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zschia closterium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6초

금호강의 이화학적 조건과 식물성 Plankton에 따른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pollution of the physio-chemical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of the Gumho River.)

  • 강회양;차상은;박선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
    • /
    • 1982
  •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 of Gumho river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chemical conditions and water quality level by phytoplankton was examined at 7 sampling positions during the period from Aug. 1 to Nov. 30, 1981. Examination of physio-chemicat water analysis such as temperature, pH, DO, BOD, and biological analysis are as follows: 1. pH was in the range of 6.6-7.3. 2. At all positions DO was0.5-11.9 mg/l. But at Shinchun bridge and Gangchang was 0.5-3.9 mg/l. 3. BOD was in the range of 3.4-29.2 mg/l. Banyawol, Dongchon and Gumdan was shown good condition. But at Shinchun bridge was 21.1-29.2 mg/l. 4. The plankton identification in this study period showed, Cyanophyceae is 7 genera 13 species, Bacillariophyceae is 11 genera 32 species, and Chlorophceae is 17 genera 27 species: total 35 genera 72 species. 5. In the point of phytoplankton classification, upper stream of Banyawol, Dongchon and Gumdan which BOD was 3.4-8.7 mg/l, dominant phytoplanktons were Synedra ulna, Ulothrix sp., Oscillatoria sp. and Frusturia rhomboides. At Shinchun bridge which BOD was 21.1-29.2 mg/l, Microcystis aeruginosa, Closterium acerosum and Oscillatoria sp were found a small. At 3rd gongdan which BOD was 9.2-12.5 mg/l, dominant species were Synedra ulna, Hormidium sp and Actinastrum hantzschii. At Paldal which BOD was 7.8-9.2 mg/l, dominant species were Nitzschia palea, Synedra ulna and Scenedesmus bijuga. At Gangchang of down stream which BOD was 6.9-9.2 mg/l, dominant phytoplanktons were Closterium acerosum, Microcystis aeruginosa and Actnastrum hantzschii. 6. The results of biological water analysis by saprobic system were as follows: Banyawol was from olig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Dongchon and Gumdan was from $\beta$-mesosaprobic to $\beta$-mesosaprobic, Shinchun bridge was polysaprobic, 3rd gongdan was from $\alpha$-mesosaprobic to $\beta$-polysaprobic, Paldal was $\beta$-polysaprobic and Gangchang was $\alpha$-polysaprobic.

  • PDF

인위적인 동물플랑크톤 첨가에 따른 중형 폐쇄생태계 내 플랑크톤 변동 (The Effect of Enhanced Zooplankton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Plankton in a Mesocosm)

  • 강정훈;김웅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9
    • /
    • 2006
  • 2001년 가을철 대발생 시기에 인위적으로 상승 첨가된 동물플랑크톤이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형폐쇄생태계를 이용한 연구가 남해안의 장목만에서 연구되었다. 2500리터 용량의 폴리에틸렌 백 4개에 현장 해수를 채운 후, 현장에서 플랑크톤 네트(망목: $300{\mu}m$)로 수직 예인하여 얻은 동물플랑크톤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 구가 대조구보다 6배 높도록 조성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대조구와 실험구 폐쇄생태계 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one-way ANOVA, p>0.05). 대조구와 설험구에서 배양 초기 높은 값을 나타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엽록소-a는 실험 종료시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대표한 우점 분류군은 규조류로서 Skeletonema costatum, Pseudo-nitzschia seriata, Chaetoceros curvisetus, Ch. debilis, Cerataulina pelagica, Thalassiosira pacifica, Cylindrotheca closterium과 Leptocylindrus danicus로 구성되었다. 배양 10일째에 대조구와 실험구에서 최대를 나타낸 야광충은 중형동물플랑크톤 총 개체수 변화를 주도한 최 우점종 이었고, 다음으로 우점한 분류군으로 배양 7일째에 최대를 나타낸 요각류였다. 배양초기에는 인위적 첨가로 인해 실험구안의 요각류 개체수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나, 이후에는 실험 종료 시까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조절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실험구내의 유즐동물과 메듀사의 개체수와 길이분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던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런데 초식자인 요각류의 개체수가 상위포식자에 의해 감소한 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시 증가하는 연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요 초식자인 요각류 Acartia erythraea가 식물플랑크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그 이유로 A. erythraea의 낮은 초식률, 식물플랑크톤의 빠른 침강으로 인한 조우 기회 감소, 그리고 질소결핍 환경으로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