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ly reclaimed soi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 질소시비(窒素施肥)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rtilizer N Application and Bradyrhizobium sp. (Vigna) Inoculation on Symbiotic N2 Fixation of Peanut at Newly Reclaimed Soil)

  • 이상복;최윤희;김무기;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0-226
    • /
    • 1990
  • 질소시비(窒素旅肥)와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호남지역(湖南地域) 야산신개간지(野山新開墾地) 토양(土壤)에 질소무시비(窒素無旅肥)에서 32kg/10a시비(旅肥)까지 5수준(水準)으로 하고 국내(國內)에서 선발(選拔)한 B. sp. HCR-3와 HCR-46균주(菌株)를 각각(各各) 영호(嶺湖)땅콩에 접종(接種)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접종후(播種後) 근권(根圈)에서 접종균주(接種菌株)의 생존세포수(生存細胞數)는 질소시비량(窒素旅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땅콩이 생육(生育)함에 따라 20일(日)까지는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 증가(增加)하여 125일(日)에는 8kg/10a이하(以下) 시비구(施肥區)에서 초기접종수준(初期接種水準)에 달하였다. 2. 근류수(根瘤數), 근류중(根瘤重),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수록 감소(減少)되었고 균접종(菌接種)으로 인하여 무접종(無接種)보다 증가(增加)되었다. 3.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窒素吸收)량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균접종(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보다 소비구(少肥區)에서는 높았으나 다비구(多肥區)일 수록 차이가 없었다. 4.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는 질소(窒素) 8kg/10a시비구(施肥區)에서 가장 높았으나, 접종구(接種區)에서는 8㎏/10a 시비구(施肥區)까지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그 이상(以上) 증시(增旅)할수록 접종(接種), 무접종(無接種) 모두 감소(減少)하였으며, 또한 질소무시용하(窒素無旅用下)에서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에 비(比)하여 27~32%증수(增收)되었는데 이는 질소(窒素)로써 8kg/10a시비(旅肥)와 유사(類似)하였다.

  • PDF

시비량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er Levels o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Pearl Millet)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96-399
    • /
    • 1989
  • 본 시험에서는 일반숙전과 신개간지 토양에서 비료 증시용이 진주조의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 ,청주, 전주, 진주 및 북제주에서 1986∼'88년 시험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사 초장, 청예수량, 및 단백질함량이 증가하였다. N30kg/10a까지는 도복이 많이 되었다. 초고가 1m 이상되고 일기가 불순하여 도복이 우려되면 지표면에서부터 20cm 남기고 예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일반숙전토양에서 N45∼60kg/10a 구에서 평균 청예수량 12.7∼13.4t/10a이 생산되어 가장 증수되었다. 인산, 가리비료의 증시효과도 있었다. 특히 가리사료의 증시효과가 컸다. 3. 신개간지 토양에서도 개양식 배비구(60-60-40-4000kg/10a)에서 청예수량 12.6t/10a이 생산되어 표준비구에 비하여 38% 증수되었다, 진주조 청예수량이 수수류나 옥수수에 비하여 월등히 증수되었다. 4. 청예용 식물체의 조단백질함량도 진주조 1회 예취에서 11.8%, 4회예취 평균 16.1%로 월등히 높았다. 소화율도 57.6∼63.4%로 옥수수 46.3%, 수수/수단그라스 47.3∼57.6%에 비하여 높았다.

  • PDF

전토양(田土壤)의 지력유지(地力維持)와 농지보전(農地保全) (Soil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Fertility on Upland Soils)

  • 오왕근;류인수;안연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60
    • /
    • 1973
  • 우리나라의 밭, 특(特)히 경사지(傾斜地)에 위치(位置)한 신개간지(新開墾地)는 비옥도(肥沃度)가 낮은데 인산(燐酸)을 함유(含有)한 용성인비(熔成燐肥)를 다량전면시비(多量全面施肥)하고 나서 분행법(憤行法)에 따라 비료(肥料)3요소(要素)를 시비(施肥)하고 작물(作物)을 재배(栽培)하면 개간초년(開墾初年)부터 상당(相當)한 수획(收獲)을 거두는 동시(同時), 토양(土壤)을 빨리 비옥(肥沃)하게 할 수 있다. 위의 방법(方法)에 의(依)하여 토양(土壤)의 인산비옥도(燐酸肥沃度)를 높이면 퇴비(堆肥)가 제한(制限)된 조건하(條件下)에서도 척박한 땅의 개간재배(開墾栽培)가 가능(可能)할 것이다. 우리나라 우기(雨期)는 6월(月)에서 9월(月)까지 이기 때문에 이 동안에 밭에 작물(作物)이 있도록 작부체계(作付體系)를 갖추는 동시(同時), 지표면(地表面)이 완전(完全)히 덮히도록 잘 비배(肥培)할 것이며, 만약(萬若) 그렇지 못할 경우(境遇)는 짚을 10a 당(當) 200kg 가량을 고루 뿌려 지표면(地表面)에 떨어지는 우적(雨適)의 강도(强度)를 낮추어야 한다. 동시(同時)에 경사도(傾斜度) 5도(度)까지는 등고선재배(等高線栽培), 5도이상(度以上) 15도이하(度以下)까지는 승수구설치재배(承水溝設置栽培), 보릿짚 피복(被覆), 대상재배(帶狀栽培), 간혼작재배(間混作栽培) 및 토양보전작물재배(土壤保全作物栽培), 15도이상(度以上)에서는 계단식개간재배(階段式開墾栽培)를 해야 할 것이다.

  • PDF

신개간지(新開墾地) 사질토(砂質土)에서의 콩, 보리에 대한 인산(燐酸) 전면살포(全面撒布)와 파조시용(播條施用)의 효과 (Differences in Soybean and Barley Yields by Broadcast and Band Application of Phosphorus on a Newly Reclaimed Hilly Land)

  • 박양호;류인수;김영우;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2-177
    • /
    • 1982
  • 신개간지(新開墾地)인 삼각사양토(三角砂壤土)에서 인산(燐酸)의 전면살포(全面撒布)와 파조시용(播條施用)의 콩 보리에 대한 효과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6년부터 1979년까지 6작(作)에 걸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시용방법(燐酸施用方法)은 콩 보리 공히 전면살포(全面撒布)가 파조시용(播條施用)보다 수량(收量)이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콩의 수량(收量)과의 관계식(關係式)에서 전면살포(全面撒布)는 220ppm, 파조시용(播條施用)은 200ppm에서 최고(最高)의 수량(收量)을 보였는데 이때의 수량(收量)은 각각 322kg/10a, 259kg/10a로서 인산(燐酸) 전면살포(全面撒布)의 수량(收量)이 높았다. 또 제1작에 용성인비(熔成燐肥)로 인산(燐酸) 38kg/10a, 그 후부터는 매작 6kg/10a을 전면살포(全面撒布)한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收量)을 얻었다. 3. 인산(燐酸)의 전면살포(全面撒布)는 뿌리의 수평분포(水平分布)를 많게 하였고 뿌리의 무게도 파조시용(播條施用)에 비하여 높았다.

  • PDF

신개간지토양(新開墾地土壤)에서 석회비종(石灰肥種)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ime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t newly reclaimed soil)

  • 김희권;전장협;정지호;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44
    • /
    • 1989
  •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 토양(土壤)의 숙전화(熟田化) 및 수양증대(收量增大)를 위(爲)해 전북(全北) 김제(金堤)에서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황산석회(黃酸石灰), 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의 1.5배(倍),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의 1.5배(倍)를 처리(處理)하여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처리간(處理間)에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은 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 1.5배(倍)>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 1.5배(倍)>석회약토중화량(石灰若土中和量)>황산석회(黃酸石灰)>소석회중화량(消石灰中和量)>관행순(慣行順)으로 높았으며 1 %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 있게 증가(增加)하였다. 2.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T-N, $P_2O_5$, CaO 및 Mgo)과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3. 수량(收量)과 개화기(開花期) 식물체중(植物體中)의 MgO, CaO와는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으나 Mn 함량(含量)과는 유의적(有意的) 부상관(負相關)이었다. 4. 개화기(開花期) 토양중(土壤中)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시험전(試驗前)보다 높았으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와 수량(收量)은 유의적(有意的) 정상관(正相關)이었다.

  • PDF

신간탁지 토양의 제염이 보리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salinization on Early Seedling Growth of Winter Barley in New Tideland)

  • 이강수;최선영;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2-118
    • /
    • 1997
  • 본 연구는 신간탁지 제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해남간탁지의 토양을 대상으로 제염효과를 분석하고 제염정도에 대한 보리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1. 공시토양은 점토함량이 16%이고 함량이 75%인 철사질양토이며 pH는 8.0이고 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는 59mS / cm인 염류알칼리토양이었다. 2. 토양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를 4mS / cm이하로 낮추기 위한 제염용수량은 5cm 깊이의 토양에서는 140mm였고, 20cm 깊이의 토양에서는 240mm였다. 3. 제염과정중 토양포화용액의 pH값은 8.0에서부터 8.3까지 높아졌다. 4. 보리종자의 출아률은 8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76%이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5. 보리의 초장은 파종후 1과와 2과에서는 12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그리고 파종후 3과와 4과에서는 16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정상으로 신장하였다. 6. 보리 엽면적과 생체종 파종후 2과에는 12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파종후 3과에는 160mm이상의 제염용수량에서 염해의 발생이 없었다.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간탁지에서 보리의 초기 생장기의 정상생육을 위한 토양포화용액의 전기전도도는 20cm 깊이의 토양에서 9mS / cm 이하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새만금간척지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증비 효과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Increment on Forage Crops Cultivation in Saemangum Reclaimed Land)

  • 양창휴;김선;이장희;백남현;김택겸;최원영;정재혁;이상복;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5-240
    • /
    • 2012
  •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 (광활지구) 신간척지에서 조사료의 안정생산을 위하여 사료작물 재배시 질소 증비효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코자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동계 사료작물로 청보리 (영양), 하계 사료작물로 옥수수(광평옥), 수수${\times}$수단그라스 (G7)를 재배하여 토양화학성, 양분흡수량,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공시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칼슘 함량이 매우 적었고 치환성 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많은 강알칼리성 염류토양 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토양염농도 변화는 0.1%이하를 나타냈고 염피해는 없었다. 동 하계작물 경엽 및 곡실 중 무기양분 함량은 질소증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옥수수에서 높았다. 특히 청보리 무기성분 중 T-N, CaO, MgO 함량은 일반농경지에서 재배된 것에 비하여 2배정도 낮은 반면에 $P_2O_5$, $Na_2O$ 함량은 2배정도 높았다. 청보리는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수 확보가 많았으며 $10,740{\sim}13,17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또한 하계작물은 질소증비로 초장이 길고 경직경이 굵었으며 옥수수 $13,120{\sim}15,050kg\;ha^{-1}$, 수수${\times}$수단그라스 $14,400{\sim}19,440kg\;ha^{-1}$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간척지토양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분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종합적인 토양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개간 산지토양에서 초지조성 비종별 목초의 생산성 및 품질 비교 II, 목초 중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과 양분수량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Fertilizers on the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II. Changes in the contents and yields of mineral and general components)

  • 정연규;임요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4
    • /
    • 2001
  • 신개간 산지초지의 정착, 목초의 수량제고 및 품질향상 등에 미치는 초지조성비 비종별 시비효과를 구명하고, 초지조성 및 유지관리에 비효가 높은 적합한 비료를 선택하고자 미개간 산지토양을 공시한 pot 시험으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된 초지 조성비 3요소 비료처리구는 1) 무비구, 2) 요소-중과석-염가, 3) 요소-용성인비-염가 및 4) 3종 복비로 하였다. 본보에서는 무기양분 및 일반성분의 함량 및 양분수량(탈취량)을 검토하였다. 1. 무기양분의 함량에서는 복비구가 orchardgrass, ladino clover 및 이들의 혼합목초 공히 N, P. Ca, Mg, Na 함량이 중과석 및 용인구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초종별 무기양분 수량(발취량)은 일반적으로 3종 복비>용인>중과석 시비주 순으로 높았고, ladino clover와 혼합목초에서 3종 복비 시비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일반성분 함량은 3종 복비 시비구가 각 구성 초종 공히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중과석과 용인구보다 높았으며. 각 일반성분의 양분수량은 구성 초종에서 ladino clover 및 혼합목초에서는 3 종 복비구가 월등히 높았다. 반면에 orchardgrass 목초에서는 비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3종 복비>용인>중과석 시비구 순으로 건물수량, 양분 함량 및 양분수량 등에서 양호한 특성을 보였다.

  • PDF

Current Status of Ginseng Cultiv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in China

  • Park, Yang Ho;Kim, Jang Uk;Kim, Dong Hwi;Sonn, Yeon Kyu;Yun, Jin Ha;Moon, Huhn Pal;Cho, Soo Y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95-806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ontinuous technique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ginseng industry to Korea-China FTA negotiation and conclusion,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ginseng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It was carried out the visiting of th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Jilin, Liaoling and Heilongjang) in China for 3-year from 2014 to 2016 and observed the farmers' fields of ginseng cultivation with soil environmental status. The types of ginseng cultivation could be observed in small scales of 0.5~3.0 ha, in middle scales of 4.0~10.0 ha and in large scales of 30~700 ha with the kinds of imhasam, Chinese ginseng, Korean ginseng and western ginseng. Also ginseng was cultivated in newly reclaimed land of forest in two types of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of ginseng seedlings. The field beds of ginseng growing were covered with vinyl films in arch design of 100~130 cm height and vinyl was painted in spraying with blue, green and yellow colours for shading. It was investigated in statu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The phys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soils were silt loam, loam and sandy loam in soil textures, and some plain in low slope, some alluvial fan or local valley in forest of land topography. Soil pH ranged within 5.0~5.2, soil EC was $0.93{\sim}3.78dS\;m^{-1}$, organic matter was $37{\sim}35g\;kg^{-1}$, nitrate nitrogen $63{\sim}490mg\;kg^{-1}$, available $P_2O_5$ $55{\sim}163mg\;kg^{-1}$, and in exchangeable cations, K was 0.30~0.98, Ca was 6.5~14.0, Mg was $1.1{\sim}5.3cmol_c\;kg^{-1}$ in ranges. Farmers used the fertilizer for ginseng cultivation in 10~11 t of compost, $200{\sim}400kg\;ha^{-1}$ of complex fertilizer and $750kg\;ha^{-1}$ of oil cakes. The northeastern three provinces of China can use the newly lands with large areas of ginseng cultivation in soil sickness by continuous cropping. and the soil basic fertility is batter than that of Korean in standard guide of ginseng cultivation soil.

야산(野山) 개간지(開墾地) 토양(土壌)에서 인산시비방법(燐酸施肥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이 대두수량(大豆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Soybean Yield as Influenced by Method and Rate of Phosphate Application in Reclaimed Soil)

  • 박건호;채재석;황남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63
    • /
    • 1983
  • 호남야산(湖南野山), 신개간지(新開墾地) 토양(土壌)에서 대두(大豆)의 수량성(收量性)을 증대(増大)시키기 위(為)하여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용방법(施用方法) 및 시용량(施用量)을 검토(検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방법(施肥方法)에서는 전층시비구(全層施肥区)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나타냈으며 국부시용구(局部施用区)에서 수량(收量)이 가장 낮았다. 2.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시비량별(施肥量別) 효과(効果)는 표층시비구(表層施肥区)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5%로 조절시용(調節施用)한 구(区)에서 수량(收量)이 높았으며 국부시비(局部施肥)와 전층시비(全層施肥)에서는 인산흡수계수(燐酸吸收係数) 10%로 조절(調節)한 시용구(施用区)에서 각각(各各) 수량(收量)의 증가(増加)가 현저(顕著)하였다. 3.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를 다량시용(多量施用)한 구(区)에서는 대체(大体)로 경태(茎太)가 굵고 분지수(分枝数)와 협수(莢数)가 증가(増加)되었다. 4.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다량시용(多量施用)에 따라 토양중(土壌中) 유효인산함량(有効燐酸含量)은 시험전(試験前) 9ppm에서 시험후(試験後)에는 48~223ppm로 증가(増加)되었으며 염기류(塩基類)의 함량(含量)도 대체(大体)로 증가(増加)되었다. 5. 식물체(植物體)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 수량(收量)과는 r=0.948로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関)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