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Hanok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3초

1920년대 근대적 디벨로퍼의 등장과 그 배경 (The Advent of Korean Developers during the 1920s)

  • 구경하;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5-687
    • /
    • 2014
  • 일제하 경성부의 근대식 한옥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의 주도로 1920년대에 본격화되었다. 이들이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의 이주와 조선인의 이농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특히 일본인의 근거지가 청계천 이북으로 확장되면서, 지가가 상승하고 기존 필지를 분할하는 압축적인 개발이 나타났다. 둘째, 식민지 당국의 주거대책 부재로, 조선인의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셋째, 조선인 건설업자들은 토목공사 입찰에서 배제되어 조선인 대상 주택을 주로 건설하였다. 정세권 선생의 건양사와 같은 근대적 디벨로퍼들은 토지 매입, 분필, 주택 설계와 개발, 분양 등 근대적 부동산 개발 방식을 통해 조선인에게 근대식 한옥을 공급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1920~30년대 경성부에 10~40평형대의 근대식 한옥 단지가 형성되었다.

  • PDF

전주 한옥마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변화에 미친 영향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eonju Hanok Village Area)

  • 김주영;허선영;문태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6-117
    • /
    • 2017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그 중 전주 한옥마을은 지속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는 대표적인 도시재생사업지이다. 이에 전주 한옥마을의 관광객 수는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광객 수가 급증한 만큼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상업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이 상실되고 상업화가 진행되는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실질적으로 도시재생에 미친 영향을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재생 차원에서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관리 및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토지이용변화, 실거래가 변화와 SNS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분석에서는 전주 한옥마을이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상업화가 진행되어 가고 있음을 파악했다. 급격한 상업화로 주민들의 생활공간이 관광객을 지원하는 상업공간으로 대체되고, 경제적 환경적 피해로 인한 거주 환경의 저하로 주민 이주를 초래하는 등 불합리한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 둘째, 경제적 분석에서는 2010년에는 도로에 따른 실거래가 차이가 없었으나 2016년에는 실거래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광객의 통행량이 많으며 주요 관광지와 인접해 있는 도로의 실거래가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거래가 상승은 도시재생측면에서 긍정적 현상이지만 투자의 대상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사회적 분석에서는 관광객들은 주요 역사 문화 관광지 보다 상업적인 요소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옥마을 상업화에 대한 의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한옥마을의 정체성을 확립 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토지이용과 실거래가, SNS 자료를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도시재생사업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보급형 신한옥 개발을 위한 건설 생산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 김민;김예솔;이윤섭;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7-114
    • /
    • 2013
  • 근래에 들어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한옥에 살고자 하는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한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반영하는 등, 한옥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는 한옥의 대중화 및 지속적 발전에 장애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한옥기술개발'의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논문은 '한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실제 지어진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공사비 저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한옥공사의 15개 대공종 중 주요공종을 선정하였다. 전통한옥과 신한옥 공사 중 주요공종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재료와 공법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주요공종 모두에서 생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이 공사비 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공종 중 지붕/홈통의 공종은 주로 재료의 변화, 목공사와 마감공사는 공법의 변화, 기초공사와 창호는 재료와 공법 모두의 변화로 인하여 공사비 저감을 이루었다.

Improvement on Moment Resistance of a Concealed Timber Post Base Joint

  • Humbert, Jerome;Lee, Sang-Joon;Park, Joo-Saeng;Park, Moon-Jae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4-451
    • /
    • 2013
  • In this paper, experimental results were presented on the moment resistance of a concealed timber post base joint aimed at replacing in a modern design introduced lately the wood to wood joints used in the traditional Korean timber house - Hanok. Preliminary results showed that the original configuration of the joint offers a limited moment resistance and a low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In an attempt to mitigate those limitations without undergoing major changes in the connector, three new configurations were proposed and investigated. Motivated by the wish to prevent the early failure in welds, a first approach consists in directly bolting the connector's upper plate to lower the stress on the weak welds. Alternatively, another approach focused on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se welds by extending their length to the full width of the metal wings. Finally, a third configuration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ose two approaches combined. In conclusion, reinforcing the welds found out to be the best option among the presented ones. As a result, this connector considered to show proper ability for use i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with suited lateral-resistant structural elements.

  • PDF

오정동 선교사촌 한양절충 주택의 공간적.구조적 절충방식 연구 (The Spatial and Structural Eclectic Modes of the Korean-Western Eclectic Houses at Ojeong-dong Missionary Village)

  • 서호석;김경수;한필원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4호
    • /
    • pp.91-10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Western eclectic houses at Ojeong-dong Missionary Village in Daejeon city, focused on the spatial and structural changes due to eclecticism. The consequence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clectic houses and two reference buildings, Myeongjae residence and Moore house, are as follows. The diverse aspects due to eclecticism can be summarized as two concepts; transformation and simplification. The transformation ha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 spatial elements such as an-madang, entrance and corridor, in the territory organiz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building and yard, and in the roof and wall structures. The simplification has appeared in the layering of the building space, and in the joint of roof and wall. The methods of eclecticism and the resultant aspects from them that are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ferred in examining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hanok.

서촌한옥마을 조사에 따른 한옥지구 보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District by Research in Seochon Hanok village)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013-2020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가치가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향후 우리나라 고유의 한옥마을을 보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요구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분석방법은 한옥 거주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선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한옥자체의 건축적인 요소의 보전도 필요하나 더불어 더 중요한 것은 공동체적인 마을단위의 고유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재창조하여 가치를 높이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보전 및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적인 차원에서 주민의 협조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가 요구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수단-목적 사슬이론에 따른 체험용 대여한복업체의 가치구조 (Value Structure of Experiential Rental Hanbok Companies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 김민지;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31-348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structure of experiential rental Hanbok companies using the means-end chain theory. For this, soft laddering was conducted for nine experiential rental Hanbok companies located in Jeonju Hanok Village. Next, the value structure was cre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licited values are in the following order: "creation of wealth," "promotion of Korean culture," "aesthetic value," "self-actualization," "community development,"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 Second, most attributes are connected to "creation of wealth." Third, "promotion of Korean culture" and "community development" are similar to Holden's instrumental values. Fourth, some attributes linked to "aesthetic value" express what the experiential rental Hanbok companies consider to be beautiful. Fifth, the companies pursue "company satisfaction" through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any differentiation," which leads to "self-actualization" and "aesthetic value." Sixth, it seems that "transmission of tradition" can be achieved through "expertise/expert training," indicating that some companies think expertise is necessary for the transmission of Hanbok and do i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a new attempt to understand the core values of experiential rental Hanbok companies and provides insights into their growth.

20대 여성의 신한복에 대한 인식유형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ypes of Perceptions of the New Hanbok Among Women in Their 20s -Focusing on Jeollanam-do)

  • 차수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93-608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perceptions of the new Hanbok,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Q methodology and analyzed with the QUANL pc program. The perceptions of the new Hanbok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modern/practical, Type 2: convenient/practical, Type 3: temporary/accessible, and Type 4: convenient/traditional. Type 1 emphasized the selection of Western clothing fabric, matching zipper/buttons, and achromatic colors. Type 2 highlighted a design that can be worn as daily clothing by combining materials that are convenient for laundering. Type 3 stressed the operation of new Hanbok rental stores so that it is easy to access and accept new Hanboks in old palaces and Hanok villages. Type 4 required the development of a design that reflects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Hanbok and is convenient for activity and laundering.

한옥 건축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설계모듈의 구현 (Intelligent Architectural Design Module for Process Automation of Hanok Constructions)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56-1164
    • /
    • 2012
  • 한옥은 단순히 전통건축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양식과 인식을 담고 있는 지금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최근 한옥이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한옥의 전통적 방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건축과정에 효율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지원도구를 개발하여 한옥의 설계에서 검증, 생산 공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의 통시대적 고찰과 한옥의 목구조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통건축 설계에 필요한 부재들에 대한 효율적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서양건축 설계 위주의 CAD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한옥설계는 물론 한옥 건축문화를 현대적 생활공간에 쉽게 접목할 있도록 고안되었다.

1960년대 초 서울 신흥 주거지의 단독주택 세 유형 비교 (A Comparison of Urban Detached Houses in Seoul's New Housing Quarters in the Early 1960s)

  • 전남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03-112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typology of the urban detached houses in the new housing quarters that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Seoul's urbaniz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It analyzes and compares the urban tissue and space allocation set when the new urban residential area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different methods of produc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ousing built in the same time of 1960s, this study aims to deduce why a specific urban detached housing type was selected as an influential housing prototype and how this spread in later generations. Case study sites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 the new Urban Hanok towns of Yongdu-dong, filled with mass Urban Hanoks built by housing developers; the single-family detached housing district of Myunmok-dong, filled with individual dwellings built by private builders; and the housing complex of detached houses in Suyu-dong, developed by government-sponsorship during the early 1960s. Each case examines the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 in housing typology allocation according to urban tissue; second, the difference in spatia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within plo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ifferences in typology occur depending on which of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technical factors was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forming urban tissue and allocating buildings in each residenti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