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application rate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31초

질소시비가 발의 품질 특성과 취반미의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and Aroma-active Compounds of Cooked Rice)

  • 채제천;이광빈;전대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27-533
    • /
    • 2003
  • 질소시비량이 쌀의 품질 특성과 취반미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조생종인 대진벼, 중만생종인 일품벼와 추청벼를 공시하고, 질소 시비수준을 0, 5.5, 11, 16.5kg/10a로 처리하여 2001년에 포장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세 품종 모두 쌀 수량은 고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r=$0.93^{**}\textrm{-}0.97^{**}$) 이는 단위면적당 수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기 때문이었다. 2.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미 완전미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0.84^{**}$~$-0.91^{**}$), 불완전미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현미의 단백질 함량은 세 품종 모두 유의하게 높아졌고, 아밀로스 함량은 대진벼와 일품 벼에서는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추청벼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기계적 식미값은 대진벼와 일품벼에서는 질소시비량 0-11kg/10a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16.5kg/10a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추청벼는 질소시비량에 비례하여 식미 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쌀의 단백질 함량과 질소시비량 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r=$0.88^{**}\textrm{-}0.96^{**}$)이, 질소시비량과 완전미율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r=$-0.84^{**}$~$-0.91^{**}$)이, 그리고 질소시비량과 식미값 간에도 매우 유의한 부의 상관(r=$-0.72^{**}$~$-0.85^{**}$)이 나타났다. 6. 질소시비 처리한 추청벼 취반미의 취발성 방향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11종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방향 성분이 뚜렷하게 증가한다고 보기는 어려줬다. 7. 쌀의 수량과 품질을 동시에 고려할 때 질소시비량은 표준시비량(11kg/10a)이 가장 적정할 것으로 생각되며 식미를 높이기 위해 질소 시비량을 표준비 이하로 감소시킬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Dry Matter Digestion Kinetics of Two Varieties of Barley Grain Sown with Different See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s in Four Different Sites Across Canada

  • Cleary, L.J.;Van Herk, F.;Gibb, D.J.;McAllister, T.A.;Chaves, A.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65-973
    • /
    • 2011
  •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rate and extent of dry matter digestion between barley subjected to differing agronomic variables. Two malting barley varieties, Copeland and Metcalfe were seeded at rates of 200 and 400 plants/$m^2$. Each of these varieties received nitrogen fertilizer at rates of 0, 30, 60 and 120 kg/ha, resulting in a total of 20 different barley grain samples. Samples were ground through a 6mm screen and approximately 3 g of each weighed into 50 ${\mu}m$ Dacron bags and sealed. The bags were incubated in three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attle for periods of 0, 3, 6 and 24 h.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se incubations, rates of digestion were able to be predicted. The soluble fraction ranged from 0.229-0.327, the slowly degradable fraction ranged from 0.461-0.656, and the undegradable fraction ranged from 0.038-0.299. The rates of digestion ranged from 0.127-0.165 $h^{-1}$ and the effective degradability ranged from 0.527-0.757. At the Canora location, the Copeland samples which received 120 kg/ha of nitrogen fertilizer had a significantly lower (p = 0.013) soluble fraction than the rest of the samples at that loca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p = 0.009) was seen between the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with samples from the Canora location,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29) between nitrogen application rates in samples from the Indian head location. The rate of digestion of samples from the Indian head location differed (p = 0.020) between the two seeding rates, with samples seeded at 200 seed/$m^2$ having a slightly higher rate of degradation.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degradability were seen between the different nitrogen application rates with samples from both the Canora and Indian head locations, as well as an (p = 0.004) interaction between the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lthough there was not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t variables, both nitrogen application and seeding rate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s and extent of digestion across each of the four locations.

미질향상을 위한 간척지 토양 염농도별 적정 질소시비량 (Nitrogen Fertilizer Management for Improving Rice Quality under Different Salinity Conditions in Tidal Reclaimed Area)

  • 최원영;이규성;고종철;박홍규;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4-198
    • /
    • 2004
  • 본 연구는 남서해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저염; 0.1%, 중염; 0.3∼0.4%)별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 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유추분화기의 초장은 질소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고, 토양염농도간에는 저염 토양에서 켰다. 2. 출수기는 저염 토양에서는 표준비인 N20kg/10a에 비해 N8-N16kg/10a까지는 같았으나 N24kg/10a에서는 1일 늦었고, 중염 토양에서는 N8-N16kg/10a 까지는 1일이 삘랐고 N24kg/10a에서는 같았으며, 토양 염농도간에는 저염 토양에서보다 중염 토양에서 4일 정도 늦었다. 3.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간장이 크고, 포장도복이 심했다. 4. 저염 토양에서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textrm{m}^2$ 당 립수는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아져 발 수량은 N12kg/10a이상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N12kg/10a이하에서 현미의 완전미율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았다. 5.중염 토양에서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textrm{m}^2$ 당 립수가 많고 등숙비율이 비슷하여 발 수량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N20kg/10a 이상에서는 유의차가 없었고, 현미의 완전미율과 단백질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비슷하였다. 따라서 남서해안 간척지에서 쌀 수량 및 미질 등을 고려해 볼 때, 저염 토양에서는 N12kg/10a, 중염 토양에서는 N20kg/10a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Nitrogen on Cell Dynamics at Leaf Growth Zone in Two Rice Varieties

  • Sung, Jwa-Kyung;Lee, Chul-Won;Kim, Tae-Wan;Hwang, Seon-Woong;Song, Beom-H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1-125
    • /
    • 2004
  • In plants, nitrogen is the major component for growth and development. Leaf growth is based on the division, elongation and maturation of cells, which are used for making of epidermis, mesophyll, bundle sheath, xylem, phloem and so on. Dynamics of these tissues with respect to nitrogen ar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nitrogen on the elongation of epidermal and guard cell of two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Seoanbyeo and Dasanbyeo on May 2000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Cheongju. After transplaning the 20-day-old seedlings into a/5000 pots, the mai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cell elongation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A maximum. leaf length reached at 7 or 8 days after emerging from the collar, and also the leaf elongation rate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 application rate. The initial and final cell length were about $17\mu\textrm{m}$ and $130\mu\textrm{m}$, respectively. Cell divisions occurred within 1.0mm from leaf base. With die higher nitrogen application rate of 22 kg-N $10\textrm{a}^{-1}$, cell division per hour was greater 1.5 to 1.9 and 1.2 to 1.3 fold as compared to the N application rate of 0 and 11 kg-N $10\textrm{a}^{-1}$, respectively. Cell enlargement of epidermal and guard cell under higher N application rate (22kg-N $10\textrm{a}^{-1}$) was finished within about 20 (Seoanbyeo) and 15 hours (Dasanbyeo), while it took much time, about 30 hours.

Effect of nitrogen fertilize application levels on yield and quality of Korean wheat cultivars

  • Kim, Kyeong-Min;Kim, Kyeong-Hoon;Kim, Hag-Sin;Shin, Dong Jin;Kim, Young-Jin;Oh, Myeong-Gyu;Hyun, Jong-Nae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9-18
    • /
    • 2018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ditional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Korean wheat cultivars Keumkang, Jokyoung, Baegjoong, Sooan, Uri and Goso.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s (109, 82, 55, 41, and 27 kg/ha) were applied to six cultivars. The results show that the yield and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in all tested cultivars. The grain yields of the cultivars Keumkang, Jokyoung, Baegjoong and Sooan were greatly increased in the case of double fertilization treatments. Moreover, Uri and Goso had greatly increased yields by the additional fertilization at a 50% rate compared with korea wheat standard fertilization rate. A significantly higher yield was observed in Uri. Baegjoong was the highest yielding cultivar among the tested cultivars with the additional nitrogen fertilization. As the fertilization was increased up to double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yield of Baegjoong also showed a constant increas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and the protein contents of the grain in all the cultivars except for Uri, and among these, Jokyoung had a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the increase in its protein contents. Keumkang had the highest protein contents and highest increase in the protein conten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nitrogen application. However, amylose, damaged starch and ash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s.

고형돈분 처리 시 해송 묘목의 생장반응 및 질소·인 흡수 효과 (Growth Response and Uptake of Nitrogen and Phosphorus of Pinus thunbergii by Treatment of a Dried Swine Excrement)

  • 이창헌;조재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2-80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ried swine excrement on the germination of Pinus thunbergii seeds, the growth response of seedlings of Pinus thunbergii and the uptaken of nitrogen and phosphorous by seedlings of Pinus thunbergii. The germination rate of seeds of Pinus thunbergii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pplication amount of dried swine excrement and the application amounts of dried swine excrement which is more than 3%(w/w %) makes the rate of germination to much more decreased. Conte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are much higher in a way that the dried swine excrement was treated in nursery soil. 179 days after seeds of Pinus thunbergii were sowed, nitrogen contents in soil was decreased more than 70% and phosphorus was decreased 20 to 45%. Growth response of Pinus thunbergii was much higher in treatment of dried swine excrement than in control. But growth response was not affected by increasing of application amounts of dried swine excrement. Growth response of Pinus thunbergii was the highest in 2%(w/w %) application but its growth response was decreased in treatment more than 3% (w/w %) of dried swine excrement.

질소, 인산, 가리의 시용량이 버어리종 잎담배의 수량, 품질 및 함질소화합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ON THE YIELD, QUALITY AND NITROGENOUS COMPOUNDS OF BUIRLEY LEAF TOBACCO.)

  • 김상범;추홍구;김요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17
    • /
    • 1986
  • Effect of nitrogen rate with and without chanc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rate was investigated in a field experiment. Percentage of plant mortality after transplanting increased with N rates above 32.5kg/10a.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increased and postassium decreased slightly as the rates of applied N was increased, but the contents of total alkaloid and phosphorus were not affected at each growing stage. It was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17.5kg of P2O5 and 35.0kg of K2O Per 10a might be sufficient for high yield and good Quality. As the N rates being increased, the yield, value, contents of total alkaloid and total nitrogen of cured leaf increased However, the Brice per k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17.5 ~ 37.5kg / 10a of N rates. The application of 37.5kg/10a of N may be profitable for farm economy; but, the N application should be controlled 17.5~22.5kg/10a for the low nitrogen and alkaloid leaf.

  • PDF

수도의엽신별 생육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Leaf Blade of Paddy Rice)

  • 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1-27
    • /
    • 1975
  • 실험 I. 질소의 시비량을 달리 하였을 때 출수기에 있어 실비의 효과 및 전엽처리에 따른출수후의 각엽위별 엽신이 등숙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포장시험을 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에 따른 1주평균 수수 및 1수당 경화수는 질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대되었으나 등숙율, 제현비율 및 현미천립중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저하되었다. 2. 출수기 실비시비에 따른 등숙률 및 현미천립중은 표준구보다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대되었으며 정조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할 수 없으나 수치적으로 증대되었다. 3 전엽처리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전엽의 정도가 클수록 현저히 저하되었다. 4. 엽위별 존치엽수의 조합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엽신 1매를 존치하였을 때는 $L_1(지엽)>L_2>L_3>L_4$순으로 저하되었으며, 엽신 2매를 존치하였을 때는 상위엽과 조합될수록 증대되었다. 그리고 엽신 3매를 존치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5. 전엽처리에 따라 엽위별 엽신수가 감소될 경우에는 존치엽면적이 넓고 엽신건물중과 엽신질소함량이 증대될 때에 등숙률,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이 증대되었다. 6. 시비량의 증대는 존치엽수와 관계없이 등숙률 및 현미천립중을 저하시켰으나, 실비의 시용은 이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정조수량은 기비 및 추비량의 증대에 따라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비의 효과는 존치엽수가 적을 경우에는 많을 경우보다 저하되었다. 7. 엽신이 차지하는 등숙률 및 현미수량에 대한 생산효과는 50% 이상이었으며 천립중은 10%에 불과하였다. 질소의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등숙율 및 천립중에 대한 엽신의 영향은 증대되었다. 기비량의 증가에 따라 현미중에 대한 엽신의 영향은 증대되었으나 수전기의 추비량이 증가될수록 그 영향은 저하되었다. 8. 엽위별 엽신이 등숙율, 현미중 및 천립중에 미치는 생육효과는 $L_1(지엽)>L_2>L_3>L_4$순이었으며 질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L_1$$L_2$의 생산효과가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II. 질소의 시비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전엽처리에 따른 출수후 엽위별 엽신이 등숙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포장시험을 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주당 평균 수수는 기비로부터 출수전 22일까지 시비된구와 분시된구에 있어서 증대되었으며 경화수는 출수전 36일부터 15일까지 시비된구가 증대되었다. 등숙율은 기비구로부터 출수전 15일까지는 무비구보다 저하되었으며 출수전 8일 이후에 시비된 구는 증대되었다. 가장 저하된 구는 출수전 29일구였다. 정조수량은 출수전 29일부터 22일 시비구가 가장 증대되었다. 현미천립중은 출수전 22일부터 8일까지의 시비된구가 다소 높았다. 2. 전엽처리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정현비율은 전엽의 정도가 클수록 모두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 3. 엽위별 존치엽수와 그의 조합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엽신 1매가 존치되었을 때는 $L_1(지엽)>L_2>L_3>L_4$순으로서 상위엽이 존치될수록 증대되었다. 엽신 2매시는 상위엽과 조합되었을 때 등숙율, 정조중 및 제현비율이 증대되었으며 현미천립중의 증대에는 지엽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 같았다. 엽신 3매를 존치하였을 때도 상위엽과 조합된 것일수록 증대되었다. 4. 전엽처리에 따라 엽위별 엽신수가 감소될 경우 엽면적 엽신건물중 및 엽신질소함량과 등숙율 및 정조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현미천립중간에는 시비시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시비시기가 출수기에 가까울수록 전엽에 의한 등숙율 및 천립중은 저하되었으며 존치엽수가 적어질수록 그 경향은 증대되었다. 출수기 이후의 추비는 존치엽수의 증대에 따라 등숙율 및 천립중을 증대시키며 존치엽수가 적을 경우에는 출수기에 가까운 시기에 시비가 정조수량을 증대시켰다. 6. 시비시기에 따른 각기관별 생산효과는 등숙율에 있어서는 시비시기가 늦어질수록 엽신의 생산효과가 크며 무비구에 있어서는 엽신과 간의 생산효과가 동일하였다. 현미수량에 대한 생산효과는 시비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간의 생산효과는 50%이상을 찾 하였으며 무비구에 있어서는 그 경향이 더욱 증대되었다. 현미천립중은 간에 의하여 지배되며 엽신의 영향은 근소하였다. 7. 엽위별 엽신이 등숙율, 정조중 및 현미천립중에 미치는 생산효과는 시비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상위엽일수록 생산효과가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분시된구는 등숙율 및 정조수량에 있어서는 지엽과 2위엽이 거의 같은 정도였으나 현미천립중에 있어서는 지엽이 전엽의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였다.

  • PDF

벼 재배시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이 질소이용율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Yield and Nitrogen Use Efficiency in Paddy Field)

  • 조광래;원태진;강창성;임재욱;박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2-159
    • /
    • 2009
  • 혼합유기질비료 시용 후 벼 재배시 무기태질소 함 량, 질소이용율, 수량 등을 조사하여 질소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을 검토코자, 화학비료 3요소구, 혼합유기질비료 0, 100, 150% 시용구 등 5처리를 두어 2006년도에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 토양 중 $NH_4-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표면수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시험후 토양 중 Av. $P_2O_5$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에서 많았으나 Ex. K 함량은 적었다. 수도체 중 질소이용율은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아 질소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이 있었다. 이앙 후 30일, 60일에서 경수는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가 대조구 보다 많았다. 혼합유기질비료 중 질소 함량과 단백질 함량과는 정의 상관, 식미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 완전립 비율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100% 시용구의 쌀 수량은 대조구 $4,892kg\;ha^{-1}$에 비해 4% 증가하였다. 벼 재배시 대조구의 쌀 수량과 대등한 혼합유기질비료의 시용량은 [질소 토양검정시비량 ${\div}$ 혼합유기질비료질소함량 $(g\;kg^{-1})/1,000{\times}0.93)/1,000$]으로 산출되었다.

Growth, Yield and Grain Quality affected by Seeding Rates and Fertilizing Combinations in Spring-sown Jinyangbori

  • Kim, Dae-Ho;Kim, Su-Kyeong;Kim, Eun-Seok;Song, Guen-Woo;Kang, Dong-J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7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at Chinju region to establish suitable seeding rate and fertilizing levels of nitrogen, phosphorous and potassium in spring-sown Jinyangbori. Heading and maturing were delayed by increasing fertilizers, especially nitrogen. Number of spikes per were secured by much seeding and increased application of nitrogen. One thousand grain weight reduced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at any seeding rate. Relatively high harvest indices were observed with 12-10-4 at 10kg. 10a$^{-l}$ seeds planted, followed by 6-10-8 at 15 kgㆍ 10a$^{-1}$, and 6-10-4kgㆍ 10a$^{-l}$ at 20kg ㆍ 10a$^{-l}$ of N-P-K fertilizing combination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s on yield for various seeding rates in spring-sown barley. When seeding rate increased up to 15kgㆍ10a$^{-1}$, the positive effect of fertilizers was recognized as the function of balanced-application. It was possible to recommend 10kgㆍ10a$^{-1}$ as seeding rate and 6-5-4(N-P-K)kgㆍ10a$^{-1}$ as fertilizing combination in spring-time seeding considering low inpu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 in grain by seeding rat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enhanced protein content in g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