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imaging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5초

베르니케 뇌병증으로 오인된 리 증후군: 증례 보고 (Leigh Syndrome Mimicking Wernicke's Encephalopathy: A Case Report)

  • 오지수;최진옥;김수정;유은애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478-1485
    • /
    • 2020
  • 리 증후군 또는 아급성 괴사성 뇌병증은 드물며, 빠르게 진행하는 신경 퇴행성 장애이다. 일반적으로 생후 1년 이내 호흡곤란, 심장기능 저하 등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여, 2~3년 동안 환자의 75%가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질환이다. 리 증후군의 원인은 DNA mutation으로, 약 75%의 환자에서 핵 데옥시리보핵산의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25%의 환자에서 미토콘드리아 데옥시리보핵산의 돌연변이가 발견된다. 임상 증상은 영향을 받은 뇌 영역에 따라 달라지며, 신경영상은 리 증후군 환자의 진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에서 발생한 리 증후군은 더욱 드물고 어린 나이에 발생한 경우보다 더 느리게 진행한다. 우리는 성인에서 발생한 베르니케 뇌병증으로 오인된 리 증후군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급격하게 진행한 급성 괴사성 뇌병증 환자의 연속 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Fulminant Course of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Followed by Serial MRI: A Case Report)

  • 이지영;이경미;연응구;이은혜;김의종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74-1280
    • /
    • 2021
  • 급성 괴사성 뇌병증은 드물지만 특징적인 인플루엔자 관련 뇌병증으로, 시상을 포함한 영역의 좌우 대칭의 다발성 병변을 특징으로 한다. 급성 괴사성 뇌병증의 정확한 발병 기전은 아직까지 불분명하나, 사이토카인 과분비에 의한 혈액뇌장벽의 파괴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이다. 저자들은 급격하게 진행한 10세 남아의 급성 괴사성 뇌병증 증례를 확산강조영상과 자화강조영상을 포함한 연속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속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나는 뇌병변의 시간적 변화는 임상경과 및 병태생리학적 변화와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본 증례는 연속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통해 급성 괴사성 뇌병증 뇌병변의 발생 기전을 명확히 하였으며, 더 나아가 빠른 면역조절치료를 통해 뇌 손상의 정도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중심 측두부 극파를 보이는 전형적 및 비전형적 양성 부분 간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ypical and atypical benign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 (Rolandic epilepsy))

  • 송준혁;이규하;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0호
    • /
    • pp.1085-1089
    • /
    • 2008
  • 목적: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이 드물지 않게 있지만, 전형적 및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의 비교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전형적 및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의 임상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경희의료원을 내원한 롤란도 간질 환자 158명을 선별하여 임상 증상, 경과, 관해율, 재발 등을 후향적으로 연구 하였다. Wirrel 기준으로 116명의 전형적 롤란도 간질군(A군)과 42명의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군(B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1) 경련 시작 나이 : A군은 $8.6{\pm}1.7$세, B군은 $6.2{\pm}1.7$세에 경련을 시작하였다. B군이 A군보다 더 일찍 경련이 시작하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성별 : 총 158명의 환자 중, 남자가 96명, 여자가 62명 이였다. 남녀 비는 1.6:1 이였다. 42명의 비전형적 롤란도 간질환자(B군) 중, 24명이 남자, 18명이 여자였고, 남녀 비는 1.3:1 이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3) 40명의 환자에서 뇌 영상 촬영을 하였다(A군 25명, B군 15명). B군 뇌 영상에서 뇌실 확장(4명), 경증 겉질 위축(4명), 뇌량의 부분적 무발생(2명) 등의 이상 소견이 발견 되었다. A군은 뇌 영상에서 이상이 없었다(P<0.05). 4) 치료 시작 전 경련의 빈도 : A군은 한 달에 $2.0{\pm}1.0$회의 경련을 보였고, B군은 한 달에 $2.3{\pm}1.2$회의 경련을 보였다. 두 군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5) 처음 항경련제 투여 후 경련을 조절하는데 걸린 기간 : A군은 3개월 내, B군은 3-12개월에 조절되었다(P<0.05). 6)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율 : A군 116명 환자 중 105명이 관해를 보였고(90.5%), B군 42명 환자 중 38명이 관해를 보였다(90.4%)(P>0.05). 7) 2년간 경련이 없는 관해를 보인 후의 재발률 : A군은 105명의 환자 중 13명이 재발하였고(12.4%), B군은 32명의 환자 중 12명이 재발하였다(37.5%)(P<0.05). 결 론: 이번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롤란딕 간질 환자군(B군)의 경련이 더 일찍 시작 되었으나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성별, 치료 시작 전 경련의 빈도,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율 등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뇌 영상 촬영에서의 이상 소견, 처음 항경련제 투여 후 경련 조절 기간, 2년간 경련을 보이지 않는 관해 후의 재발률 등은 두 군간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신생아 경련의 임상적 양상 및 예후에 관한 고찰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Neonatal Seizures)

  • 김창우;장창환;김행미;최병호;권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53-1259
    • /
    • 2003
  • 목 적 : 신생아 경련은 일반적으로 임상적 양상이 소아나 성인과는 크게 다르며 그 빈도도 드물지 않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및 자료가 부족하여 저자들은 신생아 경련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양상, 치료 및 예후에 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신생아 경련으로 치료받았던 41명(남 24, 여 17, 재태연령 $38.4{\pm}3.6$주)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병력상에 나타난 위험인자, 신경학적 진찰소견, 검사실 소견, 뇌 영상소견, 뇌파소견, 경련의 양상,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경련시작 당시의 나이는 $6.1{\pm}4.6$일이었고 경련의 양상은 다발성 간대가 17례(42%), 비정형적 발작이 10례(24%)로 가장 많았다. 병력상 위험인자로서는 비정상적 분만력 및 신생아 가사가 11례(27%), 전해질 이상이 11례(27%), 경련의 가족력이 3례(7%), 뇌의 구조적 이상이 3례(7%), 기타 저혈압 2례(5%) 핵황달, 청색형 선천성 심장병으로 인한 저산소증, 선천성대사이상 등이 3례(7%)였으며 나머지 8례(20%)에서는 위험인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뇌영상 촬영상 21례(51%)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이중 뇌출혈이 9례(22%)였으며 뇌백질연화증이 2례(5%), 뇌경색이 2례(5%)였고 그 외 선천성 수두증, cortical dysplasia, dural sinus thrombosis, 시상부위 음영증가 등의 소견을 보였다. 뇌파는 전체 41례 중 33례에서 시행되었고 17례(52%)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치료는 저혈당이나 전해질이상이 동반된 경우 이를 교정해 주었으며 항경련제로는 phenobarbital을 1차 약제로 사용하였고 반응이 없는 경우 phenytoin을 추가하였다. 경련이 재발하거나 나쁜 예후를 보인 환아들은 많은 수에서 신생아 가사에 의한 뇌손상이나 뇌의 선천성 기형이 있었으며 뇌파상에 비정상적인 배경파나 뇌영상소견상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결 론 : 신생아 경련의 많은 경우가 비정상적인 출산력과 미숙아, 기타 전해질이상과 관련된 문제가 많았고 전반적으로 약물에 대한 반응이 좋았으며 경련 발생 당시의 임상적 소견이나 검사소견 특히 뇌파나 뇌영상 촬영 소견상 큰 이상이 없었던 경우에는 예후가 좋았다. 따라서 신생아 경련의 위험요소를 잘 이해하고 분만 및 경련발생 시 적절한 대처를 해주는 것이 환아의 예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Brain SPECT Processing에 있어서 Macro Program 사용의 유용성 (Usefulness of applying Macro for Brain SPECT Processing)

  • 김계환;이홍재;김진의;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35-39
    • /
    • 2009
  • 서론 : 핵의학에 있어서 컴퓨터의 발전은 질적인 향상뿐 아니라 양적으로도 성장하고 있다.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핵의학과 업무에 적용한다면 양질의 영상을 얻고 단순작업의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핵의학과 업무에 있어 컴퓨터를 이용한 processing에 할애하는 시간은 상당하여, 이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Macro라는 프로그램을 적용하기로 하였고, 단순 반복 작업이 많은 Brain SPECT SPM processing과 Brain SPECT PACS verify processing에 적용해 보기로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 Brain SPECT에서 SPM processing과 작업 건수가 많은 PACS 작업 두 가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SPM은 Brain의 Neuroimaging data를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그룹간의 정량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Realignment, Normalization, Smoothing, Mapping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결과를 만들어낸다. 이 과정을 Macro Program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코딩하는 작업을 거쳐 만들어 보았다. PACS verify작업은 PACS로 보낸 영상을 간단하게 Color mapping, Gray scale 조정, 복사, 잘라 붙이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Macro Program을 이용하여 직접 마우스 좌표를 입력하였다. 수작업으로 했을 때와 Macro Program을 활용했을 때 결과물을 만드는 시간을 기록하여 2007년 검사건수에 대입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 2007년 SPM 검사 건수는 115건, PACS 작업 건수는 Diamox 검사 기준으로 834건이었다. SPM을 수작업은 숙련도에 따라 10분에서 15분 소요되었고, Macro를 사용시 5분 30초가 소요되었다. 검사 건수에 대입하여 년 평균 시간을 산출하면 SPM을 수작업으로 했을 시 숙련도에 따라 1150~1725분(19~29시간)이 소요되었고, Macro 사용 시에는 632분(10.5 시간)이 걸렸다. PACS는 수작업 시 2~3분이 걸렸으며, Macro를 사용 시에는 45초가 걸렸다. 이를 검사 건수에 대입하면 수작업 시 1668~2502분(28~42시간)이 걸렸고, Macro 사용시 625분(10시간)이 소요되어서 1043~1877분(17~31)시간이 절약 되었다. 결과적으로, SPM에 있어서 45~63%, PACS 작업에 있어서는 62~75%, 2007년 기준으로 전체 Brain SPECT Processing에서 55~70% 정도의 시간 절약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 : 2007년 검사 건수 기준으로 Macro 프로그램 사용시 상당한 시간절약 효과를 가져왔고 아무리 적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라도 건수에 따라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검사실 근무자에게 검사하는 환자에게 더욱 집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어 안전사고 발생률을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논문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Brain SPECT 프로세싱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분야의 단순반복 업무에 매크로를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간적 이득과 작업 효율성은 상당할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 PDF

한양방 협진치료를 받은 치매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Suffering from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Treated by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 이고은;정문주;이성익;김남권;김진원;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19
    • /
    • 2018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diagnosed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who are treated by means of a blend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Methods: We searched for outpatients with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means of a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from August 1, 2015, to July 31, 2017,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Wonkwang Hospital. The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atients'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pathway of medical care, diagnostic tests, treatment, and medical expenses. Results: Thirte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mong them, six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ive with dementia, Alzheimer's type, one patient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and one patient with unspecified dementia. Twelve of the thirteen patients were over 60 years of age. The number of pathways from the Dept. of Neurology to the Dept. of Neuropsychiatry of Korean Medicine was almost the same as the opposite pathway. The most used diagnostic test in Korean medicine was a neuropsychological test such as SNSB, MMSE and GDS. In Western medicine, hematology and neuroimaging were frequently used for patients. Acupuncture in Korean medicine and medication in Western medicin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n medicine, uncovered service costs were much higher than covered service costs,. whereas, in Western medicine, covered service costs were higher than uncovered service costs. Conclusions: This study describ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treated by a collaboration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Based on these results, a clinical pathway of the collaborative practice system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for dementia patients needs to be developed.

추골동맥 및 분지부 동맥류의 치료결과 (Management Outcomes of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 안재성;김준수;김정훈;권양;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01
  • Objective :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ake up approximately 3% of all intracranial aneurysms. As the aneurysm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lower cranial nerves and medulla, surgical management of the aneurysms are one of the challenging neurosurgical problems. The authors analyzed the management outcomes for aneurysms arising from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Methods : At the authors' institution between May 1989 and Jan. 2000, 42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and endovascular surgery for aneurysms of vertebral artery and its branches. The medical records and neuroimaging studie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Forty two patients were comprised of 28 female and 14 male patients aged from 26-80 year old(mean : 51.8). Of the 42 patients, 37 patients(88%) had subarachnoid hemorrhage. Of the 37 patients with subarachnoid hemorrahge, 35 patients(95%) were in good neurological status(Hunt Hess grade I-III), 2 patients(5%) in poor grade(H-H grade IV-V) before operation. Location of the aneurysm were 16 in vertebral artery, 12 in vertebro-PICA junction, and 14 in the peripheral PICA. Twenty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ranscranial surgery and 13 patients with endovascular surgery.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transcranial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 and II ; 24, GOS III ; 2,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transcranial surgery were rebleeding after failure in clipping in one and suspected brainstem infarct in one. Morbidity was attributed to vasospasm(3), lower CN palsy(7, including temporary dysfunction) and pseudomeningocele(1). The management outcome of the endovascular surgery was : Glasgow outcome scale(GOS) I-II ; 9, GOS III ; 1, GOS IV ; 1, and GOS V(death) ; 2. The causes of mortality related to endovascular surgery were sepsis from pneumonia(1) and vasospasm(1). There were one cerebellar infarct and one lateral medullary syndrome. Conclusion : Excellent and good surgical results can be expected in 80% of the patients with aneurysms of vertebral arery and its branches. The outcomes of endovascular surgery in treating vertebral artery aneurysm were satisfactory and endovascular surgery may offer a therapeutic alternative especially in vertebral dissecting aneurysm.

  • PDF

측두엽내 공간 점유 병소와 동반된 난치성 간질의 수술적 치료 성적 (Surgical Outcome of Intractable Seizure with Space-Occupying Lesion in Temporal Lobe)

  • 박준범;이완수;이정교;전상룡;김정훈;노성우;나영신;김창진;권양;임승철;권병덕;강중구;이상암;고태성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26-32
    • /
    • 2001
  • Objective : The increasing use of sensitive neuroimaging techniques has demonstrated that significant percentage of patients with intractable complex partial seizures have brain masses, especially in temporal lobe. The optimal surgical solution for these patients is still open to debate. The purpose of our investigation is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 of patient with lesion-related temporal lobe epilepsy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surgery and the location of lesion. Patients and Methods : From DEC. 1993 to Dec. 1997, 35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and space occupying temporal lobe lesion identified in preoperative MR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surgery were lesionectomy, anterior temporal lobectomy with or without hippocampectomy. The location of lesion was divided as anteromedial group and lateral cortical group. The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surgery and location of the lesion were compared. Results : Twenty-six of 34 patients(76.5%) were seizure-free after surgery. The Engel's class was favorable after anterior temporal lobectomy with or without hippocampectomy(p=.044) Conclusion : It is favorable to perform anterior temporal lobectomy for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epilepsy with space-occipying lesion in temporal lobe. The resection of the hippocampus can be individualized.

  • PDF

두정엽 및 후두엽 간질에 대한 수술전략 (Surgical Strategy of Epilepsy Arising from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 심병수;최하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2호
    • /
    • pp.222-230
    • /
    • 2000
  • Purpose : Resection of the epileptogenic zone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lobes may be relevant although only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Methods : Eight patients with parietal epilepsy and nine patients with occipital epilepsy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Preoperatively, all had video-EEG monitoring with extracranial electrodes, MRI, 3D-surface rendering of MRI using Allegro(ISG Technologies Inc., Toronto, Canada), and PET scans. Sixteen patients underwent invasive recording with subdural grid. Eight had parietal resection including the sensory cortex in two. Seven had partial occipital resection. Two underwent total unilateral occipital lobectomy. The extent of the resection was made based mainly on the data of invasive EEG recordings, MRI, and 3D-surface rendering of MRI, not on the intraoperative electrocorticographic findings as usually done. During resection, electrocortical stimulation was performed on the motor cortex and speech area. Results : Out of eight patients with parietal epilepsy, three had sensory aura, two had gustatory aura, and two had visual aura. Six of nine patients with occipital epilepsy had visual auras. All had complex partial seizures with lateralizing signs in 15 patients. Four had quadrantopsia. One had mild right hemiparesis. Abnormality in MRI was noticed in six out of eight parietal epilepsy and in eight out of nine occipital epilepsy. 3D-surface rendering of MRI visualized volumetric abnormality with geometric spatial relationships adjacent to the normal brain, in all of parietal and occipital epilepsy. Surface EEG recording was not reliable in localizing the epileptogenic zone in any patient. The subdural grid electrodes can be implanted on the core of the structural abnormality in 3D-reconstructed brain. Ictal onset zone was localized accurately by subdural grid EEGs in 16 patients. Motor cortex in nine and sensory speech area in two were identified by electrocortical stimulation.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cortical dysplasia in 10 patients ; tuberous sclerosis was combined in two, hamartoma and ganglioglioma in one each, and subpial gliosis in six. Eleven patients were seizure free at follow-up of 6 months to 37 months(mean 19.7 months) after surgery. Seizures recurred in two and were unchanged in one. Six produced transient sensory loss and one developed hemiparesis and tactile agnosia. One revealed transient apraxia. Two patients with preoperative quadrantopsia developed homonymous hemianopsia.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surgical treatment was relevant in parietal and occipital epilepsies with good surgical outcome, without significant neurologic sequelae. Neuroimaging studies including conventional MRI, 3Dsurface rendering of MRI were necessary in identifying the epileptogenic zone. In particular, 3D-surface rendering of MRI was very helpful in presuming the epileptogenic zone in patients with unidentifiable lesion in the conventional MRI, in planning surgical approach to lesions, and also in making a decision of the extent of the epileptogenic zone in patients with identifiable lesion in conventional MRI. Invasive EEG recording with the subdural grid electrodes helped to confirm a core of the epileptogenic zone which was revealed in 3D-surface rendered brain.

  • PDF

운동성 장애에 대한 감마나이프 시술의 초기경험 (Preliminary Report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the Movement Disorders)

  • 홍준기;김무성;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24-1029
    • /
    • 2000
  • Objectives : With recent improvements in neuroimag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rd and fourth-generation radiosurgical dose-planning soft ware, came a renewed interest in using radiosurgery for the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Radiosurgery involves no opening of the cranium and no incisions, eliminating both the risk of hemorrhage from passing an electrode to the depths of meningitis from operative infection. It is for these reasons stereotactic radiosurgical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has value in a small subgroup of patients. The authors report four cases of Parkinson's disease and one case of dystonia that were treated by Gamma knife. Methods : Radiosurgical nucleus ventralis intermedius thalamotomy using the gamma knife unit was performed to make lesion in two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 radiation dose of 120Gy was delivered to nucleus using a single 4-mm collimator plug pattern following classic anatomical landmarks.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median of 10.5 months(range 9-12 months). An independent neurological evaluation of trem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Unit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tremor score(UPDRS), was correlated with a subjective evaluation. Gamma knife ventrolateral(V.O.P) thalamotomy was performed in one case of dystonia. A central dose of 150Gy was delivered and the patient was followed for 18 months. Gamma knife globus pallidus interna pallidotomy was performed in two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 radiation dose of 130Gy(range 120-140Gy) was delivered.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median of 13 months(range 9-14 months). Result : Ventrolateral thalamotomy in dystonia produced regained left hand usage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telephone. Ventralis intermedius thalamotomy produced an excellent improvement of the tremor in one case, mild improvement of the tremor in the other case of Parkinson's disease. A globus pallidus internalis(GPi) pallidotomy produced improvement of rigidity and dyskinesia : one other showed no change. There were no neurological complications. Conclusion : Gamma Knife thalamotomy considered a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tremor in Parkinson's disease. Although the results from Longer follow-up is not available yet, the short-term results seem to be encourag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