule along the superior mesenteric vein. The lesion was excised and pathologically identified as a lymph node metastasis. Adjuvant chemotherapy with tegafur-gimeracil-oteracil potassium (S-1) was administered for the metastasis. Presently the patient survives without recurrence, 5.5 years after the second opera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lymphatic flow from the No. 6 to the No. 14v nodal station. Some patients with a No. 6 metastasis may benefit from a No. 14v lymphadenectomy, even in early-staged disease.

지하철 접근성 증가의 공간적 파급효과 산출모형 개발 (Model Development for the Spatial Diffusion Effect Estimation of Nodal Accessibility Increment in the Subway Network)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7-149
    • /
    • 1998
  • 교통망의 확충계획이 있거나 확충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그로 인한 직접적인 접근성 증가와 더불어 교통망의 개선에 따른 접근성 증가의 주변지역으로의 파급효과를 정확히 신출할 수 있다면 지역 전체의 접근성 공간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되어 교통을 포함한 각종 지역계획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그래프이론에 기반을 둔 접근성 측정모형에 의해 산출되는 결정점의 접근성 증가가 주변지역으로 파급되는 효과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특히 결정점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으로 거리가 멀어지면서 변화하는 지하철 접근도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지하철역의 접근도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정도는 주변지역에서 그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정도와 일치한다고 보고 주변지역의 지하철역 이용밀도를 기반으로 수학적 함수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최근 지리적 분석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GIS기법에 접목시켜 지표현상의 설명에 핵심이 되는 접근성의 공간적 보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 PDF

Lymph Node Status afte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ccording to Radiation Field Coverage

  • Kim, Sang Yoon;Park, Samina;Park, In Kyu;Kim, Young Tae;Kang, Cha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5호
    • /
    • pp.353-359
    • /
    • 2019
  • Background: To explore the effect of radiation on metastatic lymph nodes (LNs) after neo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nCRT), we examined the metastatic features of LNs according to their inclusion in the radiation field. Methods: The patient group included 88 men and 2 women, with a mean age of $61.1{\pm}8.1$ years, who underwent esophagectomy and lymphadenectomy after nCRT. Dissected LNs were compared in terms of clinical suspicion of metastasis, nodal station, and inclusion in the radiation field. Results: LN positivity did not differ between LNs that were inside (in-field [IF]) and outside (out-field [OF]) of the radiation field (IF: 40 of 465 [9%], OF: 40 of 420 [10%]; p=0.313). In clinical N+ nodal stations, IF stations had a lower incidence of metastasis than OF stations (IF/cN+: 16 of 142 [11%], OF/cN+: 9/30 [30%]; p=0.010). However, in clinical N- nodal stations, pathological positivity was not affected by whether the nodal stations wer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 (IF/cN-: 24 of 323 [7%], OF/cN-: 31 of 390 [8%]; p=0.447). Conclusion: Radiation therapy for nCRT could downstage clinically suspected nodal metastasis. However, such therapy was ineffective when used to treat nodes that were not suspicious for metastasis. Because significant numbers of residual metastases were identified irrespective of coverage by the radiation field, lymphadenectomy should be performed to ensure complete removal of residual nodal metastases after nCRT.

절제된 IIIA N2 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Nodal Station의 의의 (Nodal Station as a Prognostic Factor in Resected Stage II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대준;김길동;김치영;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89-496
    • /
    • 2003
  • 절제된 IIIA N2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종격동임파절의 전이 양상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비소세포형 폐암으로 폐엽절제술 이상의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와 수술 사망 환자를 제외한 17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자였다. 결과: 상엽 종양에서 하부 종격동임파절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은 32.3%로서,하부 종격동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 25.6%와 차이가 없었다(p=0.86). 하엽 종양에서 상부 종격동임파절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은 25.1%로, 상부 종격동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 14.1%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33). 전체 환자 중 subcarinal node로의 전이에 따른 생존율의 비교시 전이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20.9% vs 25.6%, p=0.364). 전이된 종격동임파절의 station수에 따른 비교 시 single station군의 5년 생존율은 26.3%로, multiple station군의 18.3%보다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8). Multiple station군에 있어서 수술 후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경우 5년 생존율 34.2%로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다(p=0.01). 수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연령 $\geq$60세(O.R: 1.682, p=.006), multiple station N2 (O.R: 1.503, p=.021), 전페절제술(O.R: 1.562, p=.018),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O.R: 0.625, p=.012)등이 있었다. 결론: 절제된 IIIA N2 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전이된 종격동임파절 부위의 수(single vs multiple station)가 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였으며, multiple station N2의 경우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위도 검조자료를 이용한 최저-최고 천문조위 추정 오차 분석 (Analysis on the Estimation Error of the Lowest and Highest Astronomical Tides using the Wido Tidal Elevation Data)

  • 정신택;윤종태;조홍연;고동휘;강금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01-108
    • /
    • 2016
  • 해상풍력 발전시설은 국제적인 설계기준조위로 최고천문조위(highest astronomical tide, HAT)와 최저천문조위(lowest astronomical tide, LAT)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설계기준조위로 약최고고조위(AHHW)와 약최저저조위(ALLW) 기준을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국제적인 설계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 발전시설 후보 해역인 위도에서의 HAT, LAT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도에서 가용한 31년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HAT, LAT 기준조위를 추정하였으며, 추정에 사용한 자료의 신뢰수준을 검토하기 위하여 장기 태음분조에 해당하는 18.61년 주기의 Nodal 변동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Nodal 보정을 고려하지 않은 연간 $M_2$, $O_1$, $K_1$ 분조의 진폭변화는 뚜렷한 18.61년 주기를 보여 조화분석 결과가 적절하게 추정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HAT, LAT 신뢰구간의 상한 및 하한으로 최종 추정한 HAT, LAT 조위는 AHHW, ALLW 기준조위에 비하여 각각 +40 cm, -35 cm 정도로 파악되었다.

첨두강우강도를 고려한 우수관로 및 빗물펌프장의 설계용량 검토 (Study on Design Capacity of Stormwater Pipe and Pumping Station considering Peak Rainfall Intensity)

  • 정건희;심규범;김응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9호
    • /
    • pp.777-787
    • /
    • 2014
  • 불투수지역이 대부분인 도시유역의 경우, 우수관을 통한 우수의 배제가 유출시스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도시지역의 우수관로 및 빗물펌프장의 용량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강우빈도해석을 통해 계산된 빈도별 강우를 Huff시간분포 등을 사용하여 일괄적으로 시간 분포시켜 유출을 계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게릴라성 호우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평균적인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의 불확실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계강우사상의 첨두강우강도가 가지는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설계강우사상을 시간 분포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이며, 실제 본 연구의 적용지역인 가산1빗물펌프장의 설계에 사용된 Huff 2분위 방법과 과거 발생한 실제 강우사상들을 이용한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역 내 지체효과가 거의 없는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총강우량보다는 첨두강우강도에 의해 유역 내 홍수가 유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총강우량이 같다고 하더라도, 첨두강우강도에 따라 상류 우수관의 범람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같은 빈도의 설계강우량이라고 해도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에 더 큰 첨두강우강도를 가지므로 더욱 두드러졌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설계강우사상를 시간분포시킴에 의해 야기되는 첨두강우강도의 불확실성이라고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정량화 및 고려가 도시지역의 유출시스템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N2병기 환자들에서 다발 부위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른 N2병기 구분의 임상적 의미 (Division of the N2 Stage According to the Multiplicity of the Involved Nodal Stations May be Necessary in the N2-NSCLC Patients Who are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 윤홍인;김용배;이창걸;이익재;김송이;김준원;김주항;조병철;이진구;정경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3호
    • /
    • pp.126-132
    • /
    • 2009
  • 목 적: 비소세포성 폐암 림프절 병기 N2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8년 2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후 병기 N2로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1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구간절제술(segmentectomy) 및 폐엽절제술(lobectomy)를 시행받은 환자는 75명(67%), 전폐절제술(pneumonectomy)을 시행 받은 환자는 37명(33%)였다. 절제연 음성인 환자는 94명(83.9%)이었고, 근접절제연 및 절제연 양성인 환자는 모두 18명(16.1%)이었다.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103명(92%)의 환자에서 항암치료가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의 분할선량은 1.8에서 2 Gy로 총선량은 45에서 66 Gy가(중앙값, 54 Gy)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환자의 2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60.2%와 44.7%였다. 예후 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종격동 림프절 부위(nodal station)의 전이가 단일 부위(single-station)인 환자에 비해 다발 부위(multiple-station)일 때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47, p=0.007). T병기가 3기 이상일 때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01, p=0.025). 종양크기가 5 cm 이상이거나 림프혈관침윤이 양성인 경우 의미 있는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고(p=0.035, p=0.034), 무병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Cox-regression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상 전이된 종격동 림프절 부위의 다발 부위 여부와 T병기가($\geq$T3) 생존율(p=0.046, p<0.001)과 무병생존율(p=0.005, p=0.033)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인자들이었다. 치료후 재발한 환자는 71명(63.4%)이었고, 국소재발은 23명(20.5%), 원격전이는 62명(55.4%), 그리고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진단된 환자는 14명(12.5%)이었다. 결 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절제된 N2 병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전이된 종격동 림프절 부위의 수가 다발 부위인 경우는 중요한 예후 인자로 향후 N2 병기와 관련된 하위 분류 연구와 그에 적절한 보조 요법에 대한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INTERFACE CONFIGURATION OF OVERSEA STATIONS AND OPERATION PLAN FOR KOMPSAT-2 LEOP

  • Baek Hyun-Chul;Kim Hae-Dong;Ahn Sang-Il;Kim Eun-Kyo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57-560
    • /
    • 2005
  •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KOMPSAT -2) will be launched into a circular sun synchronous orbit in Dec. 2005. For the mission operation of the KOMPSAT-2 satellite, KARl Ground Station (KGS) consists of the Mission Control Elements (MCE), Image Reception & Processing Elements (IRPE) and the overseas stations. For the oversea stations, the Kongsberg Satellite Services (KSAT) is the prime supplier of support service. KSAT has the capability to provide Tracking Telemetry and Commanding (TT&C) nominal, contingency and anomaly support for every single orbit for most polar orbiting satellites. Also KSAT provides nodal service through the network management functionality for all oversea ground sta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oversea stations and the support for Launch and nominal TT&C services for KOMPSAT-2 and the operation plan for KOMPSAT-2.

  • PDF

The Significance of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in Lung Adenocarcinoma

  • Kim, Jae Jun;Hyun, Kwanyong;Park, Jae Kil;Moon, Seok Wh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35-344
    • /
    • 2015
  • Background: A raise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may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pathology during the postoperative follow-up of lung adenocarcinom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5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s for primary lung adenocarcinoma at a single institution between April 2006 and February 2013. Results: Preoperative CEA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smoking history, pathologic stage including pT (pathologic tumor stge), pN (pathologic nodal stage) and overall pathological stage, tumor size and differentiation, pathologically positive total lymph node, N1 and N2 lymph node, N2 nodal station (0/1/2=1.83/2.94/7.21 ng/mL, p=0.019),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0.591 in group with normal preoperative CEA levels vs. 0.40 in group with high preoperative CEA levels, p=0.001). Preoperative CE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ostoperative CEA levels (p<0.001, Wilcoxon signed-rank test). Postoperative CEA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free survival (p<0.001). A follow-up serum CEA value of >2.57 ng/mL was found to be the appropriate cutoff value for the prediction of cancer recurrence wi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71.4% and 72.3%, respectively. Twenty percent of patients who had recurrence of disease had a CEA level elevated above this cutoff value prior to radiographic evidence of recurrence. Postoperative CEA, pathologic stage, differentiation, vascular invasion, and neoadjuvant therapy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5-year disease-free survival in a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he follow-up CEA level can be a useful tool for detecting early recurrence undetected by postoperative imaging studies. The perioperative follow-up CEA levels may be helpful for providing personalized evaluation of lung adenocarcinoma.

Limited Clinical Significance of Splenectomy and Splenic Hilar Lymph Node Dissection for Type 4 Gastric Cancer

  • Kunitomo, Aina;Misawa, Kazunari;Ito, Yuichi;Ito, Seiji;Higaki, Eiji;Natsume, Seiji;Kinoshita, Takashi;Abe, Tetsuya;Komori, Koji;Shimizu, Yasuhir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4호
    • /
    • pp.392-402
    • /
    • 2021
  • Purpose: Type 4 gastric cancer (GC) has a very poor prognosis even after curative resection, and the survival benefit of splenectomy for splenic hilar lymph node (LN; #10) dissection in type 4 GC remains equivocal.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plenectomy for #10 dissection in patients with type 4 GC.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of a total of 56 patients with type 4 GC who underwent total gastrectomy with splenectomy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Postoperative morbidity, state of LN metastasis, survival outcomes, and therapeutic value index (TVI) of each LN station were evaluated. TVI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ncidence of LN metastasis at each nodal station and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of patients who had metastasis to each node. Results: Overall, the postoperative morbidity rate was 28.6%, and the incidence of #10 metastasis in the patients was 28.6%. The 5-year OS rate for all patients was 29.9%, and most patients developed peritoneal recurrence. Moreover, the 5-year OS rates with and without #10 metastasis were 6.7% and 39.1% (median survival time, 20.4 vs. 46.0 months; P=0.006). The TVI of #10 was as low as 1.92. Conclusion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plenectomy in the dissection of #10 for type 4 GC is limited and splenectomy for splenic hilar dissection alone should be omit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