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time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2초

야간광과 남한의 시도별 개별 공시지가 총액의 상관관계 연구 - DMSP OLS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Light and Individual Land Price by Province in South Korea, Using DMSP OLS Data)

  • 김봉찬;이슬기 ;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729-741
    • /
    • 2023
  • Operational Linescan System (OLS) 센서는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DMSP) 프로그램을 통해 발사된 위성체에 탑재된 센서로, 야간에 방출되는 가시광 및 적외선대의 빛을 감지한다.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OLS 센서를 통해 획득한 야간광 자료와 국내 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값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 발전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 중 하나인 개별 공시지가 총액과 야간광 자료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시, 도에서 0.7 이상의 상관계수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남한 전체의 개별 공시지가 총액과 야간광 자료 간에도 상관계수는 0.7837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타 시, 도와 달리 서울특별시의 경우 야간광과 개별 공시지가 총액은 상관계수가 0.5648로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는데, 이는 서울특별시의 digital number (DN) 값은 OLS 센서의 최대 DN 값에 가깝게 나타나 그 이상의 변화를 나타낼 수 없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공시지가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지역의 공시지가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한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등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머신러닝과 KSCA를 활용한 디지털 사진의 색 분석 -한국 자연 풍경 낮과 밤 사진을 중심으로- (Color Analyses on Digital Photos Using Machine Learning and KSCA - Focusing on Korean Natural Daytime/nighttime Scenery -)

  • 권희은;구자준
    • 트랜스-
    • /
    • 제12권
    • /
    • pp.5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색채 계획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참고할 만한 색을 도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대상이 된 이미지는 한국 내의 자연풍광을 다룬 사진들로 머신러닝을 활용해 낮과 밤이 어떤 색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고, KSCA를 통해 색 빈도를 도출하여 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낮과 밤 사진의 색을 머신러닝으로 구분한 결과, 51~100%로 구분했을 때, 낮의 색의 영역이 밤의 색보다 2.45배가량 더 많았다. 낮 class의 색은 white를 중심으로, 밤 class의 색은 black을 중심으로 명도에 따라 분포하였다. 낮 class 70%이상의 색이 647, 밤 class 70% 이상의 색이 252, 나머지(31-69%)가 101개로서 중간 영역의 색의 수는 적고 낮과 밤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낮과 밤 class의 색 분포 결과를 통해 명도로 구분되는 두 class의 경계 색채값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KSCA를 활용해 디지털 사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밝은 낮 사진에서는 황색, 어두운 밤 사진에서는 청색 위주의 색이 표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낮 사진 빈도에서는 상위 40%에 해당하는 색이 거의 무채색에 가까울 정도로 채도가 낮았다. 또 white & black에 가까운 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 명도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밤 사진의 빈도를 보면 상위 50% 가량 되는 색이 명도 2(먼셀 기호)에 해당하는 어두운 색이다. 그에 비해 빈도 중위권(50~80%)의 명도는 상대적으로 조금 높고(명도 3-4), 하위 20%에서는 여러 색들의 명도차가 크다. 난색들은 빈도 하위 8% 이내에서 간헐적으로 볼 수 있었다. 배색띠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남색을 위주로 조화로운 배색을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의 색의 분포와 빈도의 결과값은 한국 내의 자연 풍경에 관한 디지털 디자인의 색채 계획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색 분포를 나눈 결과는 해당색이 특정 디자인의 주조색이나 배경색으로 사용될 경우에 두 class 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운 색인지에 대해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분석 이미지들을 몇 가지 class로 나눈다면, 각 class의 색 분포의 특성에 따라 분석 이미지에 사용되지 않은 색도 어느 class에 얼마큼 더 가까운 이미지인지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그룹방법을 통한 백색 중앙분리대측 실선 도입의 사고감소효과 연구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 Effectiveness of White Left Shoulder Line Using a Comparison Group Method)

  • 박시내;임준범;김동인;김진홍;최명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27-134
    • /
    • 2016
  • PURPOSES : Visibility of lanes on the road improves as retro-reflectivity rises. This helps reduce traffic accidents at nighttime or in bad weath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mproved visibility on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when the color of the lane in the median of the highway was changed from yellow to white. METHODS : In order to evaluate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he white left shoulder line, Hauer (1997)'s Comparison-Group method was chosen as an analysis methodology. The JungBu-2 highway, which is equipped with the white left shoulder line and is in trial operation, was chosen as a target for analysis. Data of accidents for 10 months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accidents, the types of accidents were classified into nighttime accidents, accidents in bad weather, and median collisions.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improved visibility of lanes was analyzed. RESULTS : The analysis' finding showed that installation of the white left shoulder line decreased the number of accidents by 28%. Moreover, improvement in visibility was effective in reducing nighttime accidents by 67.63%, accidents in bad weather by 55.19%, and median collisions by 48.55%. CONCLUSIONS :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white left shoulder line on the freeway contributed to reduce traffic accidents, especially nighttime accidents, accidents in bad weather, and median collisions.

헤드램프의 시계성 평가를 위한 야간도로 영상 재현 알고리즘 (A Reproduction algorithm of nighttime road-image for visibility evaluation of headlamps)

  • 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6호
    • /
    • pp.630-639
    • /
    • 2001
  • 본 연구는 헤드램프가 조명된 이간도로의 실사영상 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램프가 조명된 야간도로 영상 추정시, 색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램프 혼합광의 분광분포와 각 물체의 표면 분광반사율에 기초한 색재현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물체의 분광반사율을 추정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법이 사용되었고, 영상의 각 영역에서 헤드램프 혼합광의 분광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거리에 따른 조도와 각 헤드램프의 분광분포를 계산하였다. 실험을 위한 헤드램프로는 HID와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였다 헤드램프가 조명된 도로의 시계성 평가를 위해 주간의 도로 영상을 촬영한 뒤 일광의 강도를 감쇄하여 야간도로 영상을 얻고 이를 이용해 각 헤드램프의 빔패턴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단수 및 복수 개의 헤드램프에 대해 예측 영상을 만들어 모니터에 재현한 후 실영상과 비교하였으며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그래픽 기반의 시계성 평가 방법에 비해 실영상에 더욱 근접함을 확인하였다.

  • PDF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adolescents assess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 Rhie, Seon-Kyeong;Lee, Si-Hyoung;Chae, Kyu-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1호
    • /
    • pp.29-35
    • /
    • 2011
  • Purpose: Korean adolescents have severe nighttime sleep deprivation and daytime sleepiness because of their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daytime sleep patterns and sleepiness have never been studied using age-specific methods, such as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PDSS). We surveyed the daytime sleepiness of Korean adolescents using a Korean translation of the PDSS. Methods: We distributed the 27-item questionnaire, including the PDSS and questions related to sleep pattern, sleep satisfaction, and emotional state, to 3,370 students in grades 5-12. Results: The amount of nighttime sleep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ge. During weekday nights, $5-6^{th}$ graders slept for $7.95{\pm}1.05h$, $7-9^{th}$ graders for $7.57{\pm}1.05h$, and $10-12^{th}$ graders for $5.78{\pm}1.13h$. However, the total amounts of combined daytime and nighttime sleep during weekdays were somewhat greater, $8.15{\pm}1.12h$ for $5-6^{th}$ graders, $8.17{\pm}1.20h$ for $7-9^{th}$ graders, and $6.87{\pm}1.40h$ for $10-12^{th}$ graders. PDSS scores increased with age, $11.89{\pm}5.56$ for $5-6^{th}$ graders, $16.57{\pm}5.57$ for $7-9^{th}$ graders, and $17.71{\pm}5.24$ for $10-12^{th}$ graders. Higher PDSS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or school performance and emotional instability. Conclusion: Korean teenagers sleep to an unusual extent during the day because of nighttime sleep deprivation. This negatively affects school performance and emotional stability. A Korean translation of the PDSS was effective in evaluating the severity of daytime sleepiness and assessing the emotional state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teenagers.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열섬특성 분석 (Analysis of Heat Islan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Urban Space at Nighttime)

  • 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3-143
    • /
    • 2012
  • 본 연구는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간을 고려한 야간시간대의 도시열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1,000 축척의 토지이용도 및 토지피복도와 DTM, 그리고 ASTER 위성영상에서 추출된 야간시간대의 지표온도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야간시간대는 건물이 밀집되어있는 단독주거지역이 상업지역이나 공공시설지역보다 열섬강도가 높았고, 이것은 에너지소비에 의한 인공열 방출이 열섬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점 때문에 공업지역에서는 건물은 가동시간에 따라 온도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한편, 도시녹지지역과 하천지역은 도시열섬을 완화하는 냉각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열섬강도가 높은 지역에 녹지 및 수변공간의 조성으로 열섬강도를 낮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야간시간대의 도시열섬을 완화하는데 있어 개발계획 수립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해풍시작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성 강풍현상에 대한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Terrain Following Strong Wind Phenomenon Effecting to the Onset of Sea Breeze)

  • 이화운;정우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5-336
    • /
    • 2003
  • 관측지점의 위치를 살펴보면 해안으로부터 수영은 약 5m정도이고 해운대는 약 1km정도 떨어져 있다. 하지만 해운대에서의 해풍시작시간이 수영보다 빨리 나타난다. 따라서 국지순환모형인 LCM을 이용하여 수영과 해운대에서 해풍시작시간에 대한 지형의 효과를 수치모의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야간의 복사냉각에 의해 형성된 흐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도심지를 둘러싸고 있는 고지대의 경사면을 따라서 수렴된 공기가 가장 저지대인 수영지역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일출 후에도 나타난다. AWS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영에서 해운대에 비해 약 3배정도 강한 강풍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수영지역이 야간공기의 유출구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지형조건이 해풍의 시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지역 낮.밤 대기에어로졸의 입경 별 수용성 유기탄소의 특성 (Characteristic of Size-Resolved Water-Soluble Organic Carbon in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Observed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in an Urban Area)

  • 박승식;신동명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21
    • /
    • 2013
  • Twelve-hour size-resolved atmospheric aerosols were measured to determine size distributions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WSOC)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and to investigate sources and formation pathways of WSOC in individual particle size classes. Mass, WSOC, ${NO_3}^-$, $K^+$, and $Cl^-$ at day and night showed mostly bimodal size distributions, peaking at the size range of $0.32-0.55{\mu}m$(condensation mode) and $3.1-6.2{\mu}m$(coarse mode), respectively, with a predominant condensation mode and a minor coarse mode. While ${NH_4}^+$ and ${SO_4}^{2-}$ showed unimodal size distributions which peaked between 0.32 and $0.55{\mu}m$. WSOC was enriched into nuclei mode particles(< $0.1{\mu}m$) based on the WSOC-to-mass and WSOC-to-water soluble species ratios. The sources and formation mechanisms of WSOC were inferred in reference to the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species(${SO_4}^{2-}$, ${NO_3}^-$, $K^+$, $Ca^{2+}$, $Na^+$, and $Cl^-$) and carbon monoxide. Nuclei mode WSOC was likely associated with primary combustion sources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Among significant sources contributing to the condensation mode WSOC were homogeneous gas-phase oxidation of VOCs, primary combustion emissions, and fresh(or slightly aged) biomass burning aerosols. The droplet mode WSOC could be attributed to aqueous oxidation of VOCs in clouds, cloud-processed biomass burning aerosols, and small contributions from primary combustion sources.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WSOC and soil-related particles, and between WSOC and sea-salt particles, it is suggested that the coarse mode WSOC during daytime is likely to condense on the soil-related particles($K^+$ and $Ca^{2+}$), while the WSOC in the coarse fraction during nighttime is likely associated with the sea-salt particles($Na^+$).

야간 PDS를 위한 광학 흐름과 기울기 방향 히스토그램 이용 방법 (Using Optical Flow and HoG for Nighttime PDS)

  • 조휘택;유현중;김형석;황젱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56-1567
    • /
    • 2009
  • 자동차 주요 생산국인 우리나라 보행자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 당 5.28명으로서 OECD 평균의 약 2.5배에 달한다. 보행자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보를 보내주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행자 교통사고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보행자 감지 시스템의 가치는 충분하기 때문에 PD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행자 교통사고율은 야간에 더 높기 때문에, 야간 보행자 감지 시스템에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관심을 두고 있으나, 그들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나이트비젼 또는 복합적 센서를 사용하는 장비를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DS에서 나이트비젼 대신에, 넓은 동적 범위를 갖는 가시 스펙트럼 대역 흑백 카메라 한 대만을 사용하는 야간 보행자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촬영된 야간 동영상들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 알고리듬이 에지가 어느 정도 정확하게 검출되는 상황이라면 정확한 보행자 검출 성능을 보였다.

가시 스펙트럼 대역 카메라를 사용하는 PDS를 위한 야간 보행자 검출 (Detecting Nighttime Pedestrians for PDS Using Camera in Visible Spectrum)

  • 이왕희;유현중;김형석;장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280-2289
    • /
    • 2009
  • 자동차 주요 생산국인 우리나라 보행자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OECD 평균의 약 2.5배에 달한다. 보행자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보를 보내주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행자 교통사고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보행자 감지 시스템(PDS)의 가치는 충분할 것이다. 보행자 교통사고율은 야간에 특히 그 비율이 더 높기 때문에, 야간 보행자 감지 시스템이 주요 자동차 회사에 의해 점점 표준 사양으로 채택되어 가고 있는데, 그들은 주로 고가의 나이트비젼 또는 복합적 센서를 사용하는 장비를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흑백 카메라 한 대만을 사용하는 PDS를 위한 보행자 영역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몇몇 다른 환경에서 촬영된 야간 동영상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안 알고리듬이 기존 알고리듬보다 더 빠르면서도 보행자 후보 영역을 더 정확하게 검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