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Town Pla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9초

농촌생활환경정비 대상 시설항목의 선정: 정책적 제안 (The Policy Proposal for Selecting Facility-stems of Rural Living Environment Renewal Program)

  • 윤원근;이상문
    • 농촌계획
    • /
    • 제4권2호
    • /
    • pp.8-19
    • /
    • 1998
  • The problem of outdated and surplus facility-items in existing Rural Living Environment Renewal Program(RLERP) makes this study focus on restricting the range of facility sorts for the purpose of coㅁins with the changing rural living environment. In the four aspects of plan establishment, project implementation, comprehensiveness and linkage between program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the existing RLERP that has 4-stage hierarchy, namely, Gun(county), Myun(primary administrative district), village and project site level Firstly, Myun and upper level policy programs fulfill the comprehensiveness and planning aspects, but have defects in the implementation and linkage aspects. Secondly, the village level programs satisfies more or less the four condition, but give rise to the problems of equity between the project target village and the non-target, and of generalization of the planning method applying to a specific village. At last, project level programs, controlled by several ministries, have defects in comprehensiveness and linkage aspects, exposing the sectoralism of central government. Above all, the existing RLERP has so many facility items, which have led to inefficient investment till now. Therefore, it's necessary that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should be selected(simultaneously reduced ), referring to following 5 criteria. (1) Exception of facilities relating to agricultural production. (2) Confined to public facilities to be constructed by government support. (3) Common-use facilities located in small town and below level area. (4)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present need but also the future need of rural residents. (5) Reflection of a regional difference of mountain, plane and suburban area. Just 13 kinds of living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finally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selecting work, which can be an new alternative for RLERP. Concludingly, the selected facility items should be integrated into a designated project site by the prepared pla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LERP, investment and also to satisfy the four analytic aspects mentioned above.

  • PDF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내구성 분석 및 사용자 인식 연구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urab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parking lot and User Awareness on apartment -Focusing on the Bundang New Town-)

  • 서명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27-734
    • /
    • 2021
  • 제 1기 신도시 중에서 분당신도시를 중심으로 거주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의 신도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대상지에서 육안검사와 일부 기기검사로 내구성을 평가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주택의 내구연한과 사용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급격한 열화 진행 부분에서 나타나고 있는 많은 균열들을 조속히 보수하여야 하며 체계적인 계획을 입안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분당 신도시 거주자의 공동주택 인식조사에서는 약 93.4%가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43.4%는 거주 지역에 대하여 호감을 가지고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중심지 위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Central Hierarchy Analysis: Focus on Daejeon)

  • 류경수;박성은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57-7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 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2040년 대전의 중심지 위계와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미래의 대전시의 도시공간에서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구밀도, 건축물의 용도(상업 및 업무, 주거 등), 통행량 데이터(KTDB) 등 3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를 활용하여 중심지 위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핵)기능을 담당하는 1차 중심지는 둔산도심과 원도심(대전역세권, 도심융합특구지정), 도안신도시 일원으로 3개 지역으로 설정하고, 부도심(지역거점)에 해당하는 2차 중심지는 9개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중심(생활권 중심)에 해당하는 3차 중심지는 10개, 그리고 특화거점 5개를 신설하는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상 중심지 위계와는 다른 새로운 2차 중심지와 3차 중심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3개 지표를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 위계 설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Bridge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and Its Implications on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15-30
    • /
    • 2005
  • A deserted town once vibrant with active commercial activities around a railroad station now tries to find a way to escape from depression and revive its life with a renewed civic pride. An open space adjacent to the Main Street, the commercial district of Buzzards Bay, Massachusetts, is waiting to be transformed and reconfigured to be a new ecological park to boost the economy of the community. Bridge Park is 26-acre land abutting the Cape Cod Canal with a railroad bridge as a backdrop. The existing condition of the site with a small salt marsh, woodland, lawn, and the vestige of old railroad easement along with the proximity to the commercial district poses an interesting question of how to make a medium scaled ecological park within an urban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winning design proposals for the Bridge Park submitted to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held in April, 2005. Six winning proposals were introduced and discussed in terms of categories related to the trend of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such as; 1) ecological ordinariness and geometric figures, 2) topography and spatial imagination, 3) minimal programs and open put 4) time and process oriented design, 5) park and economic effects and 6) diagrammatic plan and photo montage. Bridge Park Design Competition confirms the complex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the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overcoming the dichotomy between nature and culture and the 'pastoral ecological design' and 'landscape as an art'. The Park becomes the activating agent for the community rejecting the conventional and passive role as a romantic picturesque landscape. Bridge Park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is a meaningful event to test the idea of new ecological urban park, and to fine-tune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urban park design.

도시공원의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 경기도 권역을 중심으로 - (Strategies to Improve Parks' Accessibility in City - Focus on Gyeonggi-do Region -)

  • 성현찬;신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3-9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rangement of parks, in whole city level by using park's effective distance and to find the accessibility obstacles in case of using parks, in boundary of each parks' effective distance, so that to show how to improve communities' usage of city parks. The 8 cities in Gyeonggi-do and analysed the effective distance of parks. To find the accessibility obstacles in the boundary of parks' effective distance, 1) we choose 18 sample parks and extract obstacles - wide road, rail road, river- in interior and verify it by field survey and asking the park user's residents direct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san city and Goyang city are only satisfied with the minimal city parks size standard, so that the rest 6 cities are lack of quantities which residents can use. The result of analyzing effective distance in whole city level, parks are mainly designated in new-town, so that most cities which have old-towns have very poor park systems to use. Because Ansan city is new-planned city, it is very effective arrangement in park systems exceptionally. Second, $96.2\%$ of park users' are living in the area which was easy to gain access not intercepted by wide road, rail road or river. Third, therefore at the stage of planning park, effective distance and resident's accessibility as well as park's supply quantitatively are needed to be considered. In addition, selection of location and elevation of resident's safety and accessibility through making a plan must be reflected. In the low accessibility area, the program to improve park's accessibility and amenity - like making small park or pocket park, linking parks with resident-friendly road etc.- has to be investigated.

U-City 활성화를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Ubiquitous City Activation)

  • 장환영;사공호상;이재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67-78
    • /
    • 2015
  •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2010년까지 신도시 지역에 활발히 추진된 U-City 사업의 제도적 근간으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기성시가지 재활성화, 도시재생 중심으로 국가의 도시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신도시 중심의 절차법적 성격이 강한 U-City법 개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시정책의 변화와 U-City를 둘러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U-City법 개정방향을 U-City 사업다양화, U-City 관리운영 강화, U-City 사업지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도시정책 흐름 및 수요를 반영함에 있어 실무적 관점에서 현행 U-City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살피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U-City 발전 및 확산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차원의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개발예정지역의 환경생태계획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tion Selection for Rainwater Circulation System Elements at a City Level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 of a Development -)

  • 김효민;김귀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1
    • /
    • 2012
  • 본 연구는 신도시 개발 등 규모가 비교적 큰 도시개발에 있어 빗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통합빗물관리를 위한 자연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 선정 방법을 개발하여 수문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물순환을 회복하여 저영향개발(LID)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출량 저감뿐만 아니라 도시 내의 수공간 및 녹지공간의 증가로 인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빗물관리를 위한 빗물순환체계 요소별 입지 선정을 위한 최종적인 빗물순환체계 요소로는 집수, 침투, 여과, 저류, 이동 공간의 5가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요소별 입지선정 항목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도출된 평가항목과 기준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적합성지수 이론을 바탕으로 Gridcellanalysis를 실시하여 각 요소별로 적합성평가를 통해 주제도를 중첩하고 종합하여, 적합성지수에 따라 등급화 함으로써 요소별 조성가능 우선지역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방법은 경북 김천 혁신도시 개발예정지에 적용함으로써 그 실행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각 요소별 주제도의 중첩 결과는 Verylow, Low, Moderate, High, Veryhigh의 5단계로 구분하여, 공간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 토지이용계획도면 위에 빗물순환체계 구상도를 작성해 봄으로써 환경생태계획 후 세부공간계획 단계에서 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친환경적 도시계획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종사상 지위분류에 따른 산업분포변화: 부산, 1994~2004 (The Change of Industrial Distribution Pattern by Worker Status Classification : Busan, 1994~2004)

  • 강인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1-121
    • /
    • 2007
  • 도시산업구조의 진단과 예측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계획수립을 위한 주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관련 도시공간구조 연구들은 주로 도시산업체 자료나 총 종사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공간분포의 측정에 집중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 문제를 포함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읍면동 단위의 1994년 및 2004년 종사상 지위별 자료를 수집하고 동 변화자료를 기반으로 공간분석 단위를 일치시킨 후 GIS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분류체계 자료를 활용한 도시산업구조의 질적 변화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GIS환경에서 부산시 산업구조의 종사상지위 유형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고, 서비스업 및 도소매업은 영세한 생계형으로 진행되어 부산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통계상으로는 종사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비정규직과 비임금 노동자가 급증하면서 부산지역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도심지는 쇠퇴하는 반면 신도시나 신흥공업단지가 형성된 지역,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일자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구조의 행태적 패턴 뿐 아니라 종사상지위라는 질적 평가를 통한 장기적 차원의 산업발전계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PDF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 세종시를 대상으로 (Application of Ventilation Corridor 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for the Sejong-Si)

  • 남성우;성선용;박종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내륙 분지에 위치하여 대기 정체율이 높은 세종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한 바람길의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내 바람길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신도시 건설에 따른 신선한 대기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둘째, 도시공간에서 바람길을 확보함으로써 대기순환을 촉진해야 함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산유체역학모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건설 전과 후의 탁월풍의 풍속, 풍향 변화와 일몰 후 생성된 시원한 공기가 낮은 지대를 따라 흐르는 특성이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블록단위에서 바람길과 순응하는 건축물을 배치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 가능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신선한 공기가 도시 안으로 원활히 유입,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바람 통로를 조성하고, 적절한 건축물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는 공원, 광장, 놀이터 등 공공시설들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옥외활동을 유인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 등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바람길 분석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 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8
    • /
    • 2010
  •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시재생적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산업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나타나는 도시화의 새로운 특성과 양상, 또 산업화시대의 신도시 이상을 넘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도시 이상과의 상관성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의 랜드스케이프의 의미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장식적 차원의 정태적 풍경이 아니라, 변화, 진화 등의 맥락에서 동태적 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식정보산업사회가 지식 정보의 흐름 등 가속적 변화와 과정적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에 따라 도시화도 형태와 기능 중심에서 흐름, 네트워킹, 중심성과 결절성, 지표면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가치지향의 과정적, 동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3자간에는 그 본질적 개념에 있어 상호 관통되고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시대의 도시화에 대한 반성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이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본질적으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점유된 도시 경관판을 그린 인프라 구축과 디자인이라는 맥락에서 생태판에 문화를 도입한 문화판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일정의 괘를 같이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8개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도시가 자연과 역동적으로 소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생태판의 구축, 생태와 도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생태판의 문화판으로의 전환, 주택 및 상업지역에서의 그린 인프라 구축 등의 관점에서, 건폐율 규제, 높이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도시이전적지의 공원화, 하천 등 도시워터프론트의 공원화 등의 전략에서 공원의 도시적 관입 및 확산과 더불어 공원혼합용도에 대한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관판을 형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 사회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전략계획제의 도입이 논의되었고, 특히, 이미지니어링을 통한 가치계획을 추구함으로써 기능중심의 도시화에서 가치창출과 브랜드형성 차원의 도시화로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 모든 전략을 위해 기존의 경관, 토지이용 등 건축 및 도시개발 관련 각종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