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cords

검색결과 1,580건 처리시간 0.031초

기록관리기관은 문화유산기관인가? 저작권법의 고아저작물 예외규정에서 기록관리기관 배제 문제 고찰 (Are the Archives a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 A Study on the Problems of Excluding the Archives from the Orphan Works Exemption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 이호신;정경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69-184
    • /
    • 2020
  • 본 연구는 저작권법 제35조의 4에 신설된 고아저작물 이용에 대한 예외규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존 관련규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제안은 다음과 같다. (1) 본 예외규정이 운영 주체라는 요건으로만 적용대상 기관을 제한하고 하위법을 통하여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에만 적용하는 것은 이 규정의 도입취지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기록관리기관이 포함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2) 저작권법 제31조 등과의 조화나 문화유산기관 소장자료가 상호 연계되어 가치있게 이용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3) 기록관리기관에는 무수히 많은 미공표저작물이 보관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고아저작물 예외규정이 미공표저작물에도 적용되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Cope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Moluccas

  • Kim, Il-Ho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6호
    • /
    • pp.1-126
    • /
    • 2007
  • Thirty new species consisting of 24 poecilostomatoid and six siphonostomatoid copepods are described as associates of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Moluccas. New taxa in the order Poecilostomatoida are Amarda curvus n. sp., Anchimolgus gracilipes n. sp., A. partenuipes n. sp., A. parangensis n. sp., A. hastatus n. sp., Andrianellus papillipes n. sp., Exodontomolgus communis n. gen. n. sp., Jamescookina moluccensis n. sp., Odontomolgus flammeus n. sp., O. parvus n. sp., O. pavonus n. sp., Paranchimolgus parallelus n. gen. n. sp., and Scyphuliger karangmiensis n. sp. in the family Anchimolgidae; Enalcyonium circulatum n. sp. and E. ceramensis n. sp. in the family Lamippidae; Parastericola rimosus n. gen. n. sp. in the family Lichomolgidae; Pseudanthessius truncus n. sp. and P. planus n. sp. in the family Pseudanthessiidae; Acanthomolgus gomumuensis n. sp., A. dispadactylus n. sp., A. bandaensis n. sp., A. ambonensis n. sp., Kombia avitus n. sp. and Pionomolgus moluccensis n. sp. in the family Rhynchomolgiae. New taxa in the order Siphonostomatoida are Cryptopontius acutus n. sp. in the family Artotrogidae; Asteropontius fungicola n. sp., A. gonioporae n. sp., Collocheres humesi n. sp. and C. amicus n. sp. in the family Asterocheridae; and Molucomes ovatus n. gen. n. sp. in the family Stellicomitidae. Species new to the Moluccas and new host records are also included. Lists of 263 species of associated copepods known from the Moluccas and their 135 species of invertebrate hosts are provided.

해월의 동학 도통전수 담론 연구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course Regarding the Lineage Transmission to Haewol in the Eastern Learning: Focused on Document Verification)

  • 박상규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41-155
    • /
    • 2024
  • 수운이 해월에게 도통을 전수(傳授)한 때로 알려진 1863년 7~8월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되는 문헌은 『수운문집(水雲文集)』,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 『최선생문집도원기서(崔先生文集道源記書)』(이하 『도원기서』)이다. 이 세 문헌의 수운 관련 기록은 구조, 내용, 기술 방식으로 본다면 같은 문헌에서 기원했음이 분명하다. 세 문헌이 지닌 차이는 어느 문헌이 도통전수의 실상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초래했으며 신앙과 조직 체계 등 초기 동학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있다. 따라서 세 문헌을 고증하여 각 문헌의 선후 관계와 성립연대, 정확성, 기술 방향, 문헌에 반영된 초기 동학 신앙체계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다면 1860~1880년의 동학 전개 과정을 보다 명확히 기술할 수 있으며 여러 도통전수 담론이 지닌 의미를 보다 깊이 분석할 수 있다. 세 문헌을 비교하고 관련 문헌과 대조하여 고증한 결과, 해월의 도통전수 사건이 기록되지 않은 『수운문집(水雲文集)』 계통의 문헌이 이를 명확히 기록한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과 『도원기서』의 저본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대선생주문집(大先生主文集)』과 『도원기서』가 편찬되는 시기까지 해월의 도통전수는 동학 교단 내외에서 명확하게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을 뜻한다. 해월의 연원이 동학의 최대 조직이 된 187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해월을 중심으로 동학의 교리가 재해석되고 조직이 재건되었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이는 방증 된다. 따라서 해월의 도통전수를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담론으로 보는 관점에서 수운 이후의 동학은 조망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운의 동학'과는 단층을 이루는 '해월의 동학', 그리고 해월과 한국의 근대 신종교 운동의 관계를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Morphological Study of the Marine Algal Genus Padina (Dictyotales, Phaeophyceae) from Southern Philippines: 3 Species New to Philippines

  • Geraldino, Paul John L.;Liao, Lawrence M.;Boo, Sung-Min
    • ALGAE
    • /
    • 제20권2호
    • /
    • pp.99-112
    • /
    • 2005
  • This monographic study presents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eight species of Padina collected from the Visayas and Mindanao regions of southern Philippines, including distributions of each species and a taxonomic key for all the species examined. Of these species, three are new records for the Philippines, namely: P. fernandeziana Skottsberg and Levring, P. jonesii Tsuda and P. moffittiana Abbott and Huisman. One species, P. antillarum (Kützing) Piccone, represents a new nomenclatural record, which is applied to a Philippine species for the first time. Four species previously reported in the Philippines are reconfirmed and described P. australis Hauck, P. minor Yamada, P. boryana Thivy and P. sanctae-crucis Borgesen. All eight species studied have distromatic thalli, except for P. antillarum which is tetrastromatic. Three of these have indusiate sporangia, namely: P. sanctae-crucis, P. moffittianaand P. fernandeziana.

거문도 연안 갯고사리류 (극피동물문, 바다나리강)의 4한국미기록종 (Four Species of the Shallow-water Comantulids(Echinodermata, Crinoidea) from Geomundo Island; New Records in Korea)

  • 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251-262
    • /
    • 2001
  • 거문도 해안의 조하대에서 채집된 갯고사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바다나리목(Comantulida). 깃갯고사리과 (Comasteridae)의 가는밭깃갯고사리(Comantheria intermedia), 일본깃갯고사리(Comanthus japonicus), 햇님깃갯고사리 (C. solaster), 그리고 작은발깃갯고사리 (C. parvicirrus)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보고한다. 갯고사리류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 PDF

한국산 입이끼벌레류 (태형동물문 나후강: 순구목)의 2미기록종 (Two New Records of Smittinids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from Korea)

  • 서지은;공용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19-225
    • /
    • 2005
  • 길쭉종사촌이끼벌레(Pleurocodonellina signata) 와 목걸이입이끼벌레 (Smittina torques)의 두 종을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일본에서 신종으로 보고되었던 Smittina elongata는 길쭉종사촌이끼벌레의 동종이명이며 목걸이입이끼벌레는 현재까지 뉴질랜드로부터만 보고되었던 종이다. 종사촌이끼벌레속(Pleurocodonellina)은 한국해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한국미기록 히드라충류 (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4종 (New Records of Four Hydroids (Cnidaria, Hydrozoa) in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197-204
    • /
    • 1999
  • 1989년 6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우리 나라의 동해에서 채집한 히드라충류 가운데 4종, 고리마디히드라 [Bimeria annulata(Nutting, 1901)], 분지보우갠빌히드라 [Bougainvilla ramosa(van Beneden, 1844)], 북방산꽃히드라 [Eudendrium boreale Yamada, 1954] 그리고 파도깃히드라 [Plumularia undulata Yamada, 1950]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재기재하고 보도한다. 이로서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충류는 2목, 18과의 134종 및 7아종이 된다.

  • PDF

Two New Records of the Ichneumonidae (Hymenoptera) Species from Korea

  • Kim, Chang-Jun;Kang, Gyu-Won;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4호
    • /
    • pp.317-321
    • /
    • 2012
  • Previously, 13 species in six genera of the subfamily Banchinae and 29 speices in 16 genera of the subfamily Pimplinae were known from Korea. In this paper, two species, Rynchobanchus minomensis (Uchida, 1933) and Theronia laevigata nigra Uchida, 1928 are new to Korea. Also, the genus Rynchobanch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ly one species of Theronia, Theronia atalantae (Poda, 1761), was recorded from Korea by Uchida (1928). New Korean names proposed for these two species are "Eol-gul-ga-si-maep-si-beol" and "Geom-jeong-nap-jak-maep-si-beol" for the R. minomensis and T. laevigata nigra, respectively. A key to the species of Theronia, diagnosis and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s of them are provided.

Notes on Species of the Lichen Genus Canoparmelia Elix & Hale in South Korea

  • Jayalal, Udeni;Joshi, Santosh;Oh, Soon-Ok;Park, Jung-Sh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59-163
    • /
    • 2012
  • Detailed descriptions of five species of the lichen genus Canoparmelia Elix & Hale. are presented. Until now, three species of the genus Canoparmelia, including C. apata (Krempelh.) Elix & Hale, C. owariensis (Asah.) Elix, and C. texana (Tuck.) Elix & Hale have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Canoparmelia carneopruinata (Zahlbr.) Elix & Hale, C. crozalsiana (de Lesd.) Elix & Hale, and C. ecaperata (M$\ddot{u}$ll. Arg.) Elix & Hale are new to the South Korean lichen flora. An artificial key is provided for all species of Canoparmelia, including the three new records.

Two New Records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ly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 Kim, Yeong-Hye;Lee, Dong-Woo;Choi, Kwang-Ho;Yeon, In-Ja;Kim, Young-Seop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57
    • /
    • 2004
  • The true cuttlefishes genus Sepia (Doratosepion) Linne, 1758, characterized by shell thick, entirely calcareous, shell almost as long as mantle, was collected from the coastal of Dong-Am, Busan, Korea in April, 2004. The specimen agreed closely with description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yl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We herein described the species, being as the first record of S. kobiensis and tokioensis from the region. New Korean names are also provi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