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ous compound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방사무늬김 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Dried Layer, Porphyra yezoensis)

  • 박춘규;박철훈;박정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4-402
    • /
    • 2001
  • 한국 근해에서 양식되고 있는 김류의 함질소엑스성분조성 및 월별변동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4월까지 전남 장흥군에서 양식된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을 매월 1회씩 채취하여 건제품으로 가공한 다음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 소엑스성분 즉,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등을 분석하였다. 엑스분질소함량은 $976\~1,196\;mg/100\;g$ (건물)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28\~31$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5,648\~6,845mg/100g$ (건물)이었다.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으로서는 alanine, glutamic acid, taurine, phosphoserine. aspartic acid 등이었다. 결합아미노산은 가수분해후 $18\~22$종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총량은 $1,194\~1,406mg/100g$ (건물)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총량의 $19.6\sim22.9\%$ 수준으로서 중요한 함질소 엑스성분이었다 ATP관련화합물총량은 $111.6\~195.5mg/100g\;(3.30\~6.00{\mu}mol/g$, 건물)수준이었다. Betaine류는 마른 김에서 homar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trigonelline은 1월 시료에서만 확인되었다.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 및 $\gamma$-butyrobetaine은 가공과정 중 소실되었다. TMA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TMA는 일부시료에서만 확인되었다. 방사무늬김은 생야을 건제품으로 가공함으로서 유리아미노산은 증가하고 결합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ATP관련화합물은 증가한 반면 TMAO와 TMA, betaine류는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잇바디돌김 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Dried Layer, Porphyra dentata)

  • 박춘규;박철훈;박정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3-411
    • /
    • 2001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양식 생산되고 있는 김류의 함질소엑스 성분조성 및 월별 변동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1월부터 4월까지 월별로 전남 장홍군 지선에서 양식된 잇바디돌김, Porphyra dentata를 매월 1회씩 채취하여 건제품으로 가공한 다음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함질소엑스성분, 즉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등을 분석하여 전보에서 분석한 잇바디돌김 초촌과 비교하였다. 엑스분질소량은 $670\~1,304mg/100g$ (건물)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28-29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2,796\~6,277mg/100g$ (건물)이었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lanine, taurine, glutamic acid, glutamine, phosphoserine 등이었다. 결합아미노산은 가수분해 후 18-21종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총량은 1,406-2,142mg/100g (건물)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총량의 $26.4\sim55.7\%$ 수준으로서 중요한 함질소 엑스성분으로 밝혀졌다. ATP관련화합물총량은 $65.7\~124.7mg/100g(2.13\sim3.68{\mu}mol/g$, 건물) 수준이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eta$-alanine. $\gamma$-butyrobetaine, trigonelline은 가공 중 소실되었다. TMAO와 TMA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잇바디돌김 생야을 건제품으로 가공과정 중 유리아미노산, TMAO와 TMA가 증가하였고,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betaine류가 감소되었다.

  • PDF

Role of Red Light, Temperature, Stratification and Nitrogen in Breaking Seed Dormancy of Chenopodium album L.

  • Tang, Dong-Sheng;Hamayun, Muhammad;Ko, Young-Moon;Zhang, Yi-Ping;Kang, Sang-Mo;Lee, In-Ju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99-204
    • /
    • 2008
  • Seed dormancy behavior of weed seeds is a critical determinant of their survival rates in a given cropping system as it helps the weeds to evade herbicides and other weeding practic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 light, alternating temperature, stratification duration and different doses of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ed light on breaking seed dormancy of Chenopodium album L. The application of red light(80 ${\mu}mols^{-1}m^{-2}$) significantly increased seed germination of C. album in all treatments. Germination rates of 12 h incubated seeds were highest under 20 min of red light irradiation than 1 min, 5 min and 10 min treated seeds.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alternating temperatures of $25^{\circ}C\;and\;5^{\circ}C$ for 12 h each with an irradiation of red light(80 ${\mu}mols^{-1}m^{-2}$) for 10 min than other treatments. Stratification period of 15 days significantly stimulated germination percentage of seeds incubated in dark, although 5 days of stratification along with red light application for 10 minutes exhibit similar effects on seeds. Seed germination was also enhanced by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like $NaNO_2,\;KNO_3,\;NH_4Cl\;and\;NH_4NO_3$. We observed that seed germin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25 mM $KNO_3$ and 10 mM $NH_4NO_3$ in dark condition, while $NaNO_2$ and $NH_4Cl$ enhanced seed germination under red light irradiation. It was concluded that red light alone or synergized with alternating temperatures, stratification and nitrogen compounds, especially nitrite and ammonium enhanced seed germination of C. album. Thus, the red light can play a vital role in present and future weed management strategies.

  • PDF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Three Species of Raw Bloody Clams, Scaphrca broughtonii, S. subcrenata, and Tegillarca granosa Extracts)

  • 박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54-961
    • /
    • 2002
  • 고막류의 함질소엑스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해안에서 생산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의 3종에 대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guanidino 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엑스분질소는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에서 각각 479, 506 및 432 mg/100 g으로서 새고막에서 가장 높고, 고막에서 낮았으나 그 차이는 미약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고막류 3종 모두 $28{\sim}29$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에서 1,966, 1,921 및 1,756 mg/100 g이었다. 고막류 3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함량이 풍부한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beta}-alanine$, glutamic acid, alanine 등이었다. 고막류의 엑스분 가수분해물에서는 $23{\sim}25$종의 아미노산이 증가되었으며, 그 총량은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에서 각각 705, 717 및 431 mg/100 g으로서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35.9, 37.3 및 24.5%이었다. 고막류 3종 모두에서 ATP, ADP, AMP, IMP, inosine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에서 1.99, 3.03 및 $3.17\;{\mu}mol/g$이었다. Betaine류로서는 고막류 3종 모두에서 glyc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trigonelline의 4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피조개, 새고막 및 고막에서 329, 341 및 353 mg/100 g이었다. Creatine 함량은 3종 모두 10 mg/100 g 미만으로서 미량이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 남해안에서 생산되는 고막류 3종에 대한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밝힐 수 있었으며, 이들 3종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은 상호 유사한 점이 많았으나, 각 성분의 함량 면에서는 서로 차이가 있었다.

재식밀도 및 시비량이 버어리종 잎담배의 생육, 수량, 품질 및 질소화합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Fertilizer Level on the Growth, Yield, Quality and Nitrogenous Compounds of Burley Tobacco)

  • 김상범;한철수;유익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0-47
    • /
    • 1987
  • 재식밀도 및 시비량이 버어리종 잎담배의 몇 가지 농경학적, 화학적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3개년 (1982∼84)에 걸쳐 조사 분석하였다. 1. 이식후 40∼60일의 주당엽면적과 엽중, 군낙생장율, 상대생장율, 순동비율은 소식, 증비함에 따라 높아졌으나, 엽면적지수는 소식에 의하여 낮아졌다. 적심기의 잎크기는 소식, 증비수록 커졌고, 탁경은 소식에 의하여 커졌다. 2. 수확엽의 엽면적과 엽면적과 단위엽면적중은 소식, 증비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그러나, 회선곡선상에서 수량제고를 위한 적정재식거리는 105cmx34cm, 복합비료시용량은 263kg/10a로 확정되었다. 3 전알칼로이드 및 전질소함량은 소식, 증비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며, 재식거리와 전질소함량, 시비량과 전질소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농가경제와 질소화합량이 낮은 잎담배 생산을 위하여는 재식거리는 105cmx(35∼40)cm, 시비량은 227.5kg/10a이 유리하였다.

  • PDF

청국장(淸國醬) 발효중(醱酵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 성낙주;지영애;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5-284
    • /
    • 1984
  • 우리나라 고유(固有)의 발효식품(醱酵食品)인 청국장(淸國醬)은 발효중(醱酵中) 납두균(納豆菌)이 생산(生産)하는 발효작용(醱酵作用)으로 대두중(大豆中)의 단백질(蛋白質)이 peptide와 아미노산(酸)으로 분해(分解)되어 독특(獨特)한 향미(香味)를 생성(生成)하고 동시(同時)에 소화율(消化率)을 높이며 또 제조기간(製造期間)이 짧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청국장(淸國醬)메주 발효중(醱酵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및 지방산(脂肪酸)등의 변화(變化)를 종합적(綜合的)으로 실험(實驗)한 보고(報告)는 이외로 적다. 그래서 일본산(日本産) Natto로 부터 분리(分離)한 Bacillus natto 균(菌)으로 부터 청국장(淸國醬)메주를 발효(醱酵)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채취(採取)한 시료(試料)에 대(對)하여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 유리(遊離)아미노산(酸), 구성(構成)아미노산(酸),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및 지방산(脂肪酸) 등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청국장(淸國醬)메주 발효중(醱酵中) 불용성질소(不溶性窒素)는 발효중(醱酵中) 감소(減少)하였고, PAA 질소(窒素)는 완만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그리고 수용성질소(水溶性窒素)는 발효(醱酵) 36시간(時間)까지 일정(一定)한 수준을 유지한다가 그 후(後) 서서(徐徐)히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엑스분질소(分窒素) 및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는 발효(醱酵) 48시간(時間)까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 감소(減少)하였으나 암모니아질소(窒素)는 발효중(醱酵中) 계속해서 증가(增加)하였다. 2.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은 원료대두(原料大豆)에는 ADP, ATP, AMP 및 inosine의 순(順)으로 그 함량(含量)이 많았고, 발효(醱酵) 48시간후(時間後)에는 inosine 및 hypoxanthine이 증가(增加)하는 반면(反面)에 ADP, ATP 및 AMP는 감소(減少)하였다. 3. 원료대두중(原料大豆中)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17종(種)이 검출(檢出) 동정(同定)되었으며,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cystine, arginine, aspartic acid 및 phenylalanine의 순(順)이었고, 총유리(總遊離)아미노산(酸)에 대(對)하여 3% 이하(以下)로 비교적(比較的)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methionine, lysine, alanine, glycine, leucine 및 tyrosine였고, threonine 및 proline은 흔적량이었다. 발효중(醱酵中) 계속해서 증가(增加)하는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 발효(醱酵) 48시간(時間)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그 후(後) 감소(減少)하는 것은 lysine, histidine, arginine, glutamic acid, glycine, methionine 및 tyrosine였고, 그 외(外)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증감(增減)이 불규칙(不規則)하였다. 4. 원료대두중(原料大豆中) 특(特)히 함량(含量)이 높은 구성(構成)아미노산(酸)은 glutamic acid, serine 및 proline으로서 이들 3종(種)이 총구성(總構成)아미노산(酸)의 42.7%였고,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methionine, cystine, histidine, tyrosine 및 isoleucine였다. 발효(醱酵) 12시간(時間)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그 후(後) 감소(減少)하는 구성(構成)아미노산(酸)은 lysine, histid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및 phenylalanine, 발효중(醱酵中) 계속해서 감소(減少)하는 아미노산(酸)은 aspart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ine, leucine 및 tyrosine, 발효(醱酵) 48시간(時間)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그 후(後) 감소(減少)하는 것은 arginine 및 methionine, 증감(增減)이 불규칙(不規則)한 것은 threonine 및 serine였다. 5. 원료대두(原料大豆)의 지방산(脂肪酸)은 8종(種)이였고, $C_{18:2}$ 산(酸)이 52.6%로 가장 많았다. 발효중(醱酵中) $C_{14:0}$ 산(酸) 및 $C_{16:2}$ 산(酸)은 양적(量的) 변화(變化)가 없었고, $C_{20:1}$ 산(酸)은 발효(醱酵) 24시간(時間)까지 증가(增加)하다가 그 후(後) 감소(減少)하였고, 그외(外) $C_{18:0}$ 산(酸), $C_{18:1}$ 산(酸), $C_{18:3}$ 산(酸)은 발효중(醱酵中) 불규칙(不規則)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 PDF

수산물 첨가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food-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 우민지;최정란;김미정;장미순;조은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71-1777
    • /
    • 2012
  • 문어, 오징어, 전복 및 주꾸미를 첨가하여 담근 수산물 첨가 김치와 일반 배추김치를 $5^{\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관능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와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이 정상 발효 패턴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pH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고 이에 반해 산도는 수산물 첨가 김치가 일반 배추김치보다 높았다. 수산물 김치의 젖산균 최대 균수는 Lactobacillus spp. 8.31~8.85 log CFU/mL, Leuconostoc spp. 7.60~8.14 log CFU/mL로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수산물 첨가 김치의 환원당 함량이 높았기 때문이다. 적숙기(pH $4.3{\pm}0.1$, 산도 $0.7{\pm}0.1%$)에 도달하는 시기는 일반 배추김치, 전복김치 및 주꾸미김치가 저장 2주째, 문어김치 및 오징어김치가 저장 3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pH 4.0 이하, 산도 1.0% 이상)는 오징어김치(저장 6주째)를 제외한 모든 군이 저장 8주째로 나타났다. 과숙기의 산도는 일반 배추김치가 가장 낮았다. 적숙기 김치의 관능평가는 객관적 평가의 경우 수산물 첨가 김치의 신맛, 신내 및 탄산미가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기호도 평가 항목 중 수산물 첨가 김치의 종합적인 평가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특히 김치의 질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수산물 첨가 김치의 외관 및 맛은 일반 배추김치와 유사하였으며, 김치냄새는 다소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산물을 첨가한 김치는 일반 배추김치와 같은 발효양상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수산물 고유의 감칠맛으로 김치의 맛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Rhizopus oryzae의 균체생산 및 세포벽제거 (Biomass Production and Cell Wall Lysis of Rhizopus oryzae)

  • 남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3-89
    • /
    • 1981
  • 식품가공이나 유기산 생산공업 등에 널리 사용되는 Rhizopus oryzae를 대상으로 하여 균체생산을 목적으로 각종 유기산, alcohol, aromatic 화합물과 당류 등의 탄소원들을 조사한 바 Na-acetate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glucose와 마찬가지의 좋은 탄소원으로서는 ammonium태나 질산태질소 그리고 유기질소 화합물 모두 대체로 같은 정도로 잘 이용될 수 있음을 알았으며 무기질소태질소 중에서 (NH$_4$)$_2$SO$_4$가 그중 가장 좋은 질소원으로 사용되었다. 이 Rhizopus oryzae는 또 yeast extract와 같은 미량영양원소를 요구하지 않았으므로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조성의 배지로 배양하였다. Na-acetate 1 %, (NH$_4$)$_2$SO$_4$ 0.2%, $K_2$HPO$_4$ 0.05%, MgSO$_4$.7$H_2O$ 0.01%, NaCl 0.01% (PH 5.5)의 배지상에서 생육한 균사체를 Strepzyme 115-5를 사용하여 견고한 세포벽을 제거하는 실험에서 pH 6.5와 온도 5$0^{\circ}C$에서 최적조건을 나타내었다. 이 때 세포벽 제거에 따른 protoplast의 생성은 효소 처리 10분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처리 4시간 후에는 거의 모든 균사체가 작용받았음을 알았다.

  • PDF

시판 수산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Commercial Marine Seasoned-dried Products and Seasoned-dried and Roasted Products)

  • 박춘규;박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0-379
    • /
    • 2002
  • 수산 조미건제품의 함질소 엑스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일반꽃포류 4종과 구운꽃포류 5종을 구입하여 맛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결합아미노산, ATP관련화합물, 4급암모늄염기, guanidino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일반꽃포류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688{\sim}\;1,124mg/100g$(평균 900 mg)이었으며, 구운꽃포류에서는 $756{\sim}1,099\;mg/100g$(평균 897 mg)이었다. 일반꽃포류에서 유리아미노산은 $22{\sim}27$종이 분석되었으며, 그 총량은 $2,992{\sim}4,034\;mg$평균 3,739)이었고,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arginine, proline, alanine, glycine, histidine 등이었다. 구운꽃포류에서는 $19{\sim}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은 $2,678{\sim}5,196\;mg/100g$(평균 3,933 mg)이었고,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taurine, proline, alanine, histidine, arginine, lysine 등으로 나타났다. 결합아미노산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662{\sim}2,248\;mg$$1,146{\sim}1,821\;mg/100g$으로서 $20.2{\sim}55.7%$(평균 34.5%)와 $22.1{\sim}68.0%$(평균 42.5%) 수준이었다. ATP관련화합물 총량은 일반 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3.69{\sim}7.37\;{\mu}mol/g$(평균 $5.23\;{\mu}mol/g$)과 $2.17{\sim}8.45\;{\mu}mol/g$(평균 $4.51\;{\mu}mol/g$) 범위였다. Betain류로서는 일반꽃포류 모든 제품에서 homarine이 검출되었고,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과 trigonel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구운꽃포류 일부 제품에서 glycinebeatine, ${\beta}-alan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trigoneline이 확인되었으나 미량이었다. TMAO는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1{\sim}364\;mg/100g$$1{\sim}144\;mg$이었으며, TMA는 각각 $11{\sim}47\;mg$$7{\sim}56\;mg$으로서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많았다. Creatine 함량은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에서 각각 $4{\sim}43\;mg$$18{\sim}74\;mg$이었다. t-검정 결과 일반꽃포류와 구운꽃포류 함량간에는 수분, glutamic acid, creatinine 등에서 유의차가 있었으나, 그 이외에 대부분의 성분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즈마 버너를 적용한 요소수에서 암모니아로의 고속 전환 기술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for Fast Conversion from Urea to an Ammonia Conversion Technology with a Plasma Burner)

  • 조성권;김관태;이대훈;송영훈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6-535
    • /
    • 2016
  • Recently, fine dust in atmosphere have been considerably issued as a harmful element for human. Nitrogen oxide ($NO_x$) exhausted from diesel engines and power plants has been disclosed as a main source of secondary production of fine dust. In order to prevent exhausting these nitrogenous compounds into atmosphere, a treatment system with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catalyst with ammonia as a reductant has been used in various industries. Urea solution has been widely studied to supply ammonia into a SCR catalytic reactor, safely. However, the conversion of urea solution to ammonia has several challenges, especially on a slow conversion velocity. In the present study, a fast urea conversion system including a plasma burner was suggested and design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urea conversion and initial operation time. A designed lab-scale facility has a plasma burner, urea nozzle, mixer, and SCR catalyst which is for hydrolysis of isocyane. Flow rate of methane that is a fuel of the plasma burner was varied to control temperatures in the urea conversion facility. From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urea can be converted into ammonia using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above $400^{\circ}C$. In the designed test facility, it is found that ammonia can be produced within 1 min from urea injection and the result shows prospect commercialization of proposed technology in the SCR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