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ly reclaimed soi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초

신 간척지토양의 공간적 염농도 변이가 녹비·사료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atial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Growth of Soiling and Forage Crops Seeded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 손용만;전건영;송재도;이재황;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79-186
    • /
    • 2009
  • 최근에 간척 조성된 화옹, 이원 및 영산강간척지에서 밭작물재배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7~2008년 2년간 간척지의 염농도변이와 녹비 사료작물의 생육과의 관계를 시험연구하였다. 토양염농도는 여름철 호우시 배수불량에 의한 침수피해가 심하였든 영산강간척지와 화옹간척지에서는 시험작물의 생육에 유의적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침수피해가 없었든 이원간척지는 염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생육과 수량은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큰 초장에 대한 대비 50% 이상 생육저해를 나타내는 표토염농도는 콩 $5dS\;m^{-1}$, 옥수수 $6dS\;m^{-1}$, 수단그리스, 피 및 세스바니아는 $7dS\;m^{-1}$ 정도로 추정되었고, 이 저해농도에서의 녹비수량의 감수율은 최고수량대비 26~44%수준으로 염농도에 대한 수량감수피해가 초장단축저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작물의 건물수량 $kg\;10a^{-1}$)은 장소에 따라 변이가 매우 커서 잘 된 장소가 수단그라스 2,426, 제주재래피 907, 세스바니아 1,881, 옥수수 2,032, 콩 924정도로 높은 편이지만 염농도가 높고 침수나 습해를 입은 장소는 전혀 수확이 없는 개무 상태였다. 상대적으로 염농도가 낮은 영산강과 배수가 좋은 이원간척지는 비교적 수량이 많았으나 화옹간척지는 염농도도 높고 배수도 불량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한 연구 -III.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에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개량제시용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Soybeans -III. Effects of Soil Improvement on N2 Fixation and Yield of Soybean Inoculated with Rhizobium japonicum in Newly Reclaimed Upland Soil)

  • 류진창;이상규;이혁호;홍종운;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8-194
    • /
    • 1983
  •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 있어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비료(肥料)와 개량제 시용(施用)이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대두수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pot시험(試驗)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大豆) 근류(根瘤)에 의(依)한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과 비료(肥料) 및 개량제 시용(施用)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2.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질소흡수량 및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을 높여 콩수량을 4~10% 증대시켰다. 3. 콩 다수확재배기술체계 확립(確立)을 위하여 토양비옥도가 극(極)히 낮은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는 개량제의 시용(施用)과 근류균(根瘤菌)과 접종(接種)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zation of Kinetics of Urea Hydrolysis in A Newly Reclaimed Tidal Soils

  • Kim, Hye-Jin;Park, Mi-Suk;Woo, Hyun-Nyung;Kim, Gi-Rim;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4-90
    • /
    • 2011
  • It is imperative to study the hydrolysis of urea in high saline-sodic condition of a newly reclaimed tidal lan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use of urea fertilizer.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is study tried to get a convenient way of estimating rate for N transformation needed in N fate and transport studies by reviewing pH and salt contents which can affect the microbial activ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rate of urea hydrolysis. The hydrolysis of urea over time follows first-order kinetics and soil urease activity in reclaimed soils will be represented by Michaelis-Menten-type kinetics. However, high pH and less microorganisms may delay the hydrolysis of urea due to decrease in urease activity with increasing pH. Therefore, the rate of urea hydrolysis should adopt $V_{max}$ referring enzyme activity ($E_0$) accounting for urease concentration which is indicative for urea hydrolysis, especially in a high saline and sodic soils.

Understanding to Enhance Efficiency of Nitrogen Uses in a Reclaimed Tidal Soil

  • Lee, Sang-Eun;Kim, Hye-Jin;Park, Mi-Suk;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55-960
    • /
    • 2012
  • 신간척지 토양 pH는 7.5 이상의 알카리성 토양으로 요소와 같은 화학비료 처리 시 휘산에 의한 손실이 증가하여 비료효율이 저감된다. 한편 퇴비와 같은 유기태질소를 함유하는 유기질비료를 처리하더라도 토양 내 Nitrosomonas나 Nitrobactor와 같은 미생물상이 미약하여 질산화과정이 미약하여 실질적 유기질비료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논과 같이 초기부터 담수상태로 시작하는 토양에서는 식물체가 질소원을 양분으로 이용하기 전 탈질화과정을 거치거나 아니면 용탈과정을 통하여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토양 pH가 7.5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요소형태로 토양에 가해진 질소원으로부터 암모니아가스 발생이 급격히 증가되면 실질적 질소질 비료의 이용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pH7 이상의 간척지 토양에 요소를 질소원으로 처리 시 암모니 움태나 질산태 형태의 가급태 질소원은 매우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담수하에서의 간척지 토양의 산화환원 특성과 토양 pH에 따른 처리 비종과 처리 기술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간척지 토양환경 조건별 토양내 질소 동태와 영향 요소 (Fate of Nitrogen Influenced by Circumstances of a Reclaimed Tidal Soils)

  • 한상균;김혜진;송진아;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45-751
    • /
    • 2011
  • In most agricultural soils, ammonium ($NH_4^+$) from fertilizer is quickly converted to nitrate ($NO_3^-$) by the process of nitrification which is crucial to the efficiency of N fertilizers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However, nitrification studie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agricultural soils, not in a newly reclaimed tidal soil which show saline-sodic and high pH.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te of nitrogen species transformed from urea introduced into reclaimed tidal soil is important for nutrien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quality. This paper reviewed studies regarding to transformation and fate of nitrogen sources such as urea under the circumstances of a reclaimed tidal soils located in a western coastal area.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개량방법별(土壤改良方法別) 작물(作物)의 경제성(經濟性) 검정(檢定) (Economic Evaluation of Crops Grown under Different Soil Improvement Methods in Newly-reclaimed Sloped Land)

  • 허봉구;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6-260
    • /
    • 1995
  • 신개간지인 송정양토(松汀壤土)에서 토양 개량방법별로 경제성 있는 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4년간(年間) 대조구, 퇴비구, 심경구, 인산구, 석회구, 종합개량구등 6개 처리를 하여 옥수수, 콩, 율무, 고구마를 재배하면서 작물 수량과 토양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의 孔隙率은 고구마구의 공극율이 가장 높았으며 개량제 시용이 없었던 4년차의 공극율이 가장 낮았다. 연차간(年次間)의 평균수량(收量)은 대조구에 비해 수량이 가장 많았던 종합개량구에서 옥수수가 132%, 콩이 29%, 율무가 49%, 고구마가 59% 증수되었다. 토양(土壤)의 개량처리(改良處理)로 각작물 수량의 평균 증수율(增收率)은 옥수수 53%, 총 15%, 율무25%, 고구마 38%이었다. 개량제 비용을 공제한 경제성분석(經濟性分析)에서는 옥수수재배시 퇴비처리구를 제외한 전작물(全作物)에서 개량제 처리는 경제성이 있었으며 고구마의 수익성이 가장 높았다.

  • PDF

신개간경사지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에 관한 연구 VI. 토양의 물리화학성 년차간 변화가 옥수수 청예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Soil Improvement and Plant Growth on the Newly-Reclaimed Sloped land VI. Relationship between annual change of soil phsico-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of silage corn)

  • 허봉구;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2-29
    • /
    • 1991
  • This study was experimen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hangeable aspect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in newly-reclaimed sloped land. Silage corn was cultivated under the six different treatments for 4 years.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r ratio of annual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of silage corn were analyzed. Soil bulk density was decreased in 3rd year at topsoil, but that decreased in 4th year at subsoil. Soil organic matter also decreased in 2nd year at topsoil, and decreased continuously at subsoil. Bulk density and hardness of soil depth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simple correlation with dry matter yield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hemical properties with dry matter yield were low. The range of annual changes of moisture percent, hardness and organic matter were wider than the other properties. The significantly different of physical properties were higher than the chemical properties, and those of topsoil were higher than subsoil.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between yiel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bsoil, bulk density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in the greatest contribution at the variations, but bulk density was greatest at the ratios.

  • PDF

Managing Soil Organic Matter and Salinity by Crop Cultivation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Bae, Hui Su;Jang, Hyeonsoo;Hwang, Jae Bok;Park, Tae Seon;Lee, Kyo Suk;Lee, Dong Sung;Chung, Doug 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0-60
    • /
    • 2018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incorporation on soi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under two different soil salinity levels and various cultivated crops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e soil texture of the experimental site was sandy loam. Four different crops, sesbania (Sesbania grandiflora),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Sorghum sudanense), rice (Oryza sativa L.) and barley (Hordeum vulgare) were cultivated at low (< $1dS\;m^{-1}$) and high (> $4dS\;m^{-1}$) soil salinity levels. The soil salin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at the rice cultivation site compared to continuous upland crops cultivation site in high soil salinity level. But the soil salinity was increased as cultivating sesbania coutinuously in low soil salinity level.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as increased with the incorporation of straw at the continuous site of rice and barley, and the average of soil organic matter was increased by $0.9g\;kg^{-1}$ per year which was effective in soil aggregate formation. The highest biomass yield plot was found in barley (high salinity level) and sesbania (low salinity level) cultivation site, respective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rice cultivation in paddy field with high salinity level was effective in lowering soil salinity and sesbania cultivation was useful to biomass production at upland with low salinity. In conclusion, soil salin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for multiple land use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

Characteristics of a Reclaimed Tidal Soil for Effective Resalization at Saemangum and Youngsan-River

  • Chung, Doug-Young;Kim, Hyejin;Park, Misuk;Lee, Sang-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222-1229
    • /
    • 2012
  • 간척지토양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염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염고농도의 염 특히, 높은 $Na^+$ 농도는 점토의 분산을 일으키고 토양의 공극을 감소시켜 토양의 공기와 수분의 유통을 악화시키고 고농도의 염은 생리적가뭄(physiological drought)의 한 가지 형태인 낮은 수분퍼텐셜을 발생시켜서 수분과 양분의 흡수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간척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간척지 토양에 대한 제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염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물리성 개선을 통하여 토양의 화학성을 개선시켜야 한다. 본 조사를 기준으로한 간척지토양 개선은 물리성 중 물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심층토 내 토양압밀층 개선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높은 지하수위에 의한 모세관상승에 동반한 재염화를 방지하기 위한 토양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간척지의 효과적 재염 (Resalization)방지와 제염(Desalinazation) 방안에 대한 토질역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변화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정영상;천소을;주영규;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9-300
    • /
    • 2009
  •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 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등이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