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cords

검색결과 1,580건 처리시간 0.032초

Limoniinae crane flies (Diptera: Limoniidae) new to Korea

  • Podenas, Sigitas;Byun, Hye-Woo;Kim, Sam-Kyu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61-96
    • /
    • 2015
  • Korean species of Achyrolimonia Alexander, 1965, Discobola Osten Sacken, 1865, Elephantomyia Osten Sacken, 1860, Geranomyia Haliday 1833, Helius Lepeletier and Serville, 1828 (in Latreille et al., 1833), Libnotes Westwood, 1876 and Trentepohlia Bigot, 1854 crane flies (Diptera: Limoniidae) are taxonomically revised. Genera Elephantomyia and Trentepohlia, subgenus Libnotes (Afrolimonia) Alexander, 1965, species Achyrolimonia basispina (Alexander, 1924), Geranomyia multipuncta Alexander, 1922, Helius (Helius) nipponensis (Alexander, 1913), Libnotes (Libnotes) amatrix (Alexander, 1922), L. (L.) longistigma Alexander, 1921, and L. (L.) puella Alexander, 1925 are new records for the Korean peninsula. Genera Discobola Osten Sacken, 1865, Geranomyia Haliday, 1833 and Libnotes Westwood, 1876 are new records for South Korea. Identification keys, re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all species and both sexes, if they were found in Korea, are presented.

Two New Records of Genus Campylaspis (Crustacea: Cumacea: Nannastacidae) from the Southern Sea, Korea

  • Kim, Sung-Hyun;Jeong, Eun-Joo;Lee, Chang-Mok;Kim, Young-Hy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1호
    • /
    • pp.50-59
    • /
    • 2018
  • Two Campylaspis species, C. amblyoda $Gam\hat{o}$, 1960 and C. reticulata $Gam\hat{o}$, 1960, are redescribed as new to Korean cumacean fauna. Campylaspis amblyoda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arapace with five or six pairs of pellucid spots on dorsal surface, a pair of projections near proximal portion of frontal lobe, and lacking sulcus on lateral portion. Campylaspis reticulata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by having a pair of broad sulcus and several large reticulations on lateral portion of carapace. The collected Korean specimens were congruent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s, except for several minor differences. Herein, we add two Campylaspis species to the Korean cumacean fauna. The female of C. reticulata i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A key to the Korean Campylaspis species is also provided.

New Records of the Diatom Species (Bacillariophyta) from the Seaweed and Tidal Flats in Korea

  • Kim, Byoung Seok;Kim, So Yeon;Park, Jong-Gyu;Witkowski, Andrzej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04-621
    • /
    • 201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indigenous diatom species unrecorded in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6. The samples were taken at 28 sites of the coastal regions o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Jeju Island. Diatoms were collected mostly from sand and mud of tidal flats, including gravel, seaweed on the bottom and macrophytes floating in the seawater. Diatom specimens were observed by means of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enty one species were discovered and added as new specimens to the Korean diatom flora, which are divided into 9 orders, 12 families, and 16 genera. The list and photographs of the species are includ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in Korea.

New records of flowering plants of the flora of Myanmar collected from Natma Taung National Park (Chin State)

  • Kang, Dae-Hyun;Ling, Shein Man;Kim, Young-Dong;Ong, Homervergel 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6
    • /
    • 2017
  • The last four years of joint botanical collections by the governments of Myanmar and South Korea in Natma Taung National Park and adjacent areas in the Chin State of Myanmar have revealed the presence of 20 naturally occurring species of angiosperms new to the flora of Myanmar. Plants not previously recorded include species originally considered to be only found in neighboring mega-diverse countries. Examples (e.g., for India) include Boehmeria manipurensis Friis & Wilmot-Dear (Urticaceae), Trigonotis hookeri Benth. ex C. B. Clarke (Boraginaceae) and Mycetia radiciflora (C. B. Clarke) Airy Shaw (Rubiaceae); those for China include Microtoena delavayi Prain (Lamiaceae), Pimpinella kingdon-wardii H. Wolff (Apiaceae) and Senecio diversipinnus Y. Ling (Asteraceae). The data presented in this report are expected to be useful sources for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these species.

2종의 한국산 풍뎅이붙이과 미기록종 (딱정벌레목: 풍뎅이붙이과)에 대한 보고 (Two New Records of Histerid Beetles (Coleoptera: Histeridae) from Korea)

  • 승진배;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5-61
    • /
    • 2019
  • 풍뎅이붙이과에 속하는 2종의 미기록종인 Niponius impressicollis Lewis, 1885 큰두뿔풍뎅이붙이(신칭)와 Gnathoncus nannetensis (Marseul, 1862) 애둥근풍뎅이붙이(신칭)가 한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각 종들에 대한 형태적 기재와 사진이 제시되었다.

Freshwater bryozoans of Korea-observations on living colonies and three new records

  • Hyun Sook Chae;Hyun Jong Kil;Ho Jin Yang;Ji Eun Se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0-60
    • /
    • 2024
  • We performed a taxonomic study on Korean freshwater bryozoans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70 localities during 2014 to 2016. A total of 14 Korean freshwater bryozoans are reported through this study. Among them, three Plumatellids, Plumatella fungosa (Pallas, 1768), P. repens (Linnaeus, 1758), and P. reticulata Wood, 1988, are newly added to the Korean fauna. Three species were redescribed with only their statoblasts: Lophopodella carteri, Plumatella rugosa, and Stephanosella hina (Seo, 1998; 2005; Chae et al., 2016). Their colonies were foun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Since Fredericella sultana, Hyalinella punctata, and Plumatella casmiana were reported from Korea (Toriumi, 1941), neither statoblast nor colony has been found, but we observed them. Living colonies of six species were photographed in the field. Furthermore, the statoblasts of nine species, including three species new to the Korean fauna, were also documen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고문헌에 기록된 제주도 최후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Last Volcanic Activity on Historical Records on Jeju Island, Korea)

  • 안웅산
    • 암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83
    • /
    • 2016
  • 제주도 역사시대 화산활동 기록의 실체를 밝히고자 제주도에서 가장 젊은 화산으로 추정되는 화산 3곳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 및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송악산은 최소 3.8 ka 전 이후, 비양도는 최소 4.5 ka 전 이전, 일출봉은 6~7 ka 전 이후에 분출한 화산으로 파악된다. 이번 연대분석 결과로 고문헌상의 천 년 전 화산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하지만, 역사기록 재해석을 통해 1002년과 1007년의 두 차례 기록이 하나의 단성화산에서 일어난 일련의 화산분출 사건임을 새롭게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화산분출 기록에 대한 화산지질학적 해석을 통해, 역사서에 기록된 화산은 수성화산활동과 마그마성 화산활동을 모두 가지는 상당한 규모의 화산으로, 분출연대가 3.8 ka 전 이후로 밝혀진 대정읍 송악산으로 추정하였다. 더 나아가, 화산분출 사건이 기록된 고려시대 초기의 탐라와 고려의 실제적 관계, 시대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여 화산분출 기록 시점과 실제 화산분출 시기가 서로 불일치할 가능성도 새롭게 제시한다.

기록과 정보의 상관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Records and Information)

  • 송병호
    • 기록학연구
    • /
    • 제20호
    • /
    • pp.3-32
    • /
    • 2009
  • 기록관리 분야가 정보화 환경을 맞게 되면서 자체기준에 의하여 제반업무를 수행하던 방식은 좀 더 종합적인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록을 정보로 활용하고 정보를 기록으로 보려는 상호연동적인 시각이 나타나며, 나아가서 기록을 생산할 때부터 정보환경에서 활용하게 될 것을 고려하고 정보시스템에서는 관리중인 정보자료의 기록가치를 고려하게 될 것이다. 현재까지는 기록을 잘 생산시켜 잘 이관시키고 잘 보존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관련 법령이나 업무지침, 연구교육이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앞으로는 보존 이후의 단계, 즉 공개, 공유, 사본제작, 정보보호, 시스템 연계, 기록컬렉션 사후보충 등 일반인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보도사건을 통하여 기록과 정보간의 혼란을 살펴보고 이들의 융합이 필요함을 설명하며, 기록관리 시스템과 정보시스템 상호간의 환류체계를 제안한다.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Why Again Record Management Innovation? : Toward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Governance)

  • 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55호
    • /
    • pp.165-208
    • /
    • 2018
  • 이 글에서는 2017년 새 정부가 들어선 지금 이 시점에 왜 다시 기록관리혁신을 말하는가에 대해 밝히고 혁신의 방향과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지금의 혁신은 참여정부 때의 혁신 정신을 잇되, 내재적 비판을 전제로 하여 그 방법과 내용을 새로이 해야 한다. 이 글은 혁신의 기본 방향을 "모두와 함께 하는 기록관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민주적 지향을 갖되, 현장의 주체들을 위해, 현장에 있는 모든 이들이 함께 혁신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정부 공공기관은 물론 시민과 기업들 모두가 기록관리의 현장에서 그 과정에 참여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주체들이다. 민주주의의 현장도, 역사의 현장도, 그리고 기술혁신을 거듭해가는 세계의 흐름도 모두 중요한 기록관리의 현장들이다. 이 글은 이들 6개의 현장에서 지금 바로 진행해야 할 12개의 전략과제와 35개의 세부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최신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고, 각 현장의 주체들과 소통하며, 모든 의사결정을 협치에 의해 내리는 방법적 혁신을 동반한 기록관리 혁신의 진행을 제안한다.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연구기록 관리 방안 연구 - "부엌의 문화사" 연구프로젝트 자료의 분류 및 기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Ethnographic Data: Focusing on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the Research Data of "Cultural History of Kitchen" Project)

  • 윤택림;최정은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1-91
    • /
    • 2012
  •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기록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면서 자연과학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과 질적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의 차이를 밝히고 질적 연구 자료를 연구기록화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기존의 연구기록 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연구기록의 개념, 분류와 유형, 그리고 연구의 방향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문화기술지적 자료를 연구기록화하기 위하여 자료의 맥락을 생산과 수집의 특수성을 통하여 정리하고 그것에 연구기록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분류와 기술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윤택림이 수행했던 "부엌의 문화사" 연구프로젝트에서 생산 수집된 자료들을 사례로 이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질적 자료를 포함하여 연구기록의 개념과 범주를 확장시키면서, 자료를 생산한 연구자와 아키비스트와의 공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구기록관리의 사례를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문화기술지적 자료들을 연구기록화 하는 작업은 일상사,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의 시발적인 연구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