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tral volatile compound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향기성분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 김경업;김미혜;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7-565
    • /
    • 1992
  • 재래식 메주 및 된장의 발효숙성중 생성되는 향기성분을 분석하기위하여 Nickerson 형의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중성, 염기성, 페놀성 및 산성 분획분으로 분획하여 판넬 시험의 결과 중성 분획분에서는 구수한 냄새가 염기성 분획부네서는 자극취와 볶은콩냄새, phenol성 분확분에서는 의약품냄새 그리고 산성 분획분에서는 산패취가 나타났다. 각 분획분의 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된 향기화합물은 peak 면적 %로 나타내었다. 중성 분획분에서 6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삶은 콩에서는 pentanal, hexanal 및 1-octene-3-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메주에서는 3-methylbutanal과 1-butan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숙성전 된장에서는 메주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cetic acid ethylester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숙성후 된장의 주된 휘발성 화합물은 3-methyl-1-butanol, 2-furancarboxyaldehyde, 1-octen-3-ol, benzeneacetaldehyde, methyloctadecadienoate 및 methyloctadecenoate 등이었다. 염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1종의 화합물중에서 2,6-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등이 메주와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성 분획분에서 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phenol과 p-ethylguaiacol의 함량은 삶은 콩에서 나타났고 메주와 된장에서는 4-vinylphenol과 p-ethyl-guaiacol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산성 분획분에서 동정된 15종의 화합물중에서 ethanoic acid와 hexano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propanoic acid와 pentanoic acid는 삶은 콩과 메주에서만 동정되었으며 숙성후의 된장에서는 다른 시료에서 동정되지 않았던 10개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특히 pentadec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다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 (Degra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Mixtures Using a Biofiltration System)

  • 윤인길;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501-506
    • /
    • 2000
  • A bench-scale air biofilter was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a gas stream. Compost and peat were used as the biological attachment media. Biofilter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incoming VOCs concentrations, temperature, and packing materials were examined. After 26 days of acclimation periods, at 25$^{\circ}C$ and 45$^{\circ}C$, the biofilter removed more than 90% of 30 to 72 mg/㎥ of total VOC. After 40 days of operation, the concentrations of isoprene, toluene, and m-xylene were reduced to 96∼99, 91∼93, and 91∼93% of the original concentrations. VOC removal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the temperature. The medium pH was maintained near neutral (pH 6.5∼7.1). After 37 days of operation, the total bacteria count in the biofilter media increased to 1.12${\times}$10(sup)8 cells/g of medium.

  • PDF

In vitro Screening of Essential Oil Active Compounds for Manipulation of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Mitigation

  • Joch, M.;Cermak, L.;Hakl, J.;Hucko, B.;Duskova, D.;Marounek,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952-959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1 active compounds of essential oils (ACEO)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Two trials were conducted. In trial 1, ACEO (eugenol, carvacrol, citral, limonene, 1,4-cineole, p-cymene, linalool, bornyl acetate, ${\alpha}$-pinene, and ${\beta}$-pinene) at a dose of $1,000{\mu}L/L$ were incubated for 24 h in diluted rumen fluid with a 70:30 forage:concentrate substrate (16.2% crude protein; 36.6% neutral detergent fiber). Three fistulated Holstein cows were used as donors of rumen fluid. The reduction in methane production was observed with nine ACEO (up to 86% redu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Among these, only limonene, 1,4-cineole, bornyl acetate, and ${\alpha}$-pinene did not inhibit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 and only bornyl acetate produced less methane per mol of VFA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In a subsequent trial, the effects on rumen 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of two concentrations (500 and $2,000{\mu}L/L$) of bornyl acetate, the most promising ACEO from the first trial, were evaluated using the same in vitro incubation method that was used in the first trial. In trial 2, monens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Both doses of bornyl acetate decreased (p<0.05) methane production and did not inhibit VFA production. Positive effects of bornyl acetate on methane and VFA production were more pronounced than the effects of monensin. These results confirm the ability of bornyl acetate to decrease methane production, which may help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in the rumen.

액체 추출법과 고체상 추출법에 의한 수질 중 유해물질 농축법 비교 (Comparison of Liquid-Liquid Extraction and Solid-Phase Extraction Coupled with GC/MS for Determination of Priority Pollutants in Water)

  • 육근성;홍사문;김종호
    • 분석과학
    • /
    • 제7권4호
    • /
    • pp.441-453
    • /
    • 1994
  • 수질에서 유해물질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액체 추출법과 고체상 추출법을 GC/MS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비휘발성 유해물질 중 11종의 산과 44종의 염기/중성 화합물들을 reagent water에 첨가하여 분석한 결과, 액체추출법은 54종의 화합물에 대해 91%의 평균회수율과 4.6%의 평균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으며, 고체상 추출법은 52종의 화합물에 대해 63%의 평균회수율과 8.9%의 평균상대표준편차를 보였다. 두 방법의 검출한계는 $1{\sim}5{\mu}g/l$였다.

  • PDF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3.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69-176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의 향기성분을 상압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후 중성구분, phenol성구분, 산성구분 및 염기섬구분으로 분획하여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을 장치한 고분해능 GC 및 GC-MS에 의해서 분리, 동정하였다. 전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약 300 ppm으로서 중성구분 $48\%$, phenol 성구분 $35\%$, 산성구분 $12\%$, 염기성구분 $5\%$로 이루어져 있었고, 관능검사결과 중성구분 및 phenol 성구분의 기여도가 컸다. 분말가쓰오부시 향기성분으로 총 68성분이 동정확인되었으며, 이 중 30성분이 중성구분으로 동정되었고 hydrocarbon류 8성분, aldehyde류 8성분, furan류 6성분, alcohol류 5성분 및 ketone류 3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phenol성구분은 phenol, guaiacol, dimethon phenol, eugenol 등 16성분, 산성구분은 propionic, butanoit isopentanoic, n-hexanoic, heptanoic, octanoic acid 등 12성분이 동정되 었고, 염기성구분으로는 pyrazine류 7성분, 2-methylpyridine, 2,4-dimethylthiazole 등 10성분이 동정확인되었다. 한편 분말가쓰오부시의 저급휘발성 carbonyl성분을 2,4-DNPH유도체로 만들어 GC로써 분석한 결과 ethanal, propanal, 2-methylpropanal, butanal, pentanal, 2-methylpentanal 등 8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 PDF

Saccharomyces bayanus에 의한 Glucose 용액의 발효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저장중 이 성분들의 분석 1. 중성분획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Produced in a Glucose Solution Fermented by Saccharomyces bayanus, during Fermentation and Conservation of Fermented Solution 1. Neutral Fraction)

  • 정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56-963
    • /
    • 1995
  • Yeast-Carbon-Base배지로 조성된 glucose용액을 Saccharomyces bananus로 pH 3.5 $25^{\circ}C$, 400rpm, 그리고 발효 초기 24시간 동안만 35L/h로 통기시키면서 64시간만에 alcohol 발효를 완료시켜, 발효 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이들 발효액을 여러 조건에서 숙성($25^{\circ}C$에서 6주, $13^{\circ}C$에서 12주, $35^{\circ}C$에서 24시간)시켰을 때 휘발성 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20개의 ester, 14개의 alcohol, 5개의 aldehyde, 5개의 ketone, 5개의 lactone, 2개의 함황성분과 1개의 hydrocarbon이 발효중 생성되었다. Ethyl 2-hydroxy-4-methyl pentanoate, ethyl succinate, nonanol과 phenylacetaldehyde 등이 발효액의 저장 중 새로이 생성되었다. Ester는 일반적으로 저장 중 증가되었고, $13^{\circ}C$에서 12주간 저장된 시료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어 본 실험에서 분석된 22개의 ester 중 17개가 증가하였다. $35^{\circ}C$에서 24시간 저장된 시료에서는 13개의 증가된 ester 중 ethyl 9-hexadecenoate의 증가가 가장 현저하였다. Aldehyde는 $35^{\circ}C$ 저장에서 크게 증가 되었으나 $13^{\circ}C$ 저장에서는 감소되었다. Isobutanal, benzaldehyde와 phenylaceraldehyde는 $35^{\circ}C$ 저장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 PDF

체다 치즈의 맛의 개발 (Flavor development in cheddar cheese)

  • 정청송;유상훈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77
    • /
    • 2003
  • 본 연구는 $\beta$-CD처리된 체다 치즈에서의 콜레스테롤 제거 율과 맛의 개발 그리고 쓴 아미노산 물질을 발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 제어판 (균질화 및 $\beta$-CD처리를 안 함) 2) 우유가공(1000 psi의 우유 균질화 처리, 1% $\beta$-CD처리). 치즈의 콜레스테롤 제거 율은 79.3% 이었다. 짧은 고리의 무지방산(FFA)은 제어된 치즈와 차리 우유를 사용한 치즈 양쪽에서 숙성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5-7개월 숙성시킨 치즈의 짧은 고리 무지방 산의 분해 량은 가공된 묽은 우유로 만든 치즈가 제어된 것보다 더 컸다. 중성의 휘발성 혼합물(neutal volatile compounds)의 생산은 샘플들간에 그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쓴맛의 아미노산은 우유 가공된 쪽에서 더 많이 생성되었다. 감각 분석에 의하면 제어된 체다 치즈의 텍스쳐 점수는 상당히 증가하였지만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치즈에서는 숙성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온도에서 균질화 시킨 후 $\beta$-CD 처리된 우유로 만들어진 치즈는 효과적인 콜레스테롤 감소와 치즈 숙성이 빠른 반면에. $\beta$-CD 처리에 의한 맛의 저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체다 치즈의 맛의 개발 (Flavor development in cheddar cheese)

  • 정청송;유상훈
    • 한국관광식음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관광식음료학회 2003년도 학술논문발표집
    • /
    • pp.19-3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cholesterol removal rate, flavor development, and bitter amino acid productions in Cheddar cheese treated with -cyclodextrin (${\beta}-CD$): 1) Control (no homogenization, no ${\beta}--CD$), and 2) Milk treatment (1000 psi milk homogenization, 1% ${\beta}-CD$). The cholesterol removal of the cheese were 79.3%.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 increased with a ripening time in both control and milk treated cheese. The releasing quantity of short-chain FFA was higher din milk treated cheese than control at 5 and 7 mo ripening. Not much difference was found in neutral volatile compounds production between samples. In bitter-tasted amino acids, milk treatment group produced much higher than control. In sensory analysis, texture score of control Cheddar cheese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that in cholesterol-reduced cheese decreased dramatically with ripening time.

  • PDF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화학성분의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hanges of Chemical Compounds in the Processing of Fermented Shrimp with Law Salt)

  • 안현주;이경행;이철호;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9-634
    • /
    • 2000
  • 저 염 세우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 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할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 동안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및 trimethylamin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5% 식염첨가와 10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첨가와 5~7.5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의 경우, 30% 식염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발혀기간 동안 적정 수준 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오징어 가공중의 향기성분 (Flavor Components in the Squid Processing)

  • 이종호;최병대;이강호;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70-374
    • /
    • 1989
  • 오징어 가공중의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Nikerson형 연속추출장치(SDG)를 이용하여 시료의 향기성분을 추출한 후 중성, phenol성, 염기성 및 산성획분으로 나누어 중성 및 염기성획분을 GC 및 GC-MS로 분석$\cdot$동정한 결과 중성획분에서 31성분, 염기성 획분에서 7성분 분석$\cdot$동정되었다. 오징어 가열시료에서 3-methylthiophene, 2-methyl-2-hexanethiol 등의 함황화합물이 검출되었고 탄소수 5인 1-ponton-3-ol, 3-ponton-2-ol, 4-me-thyl-3-pentanal 및 탄소수 3인 3-methyl-1,2-propan-diol, 1-hydroxy-2-propanone과 hexanal, benzaldehy-de를 비롯한 탄소수가 8과 9인 alcohol, ketone 등이 검출되었다. 염기성획분에서는 trimethylamine을 비롯한 6종의 pyrazine류가 분리$\cdot$동정되었으며 2,5-dimethyl pyrazine, 2-ethyl-6-methyl pyrazine, 2,3,5-trimethyl pyrazine 등과 특히 2-ethyl-3,5-dimethyl pyrazine의 함량이 많아 염기성획분의 주된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