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V GII.17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Detec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norovirus from individual septic tanks in the drainage basin of the coastal area located in the Jaran Bay of Korea

  • Ham, In Tae;Kim, Byeo Ri;Park, Yu Jeong;Jung, Yeun Joong;Park, Kunbawui;Kwon, Ji Young;Mok, Jong Soo;Yu, Hongsi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10-18
    • /
    • 2021
  • Norovirus (NoV) prevalence was investigated in 100 sewage samples collected from 35 individual septic tanks around the drainage basin of Jaran Bay, Korea in January, May, and July of 2017. Genotypes and diversity of NoV strains detected in sewage samples were also assessed using the conventional RT-PCR and phylogenetic analysis. NoV GI or GII were detected in 22 (22.0%) and 24 (24.0%) samples, respectively. Thirteen genotypes were identified with three dominant genotypes (GI.9, GII.5 and GII.17) and GII.17 showed relatively higher prevalence during the survey period. GII.17 strains were clustered into recombinant type variant or NoV GII.17 Kawasaki variant. NoV GII.17 strains were considered emergent epidemic variants with widespread circulation. NoV surveillance strategy should include both environmental (sewage) and clinical data to reveal minor NoV genotypes likely cause of asymptomatic or underreported infections in the local population.

Prevalence of GII.4 Sydney 2012 and Recombinant GII.3P[12] Noroviruses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in Hospitalized Children in Thailand, 2015-2017

  • Manowong, Areerat;Chanta, Chulapong;Chan-it, Wisoot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26-134
    • /
    • 2022
  • Norovirus (NoV) is an important pathogen causing acute gastroenteritis worldwi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V. A total of 408 stool specimens collected from hospitalized children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in Chiang Rai, Thailand, 2015-2017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sence of NoVs by RT-PCR. NoV GII was detected in 32 samples (7.8%). Five distinct genotypes were identified, including GII.4 (13/32, 40.6%), GII.3 (11/32, 34.3%), GII.17 (4/32, 12.5%), GII.2 (2/32, 6.3%), and GII.14 (2/32, 6.3%). NoV infection occurred mostly in young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31/32, 96.9%) and showed the main peak in summer months from March to April (18/32, 56.3%).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all 13 GII.4 strains clustered with GII.4 Sydney 2012 variant. Representative GII.3 strains were analyzed as a recombinant GII.3P[12] strain. Several amino acid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ntigenic epitopes and antibody binding sites of the VP1 capsid of the GII.3P[12]. Homology modeling of the P domain of the GII.3P[12] strain demonstrated that 10/13 amino acid differences were predicted to be located on the surface-exposed area of the capsid structure. These amino acid changes might affect the infectivity and the antigenicity of the recombinant GII.3P[12]. The prevalence of GII.4 Sydney 2012 and recombinant GII.3P[12] strains indicates the genetic diversity of circulating NoVs in Thailand, emphazing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surveillance to mornitor newly emerging NoV strains in the future.

Molecular Epidemiology of Norovirus in Asymptomatic Food Handlers in South Korea

  • Lee, Jeong Su;Jeong, Min Hee;Ju, Si Yeon;Kang, Kyung Ah;Joo, In S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55-459
    • /
    • 2017
  • 노로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모든 연령에게 급성 장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체이다. 본 연구는 국내 식품업계의 식품종사자를 대상으로 무증상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성을 조사하였다. 2,729명의 식품종사자에서 29명(1.06%)이 무증상 노로바이러스로 확인되었고 이 중 5명(17.24%)은 노로바이러스 GI 양성이었고 24명(82.76%)은 노로바이러스 GII 양성이었다. 특히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계통 분석에서 GII-4 유전자형이 가장 유행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수의 무증상 식품종사자는 노로바이러스 GII-4 에 감염되어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증상 식품종사자가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잠재적인 전파 원인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노로바이러스 예방에 대한 식품업체의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무증상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부산지역에서 분리된 norovirus 유전자형 연구 (Study on Norovirus Genotypes in Busan, Korea)

  • 김남호;박은희;박연경;민상기;진성현;박소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5-850
    • /
    • 2011
  •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 동안 부산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 위장관염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4,101건 중 426건(10.4%)에서 노로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연도별 검출현황은 2008년에 14.7%(222/1,506), 2009년에 6.9%(95/1,384), 2010년에 9.0%(109/1,211)로 나타났다. 월별 분석 결과는 2008년에는 3월에 35.7%(50/140)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2009년 역시 3월에 21.9%(23/105)로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1월에 23.8%(29/122)로 높은 검출율을 보여 겨울절기에 노로바이러스가 유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매해 7-8월 여름절기에는 노로바이러스가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연령별 로는 1세 영아군과 13-19세 중등학생군에서 각각 20.9%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2-6세 소아군에서 17.5%, 20-29세군에서 13.4%, 7-12세 초등학생군에서 12.7%, 30-39세군에서 9.1%, 0세 신생아군에서 8.7%, 50-59세군에서 7.2%, 60-69세군과 70세이상군에서 각각 6.7%, 40-49세 4.5%로 확인되었다. 노로바이러스 양성 검체 340건에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GI군 7종류, GII군 13종류로 총 20종류가 검출되어 다양한 유전자형의 노로바이러스들이 유행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부산지역에서는 GI군이 21.8%(76/348), GII군이 78.2%(272/348)로 GII군이 우세하여 유행하였고, 유전자형 총 20종 중 GII.4형이 49.1%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일개 이차병원에서 동정된 소아 급성 위장염 원인 병원체의 분자진단과 역학의 임상적 연구 (Molecular Detection and Epidemiology of Etiologic Agents among Children with Acute Gastroenteritis at a Secondary Hospital from 2015 to 2018)

  • 김영상;정주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2호
    • /
    • pp.90-101
    • /
    • 2020
  • 목적: 급성 위장염의 대부분의 경우 원인 병원체가 확인되지 않는다. 최근 들어 발달한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검사는 장염 병원체 검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multiplex RT-PCR을 이용해, 소아 장염환자에서 병원체의 역학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5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대한민국 서울의 2차병원에서 급성 위장염으로 진단받은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병원체를 확인하기 위해 multiplex RT-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바이러스 병원체에 대한 1,366개의 대변 검체 중, 483개(35.3%)에서 1개 이상의 병원체가 분리되었다. A군 로타바이러스는 106건(7.8%)에서 확인되었으며, 양성률은 3.0% (8/263)에서 16.7% (48/288)까지 매년 증가했다(P<0.001). 노로바이러스 GII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성 병원체였고(263/1366, 19.3%), 3년간 양성률은 증가하지 않았다. 세균성 병원체에 대한 304개의 대변 검체 중 캄필로박터(32/304, 10.5%)는 가장 흔한 세균성 병원체였으며, 그 다음으로 Clostridium difficile (toxin B) (22/304, 7.2%), 살모넬라균(17/304, 5.6%)이었다. 이 균들의 양성률은 연구기간 동안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 로타바이러스 백신 도입 이후 노로바이러스 GII가 소아 장염에서 주요한 병원체였지만, 연구기간 동안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증가했고, 특히 2018년에는 급증했다. 따라서 새로운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등장 가능성을 포함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캄필로박터는 소아 세균성 장염의 주요 원인이며, 적절한 치료를 위해 이 균의 임상적 특성을 고려하고 지속적 감시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