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tron Scattering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2초

ADS/OTAC 혼합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형성된 마이셀과 층막구형체의 크기 및 구조에 대한 작은 각 중성자 산란 연구 (A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for Sizes and Structures of Micelles and Vesicles Formed in Aqueous Solutions of Mixed Surfactants ADS/OTAC)

  • 김홍운;이진규;임경희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31-237
    • /
    • 2005
  • 본 연구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대하여 음이온성 ammonium dodecyl sulfate (ADS)와 양이온성 octadec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OTAC)의 단일계 그리고 이들의 혼합 계면활성제 수용액에서 형성되는 혼합 마이셀과 층막구형체(vesicle)의 크기 및 구조에 대하여 작은 각 중성자 산란법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10 mM ADS와 9mM OTAC 수용액에서 형성된 단일 계면활성제 마이셀의 크기는 각각 40과 $61{\AA}$이었고, 이들의 구조는 모두 공모양이었다. 농도에 따른 구조 변화는 SANS 스펙트라로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300 mM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마이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었으며 250 mM 이상에서는 거리가 일정하였다. 그러므로 이보다 큰 농도에서 구조전이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ADS/OTAC 혼합계의 상도해 상으로 혼합 마이셀과 층막구형체가 공존하는 영역에서 지수 법칙의 지수값이 1.6을 나타내므로 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발적으로 형성된 층막구형체 영역은 이중막 구조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중막을 이루는 층막구형체의 층 간 두께는 전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는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같은 전하를 띠고 있는 층막구형체 사이에 반발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한층막구형체의 층간 거리는 줄어들고, 이로 인해 농도가 증가할수록 층막구형체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CS가 90 몰%인 혼합용액에서 9 mM은 상도해 상으로 혼합 마이셀과 층막구형체의 경계 영역으로 구분이 되지 않았지만, SANS 분석 결과 층막구형체 영역에 해당하여 보다 정확한 상도해를 완성할 수 있었다.

Effect of Lattice Dynamics on Superconductivity in Iron Pnictides

  • Lee, C.H.;Kihou, K.;Horigane, K.;Tsutsui, S.;Fukuda, T.;Miyazawa, K.;Eisaki, H.;Iyo, A.;Fernandez-Diaz, M.T.;Yamaguchi, H.;Baron, A.Q.R.;Braden, M.;Yamada, K.
    • 한국초전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전도학회 2009년도 Korea Superconductivity Society Meeting 2009
    • /
    • pp.4-4
    • /
    • 2009
  • PDF

Phase Behavior of a PEO-PPO-PEO Tr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s: Two Gelation Mechanisms

  • Park, Moon-Jeong;Kookheon Char;Kim, Hong-Doo;Lee, Chang-Hee;Seong, Baek-Seok;Han, You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325-331
    • /
    • 2002
  • Phase behavior of a PEO-PPO-PEO (Pluronic P103) triblock copolymer in water is investigated using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ANS),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rheology. Pluronic P103 shows apparent two gel states in different temperature regions. The first sol-to-gel transition at a lower temperature (i.e., the hard gel I state) turns out to be the hexagonal microphase as evidenced by the combined SANS and SAXS and the frequency dependence of both G′ and G" in rheology. In contrast to the hard gel I, the second sol-to-gel transition (i. e., the hard gel II state) at a higher temperature represents the block copolymer micelles in somewhat disordered state rather than the ordered state seen in the hard gel I. Moreover, turbidity change depending only on the temperature with four distinct regions is observed and the large aggregates with size larger than 5,000 nm are detected with DLS in the turbid solution region. Based upon the present study, two different gelation mechanisms for aqueous PEO-PPO-PEO triblock copolymer solutions are proposed.

A Theory on Phase Behaviors of Diblock Copolymer/Homopolymer Blends

  • 윤경섭;박형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9호
    • /
    • pp.873-885
    • /
    • 1995
  • The local structural and thermodynamical properties of blends A-B/H of a diblock copolymer A-B and a homopolymer H are studied using the polymer reference interaction site model (RISM) integral equation theory with the mean-spherical approximation closure. The random phase approximation (RPA)-like static scattering function is derived and the interaction parameter is obtained to investigate the phase transition behaviors in A-B/H blends effectively. The dependences of the microscopic interaction parameter and the macrophase-microphase separation on temperature, molecular weight, block composition and segment size ratio of the diblock copolymer, density, and concentration of the added homopolymer, are investigated numerically within the framework of Gaussian chain statistics. The numerical calculations of site-site interchain pair correlation functions are performed to see the local structures for the model blends. The calculated phase diagrams for A-B/H blends from the polymer RISM theory are compared with results by the RPA model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ur extended formal version shows the different feature from RPA in the microscopic phase separation behavior, but shows the consistency with TEM qualitatively. Scaling relationships of scattering peak, interaction parameter, and temperature at the microphase separation are obtained for the molecular weight of diblock copolymer. They are compared with the recent data by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measurements.

기계적 합금화에 의한 (V, Fe)-N계 비정질 합금의 제조 및 구조변화 (Mechanical alloying effect and structural observation of (V, Fe)-N amorphous alloy powders)

  • 이충효;전성용;김지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9-13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합금화(MA)에 의한 고상-기상반응에 있어서 질소원자가 V-Fe계 합금의 비정질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성형 볼밀을 사용하여 $V_{70}Fe_{30}$혼합분말을 질소가스 분위기 중 MA 처리하였다. 그 결과 160시간 MA 처리에 의하여 비정질상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160시간 동안 MA 처리한 ($V_{70}Fe$_{30}$)_{0.89}N_{0.11}$ 분말시료의 열분석 결과 약 $600^{\circ}C$에 비정질상의 결정화에 의한 발열 peak가 관찰되었다. 또한 bcc 결정에서 비정질상으로의 구조변화 과정을 X선 및 중성자 회절법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특히 중성자회절에서는 V원자의 중성자에 대한 간섭성 핵산란진폭이 매우 작은 특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이 합금계에서의 비정질화는 모든 결정구조에서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8면체 unit가 우선적으로 붕괴되어 4면체 unit로 변환되어 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성자 회절에 의한 구조해석 결과 질소원자는 V원자로 이루어진 다면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성자 조사한 4H-SiC MOSFET의 열처리에 의한 전기적 특성 변화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st-Annealing in Neutron-Irradiated 4H-SiC MOSFETs)

  • 이태섭;안재인;김소망;박성준;조슬기;주기남;조만순;구상모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198-202
    • /
    • 2018
  • In this work,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30-min thermal anneal at $550^{\circ}C$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neutron-irradiated 4H-SiC MOSFETs. Thermal annealing can recover the on/off characteristics of neutron-irradiated 4H-SiC MOSFETs. After thermal annealing, the interface-trap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ive mobility increased in terms of the on-characteristics. This finding could b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interfacial state from thermal annealing and the reduction in Coulomb scattering due to the reduction in interface traps. Additionally, in terms of the off-characteristics, the thermal annealing resulted in the recovery of the breakdown voltage and leakage current. After the thermal annealing, the number of positive trapped charges at the MOSFET interface was decreased.

수용액 내 폴리스티렌-폴리에틸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 구조에 대한 소각중성자산란 연구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

  • 강병욱;최미주;황규희;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85-489
    • /
    • 2009
  •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dPS-PEO)로 형성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소각중성자산란(SAN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ANS 데이터는 코어-쉘 모델의 form factor와 hard-sphere structure factor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곡선 맞춤을 이용하여 미셀 응집수와 코로나 반경을 구하였다. 온도가 $25^{\circ}C$에서 $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미셀 응집수는 229에서 240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코어 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쉘 두께는 6.2 nm에서 5.8 nm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온도 증가에 따라서 PEO 블록의 소수성이 증가함으로써 코로나 내의 친수성 그룹 당 수화 부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Study of the Librational Motion of $H_2$O Molecules in Hydrates by Neutron Inelastic Scattering

  • Kim, Huhn-Jun;Yoon, Byung-Go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20
    • /
    • 1979
  • 수화물 결정에 있어서 $H_2O$ 분자의 외부 각 운동을 조사하고저 NaBr-2$H_2O$ 및 BaCl$_2$-2$H_2O$ 분말시료에 대한 중성자비탄성산란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관측된 진동수를 모두 이 외부 각 운동에 의한 것으로 보고 다중 및 다준위산란효과를 제거하므로서 평균진동수 분포함수를 구하였다. FG 행열법에 의해서 계산된 진동수의 이론 값들은 모두 복합 mode에 의한 것이였으며 따라서 그 중 포텔샬.에너지분포가 큰 mode로서 관측치에 대한 assignment를 하였다. 소수결합력은 Lippincott-Schroeder 포텐샬함수에서 추산하였으며, 절선형 및 분기형수소결합에 대한 이 함수의 유용성을 $H_2O$ 외부 각 운동 포텐샬함수 모양에 의거하여 검토하였다. 수소결합력의 성질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진동수 계산에 H…Y 신축상호작용 운만 아니라 O-H…Y 변각상호작용의 도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고 또 $H_2O$ 외부 각 운동에 인어서 mode의 순수성 및 대칭성을 군론을 작용한 방법에 의거하여 논의하였다.

  • PDF

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종 블록 공중합체 내의 단일중합체 분포 (Homopolymer Distribution in Polystyrene - Poly(methyl methacrylate) Diblock Copolymer)

  • 홍성호;이은지;송권빈;이광희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31-536
    • /
    • 2011
  • 블록 공중합체/단일중합체 블렌드에서 단일중합체의 농도와 분자량 변화에 따른 단일중합체의 분포 경향을 알아 보았다. 중수소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을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중 블록 공중합체에 20 wt%까지 혼입하였다. 시료들은 소각 X-선 산란, 중성자 반사율 및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실리콘 웨이퍼에 스핀 코팅하여 얇은 필름 상으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는 기질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라멜라 모폴로지를 형성하였다. 블록 공중합체의 미세 도메인 구조는 단일중합체의 부가에 의해 상당히 교란되었다. 그 결과로 단일중합체의 농도가 15 wt% 이상인 경우에는 배열 질서도가 낮은 라멜라 모폴로지가 나타났다. 단일공중합체의 농도나 분자량이 증가하면 단일중합체가 미세 도메인을 불균일하게 팽윤시키면서 보다 많은 단일중합체가 미세 도메인의 중앙 부위로 이동하였다.

중성자 핵반응을 이용한 원소 검출기술 -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한 검출기술 - (Elemental Analysis by Neutron Induced Nuclear Reaction - Prompt Gamma Neutron Activation Analysis for Chemical Measurement -)

  • 송병철;박용준;지광용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1041-1051
    • /
    • 2003
  • 즉발감마선 중성자방사화법 (PGAA)은 시료내 미량 및 주원소를 빠르게 비파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로 광물, 금속, 석탄, 시멘트, 석유, 코팅, 제지 등 다양한 산업체에서 실시간 분석법으로 매우 유용하다. 이 방법은 제약과 관련된 산업체 또는 연구업무에도 활용되며, 마약 또는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질의 탐지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총설은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법의 현재의 기술현황과 앞으로 연구추진 경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PGAA 시스템은 중성자 선원, 증성자 핵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즉발감마선을 측정하기위한 다중채널분석기와 A/D 변환기 등의 전자모듈과 고분해능 HPGe 검출기로 구성된다. 속중성자의 콤프턴 산란에 의한 높은 바탕값은 감마-감마 동시계수장치의 도입으로 개선될 수 있다. 현재 $^{252}Cf$를 사용한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 장치는 수용액중에 존재하는 원소들의 실시간분석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중에 있다. 이 장치는 다양한 마약 및 폭발물 또는 화학무기의 탐지에도 응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