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analysis

검색결과 2,629건 처리시간 0.035초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ic Composition Data Using Elemental Analyzer-isotope Ratio Mass Spectrometers

  • Kim, Jung-Hyun;Kang, Sujin;Bong, Yeon-Sik;Park, Kwangkyu;Kang, Tae-Woo;Park, Yong-Se;Kim, Dahae;Choi, Seunghyun;Joo, Young Ji;Choi, Bohyung;Nam, Seung-Il;Lee, Sang-Mo;Shin, Kyung-Hoon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 /
    • 제21권4호
    • /
    • pp.229-236
    • /
    • 2018
  • In this study, inter-laboratory comparison was done using elemental analyzer-isotope ratio mass spectrometers (EA-IRMSs) to determine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as well as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ic compositions (${\delta}^{13}C$ and ${\delta}^{15}N$) of five environmental samples containing lake and marine sediments, higher plant leaves, and fish muscle, and one organic analytical standard (Protein (Casein) Standard OAS). Five national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his comparison study, and each laboratory analyzed all five samples and the analytical standard. Results showed that variations in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s as well as ${\delta}^{13}C_{TOC}$ and ${\delta}^{15}N_{TN}$ values among the laboratories were large compared to the analytical uncertainties. The results highlighted the inhomogeneity of the test samples and thus, the need to select suitable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for future inter-laboratory studies. Further inter-laboratory comparison exercises could promote good measurement practices in the acquisition of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ic composition data.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ssesment of Nitrate Nitrogen in Groundwater in Yanggu-Gun, Gangwon-Do in Korea

  • Choi, Won Gyu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6호
    • /
    • pp.26-32
    • /
    • 2019
  • An analysis of groundwater quality is significant for monitoring and managing water contamination and groundwater system. For the purpose of thos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were studied over the concern for water quality, water type and origin of nitrate nitrogen. Total colony counts were detected in 11 out of 20 samples, and the average value was 31.73 CFU/ml. Range and average of NO3-N concentrations were 0.9~24.0 mg/L and 8.3 mg/L. All groundwater types were found to be Ca2+-HCO3-. The range and average of NO3-N were 0.2~17.4 mg/L and 8.7 mg/L, and those of δ15N were 1.7~8.9‰, and 5.0‰.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evaluating the origin of nitrogen when NO3-N concentration is low. In general,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rockbed and alluvial water was not found. The ranges of nitrate origins by chemical fertilizer, livestock manure and domestic sewage, and natural soil were 29.6~76.4%, 14.2~58.9% and 2.6~7.0%, and the average values of those were 57.4%, 37.4%, and 5.3%, respectively. Origin of nitrate was affected by more chemical fertilizer than the other parameters. Rockbed water was more affected by chemical fertilizer than alluvial water.

AGS의 생물흡착을 이용한 TDS 제거 및 고농도 질소제거에 관한 연구 (TDS Removal using Bio-sorption with AGS and High Concentration Nitrogen Removal)

  • 엄한기;최유현;주현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0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ssay the biological removal of TDS (total dissolved solids) from RO (reverse osmosis) rejected water. Following bio-sorption of TDS with AGS (aerobic granular sludge), the effects of TDS o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were examined. The bio-sorption of TDS after AGS treatment was confirmed by checking for TDS removal efficiency and surface analysis of microorganisms with SEM and EDS. Then, the effects of TDS o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and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were evaluated using the MBR reacto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bio-sorption of TDS with AGS was 0.1 mg TDS/mg AGS, and we confirmed that the microorganism surfaces had adsorbed the TDS. Biological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measured at inhibiting denitrification at 4,000 mg/L of TDS-injected material.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treat TDS-containing RO rejected water and to maintain TDS concentration lower than a specific value (≤4,000 mg/L), when considering biological nitrogen removal.

수란우의 혈청화학치의 농도가 수정란이식 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um Chemical Values in Recipients on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

  • 김일화;류일선;박성재;서국현;이동원;박수봉;김현종;연성흠;허태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1
    • /
    • 2001
  •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emical values (urea nitrogen, glucose, total protein and cholesterol) of recipients and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184 Holstein heifers or cows on Day 6 or 7 (Day 0=day of estrus) to analysis for serum urea nitrogen, glucose, total protein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After selection of recipients, frozen Holstein embryos were thawed and directly transferred to recipients non-surgically.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s of urea nitrogen, glucose, total protein and cholesterol were 13.8 mg/dl, 56.5 mg/dl, 7.2 mg/dl, 124.8 mg/dl,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serum urea nitrogen and cholesterol were lower (P<0.05) in pregnant recipients (10.7 mg/dl, 99.2 mg/dl) than in non-pregnant recipients (13.0 mg/dl, 122.2 mg/dl),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total protein were not different. These results show serum urea nitrogen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can be used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on of recipients in Holstein.

  • PDF

비색법에 의한 현미 중의 질소 함량 측정 (Estimation of Nitrogen Content in Brown Rice by Colorimetric Method)

  • 김성곤;허문희;이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35-238
    • /
    • 1972
  • Johnson등 (1971)이 발표한 뷰렛법을 다소 개변하여 현미 중의 질소 함량 측정에 적용하여 보았다. 또한 고단백 품종의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염색법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질소 함량은 $1.20{\sim}2.0%$이었고 뷰렛 흡광도와 질소 함량과의 관계는 고도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상관 계수는 $+0.841^{**}$이었다. 그러나 염색법과는 달리 질소 함량이 높아 갈수록 상관계수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뷰렛법은 질소 함량이 2.0% 이상인 경우에도 정상관을 보이므로 적당한 조건하에서는 염색법보다 더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염색법 사용시 여과액의 희석시 완충액 대신에 증류수 사용 가능성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 PDF

Kjeldahl 증류법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및 암모니아성-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및 질소오염원 추적 사례 연구 (Introduction of Kjeldahl Digestion Method for Nitrogen Stable Isotope Analysis (δ15N-NO3 and δ15NNH4) and Case Study for Tracing Nitrogen Source)

  • 김민섭;박태진;윤숙희;임보라;신경훈;권오상;이원석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47-152
    • /
    • 2015
  • 본 연구는 Kjeldahl 증류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의 안정동위원소 분석법을 연구하였으며, 건조방법 및 시료 농도 범위에 따른 분석값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표준시료를 다양한 농도 범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2, 3, 4, 5, 6, 7, 8, 9, $10mgL^{-1}$)로 조제하여 질산성 및 암모니아성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15}NH_4-N$, $^{15}NO_3-N$)를 분석한 결과, $^{15}NH_4-N$$0.1{\sim}10mgL^{-1}$의 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하였으며 (${\pm}0.2$‰)$^{15}NO_3-N$$0.4{\sim}10mgL^{-1}$의 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하였다 (${\pm}0.3$‰). Kjedahl 증류법으로 얻어진 시료를 건조할 경우 오븐건조는 질소 안정동위원소비가 2.2‰의 큰 변화를 보이지만, 동결건조는 0.5‰의 작은 차이를 보이므로 동결건조방법이 적합하였다. 실증연구 일환으로 한강 수계 중권역의 한 지천에서 암모니아성 질소 ($NH_4-N$) 및 질산성 질소 ($NO_3-N$)의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하여 질산염의 기원을 추적해 보았다. 지천이 흘러가는 방향을 중심으로 상류, 하수처리 방류장, 하류로 구분하고 각각의 $^{15}NH_4-N$, $^{15}NO_3-N$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상류에서 질산염의 $^{15}NO_3-N$, $^{15}NH_4-N$ 값이 가볍게 나타나지만 (2‰, 8‰), 특성이 다른 질소화합물의 방류수 (23‰, 14‰)가 유입되면서 하류 (21‰, 1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행된 $^{15}NH_4-N$, $^{15}NO_3-N$ 안정동위원소비 분석법은 수생태계로 유입되는 다양한 질소 기원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수질 관리를 위한 중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이와 같은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후 유역 오염원의 대표값 (end member)의 조사를 통하여 지속적인 자료구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경포호에서 수질변수들의 장기적인 변화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Lake Kyoungpo)

  • 곽성진;발데브;최광순;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95-107
    • /
    • 2015
  • 경포호에서 수질 변수들의 장기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2개월에 1회씩 3개 지점에서 조사된 15가지 수질변수들과 강우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Mann-Kendall test, Sen's slope estimator 및 linear regression을 적용 분석하였다. 계절 변화 분석에는 Mann-Kendall test 및 Sen's slope estimator만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염분, 투명도 및 영양염류 (총인, 용존무기인, 총질소,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의 변수들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선형회귀 분석에서는 염분 (표층과 심층의 전 지점)과 투명도 (지점 1)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 경향을 나타냈으나, 비모수법에 의한 분석에서는 염분과 투명도 모두 전 지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인 수질변수들은 선형회귀분석에서는 용존산소 (표층 지점 1, 심층 지점 2와 3), 총인(지점 1과 2), 용존무기인, 총질소, 질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 비모수법에 의한 분석에서는 용존산소 (심층 전지점), 총인, 용존무기인, 총질소, 질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였다. 계절적인 경향을 분석한 결과 봄에는 염분, 탁도, 투명도 및 부유물질 (SS), 여름에는 염분, 투명도, 질산성 질소 및 부유물질, 가을에는 수온, 염분, 투명도 및 부유물질 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변수들이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봄과 여름에 비해서 가을철에 Mann-Kendall test 및 Sen's Slope estimator에 의해 유의적인 경향을 나타낸 수질변수들이 많았다. 가장 강한 증가 경향을 보인 것은 염분이었으며 봄보다는 여름과 가을에 뚜렷하였다. 투명도도 염분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강우량은 조사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포호에서 영양염류의 유의적인 감소경향은 그동안 강릉시에서 추진해온 석호 복원사업 및 해수유통 (수중 보철거)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조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변량 통계기법을 이용한 미호천 본류 수질특성 평가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the Miho Stream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 윤혜영;김지현;채민희;조윤해;천세억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4호
    • /
    • pp.373-386
    • /
    • 2019
  • 본 연구는 금강 수계 주요 지류인 미호천수계를 대상으로 수계의 공간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질분석과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수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을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은 미호천 수계의 본류에서 수질측정망을 운영 중인 7개 지점으로 선정하였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측정망 수온 등 16개 항목, 기상자료 등을 사용하여 다변량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 유기물질 지표인 BOD와 COD의 6년간 평균 농도는 환경부 수질 및 수생태계 생활환경기준(하천)과 비교하여 III등급(보통)으로 나타났다. 지점별 비교 결과 질소계열과 인계열의 농도는 상류 지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 수리적, 지형적 영향으로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및 수질 특성을 고려한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 총 3개의 군집으로 평가되었으며, 수계에 유입되는 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군집과 본류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성분 및 요인분석 결과, 각각 3~4개의 주성분이 추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제1요인은 본류와 Cluster1,3에서 질소계열 요인과 계절적 요인, Cluster2에서 질소계열 요인과 수온으로 나타나 미호천 수계의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질소계열의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질소강의 열간압연시 변형거동 및 압연효과 (Deformation Behavior & Rolling Effect on the Hot Rolling of High Nitrogen Stainless Steel)

  • 김영득;김동권;이종욱;배원병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9-332
    • /
    • 2008
  • Nowadays, It is required human body-friendly, good mechanical properties, and economical efficiency material, simultaneously. The material to meet above requirement condition rear up high nitrogen stainless steel(HNS). However, HNS have a lot of problem such as poor workability, hot crack sensitivity. So, It is needed the condition of plastic working to overcome above many problem. In this study, VIM ingot with 100kg was made by pressurized vacuum induction melting. And then, The slab perform for hot rolling was prepared by open-die forging. Hot rolling process was performed by computer simulation according to change of height reduction, rolling temperature, heating numbers, rolling pass and so forth.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investigated between analysis and lab-scale rolling product.

  • PDF

액체질소 절연파괴전압의 상관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Liquid Nitrogen)

  • 백승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396-399
    • /
    • 2015
  •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breakdown voltage(BDV) of liquid nitrogen(LN2) and factors. The chosen factors affecting the breakdown are the diameter of electrode, gap length, temperature of LN2, and pressure of LN2. The BDV of LN2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iameter, the gap length and the pressure. And The BDV of LN2 was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temperature. However,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BDV exhibited a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2227 to dependence on the diameter. And a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4980 to dependence on the pressure under sphere(D 7.5 mm)-plane electrod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sphere-plane electrode 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eedle-plane electrode. It shows the dependence of a temperature coefficient of -0.758290 ~ -0.39946 under needle-plane electr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