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imaging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2초

운동성 장애에 대한 감마나이프 시술의 초기경험 (Preliminary Report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the Movement Disorders)

  • 홍준기;김무성;이선일;정용태;김수천;심재홍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24-1029
    • /
    • 2000
  • Objectives : With recent improvements in neuroimag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rd and fourth-generation radiosurgical dose-planning soft ware, came a renewed interest in using radiosurgery for the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Radiosurgery involves no opening of the cranium and no incisions, eliminating both the risk of hemorrhage from passing an electrode to the depths of meningitis from operative infection. It is for these reasons stereotactic radiosurgical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has value in a small subgroup of patients. The authors report four cases of Parkinson's disease and one case of dystonia that were treated by Gamma knife. Methods : Radiosurgical nucleus ventralis intermedius thalamotomy using the gamma knife unit was performed to make lesion in two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 radiation dose of 120Gy was delivered to nucleus using a single 4-mm collimator plug pattern following classic anatomical landmarks.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median of 10.5 months(range 9-12 months). An independent neurological evaluation of trem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Unit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tremor score(UPDRS), was correlated with a subjective evaluation. Gamma knife ventrolateral(V.O.P) thalamotomy was performed in one case of dystonia. A central dose of 150Gy was delivered and the patient was followed for 18 months. Gamma knife globus pallidus interna pallidotomy was performed in two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 radiation dose of 130Gy(range 120-140Gy) was delivered.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median of 13 months(range 9-14 months). Result : Ventrolateral thalamotomy in dystonia produced regained left hand usage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telephone. Ventralis intermedius thalamotomy produced an excellent improvement of the tremor in one case, mild improvement of the tremor in the other case of Parkinson's disease. A globus pallidus internalis(GPi) pallidotomy produced improvement of rigidity and dyskinesia : one other showed no change. There were no neurological complications. Conclusion : Gamma Knife thalamotomy considered a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tremor in Parkinson's disease. Although the results from Longer follow-up is not available yet, the short-term results seem to be encouraging.

  • PDF

당뇨 환자에서 경막외 농양과의 감별을 요한 원발성 척추 경막외 임파종 - 증례보고 - (Primary Spinal Epidural Lymphoma Mimicking Epidural Abscess in a Diabetic - A Case Report -)

  • 김세훈;임동준;조태형;정용구;이훈갑;이기찬;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395-399
    • /
    • 2001
  • 척추 경막외 임파종은 전체 임파종의 7%정도를 차지하며, 가장 흔한 증상으로 척수 압박 증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원발성 척추 경막외 임파종, 즉 다른 장기의 침범 소견 없이 척추에만 국한되어 나타난 임파종은, 당뇨병 환자에서 급성 척수 압박 증상으로 나타났을 때, 척추 경막외 농양과의 감별을 요한다. 저자들은 48세의 여자 당뇨 환자에서 흉추부의 통증으로 내원 1개월 전까지 여러 차례 침술치료를 받고 난 후 통증이 악화되고 급성 하반신 부전마비와 배뇨 장애 및 감염 징후가 있어 본원에 내원하여, 병력과 제반 검사상 수술전에 척추 경막외 농양으로 진단되었던 원발성 척추 경막외 임파종 1례를 수술 치험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araclinoid 동맥류의 수술적 접근법 (Surgical Approaches to Paraclinoid Aneurysms)

  • 윤재웅;이동렬;정영균;김수영;박혁;백승국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1361-1368
    • /
    • 2001
  • Objective : "Paraclinoid" aneurysms include those aneurysms arising from the internal carotid artery between the site of emergence of the carotid artery from the roof of the cavernous sinus and the origin of the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The authors reviewed and analysed the results of surgical approaches to paraclinoid aneurysms treated with transcranial surgery and endovascular surgery. Methods : Between January 1998 and May 1999, 14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throug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pterional approaches, and anterior interhemispheric approach, and endovascular surgery for paraclinoid aneurysms. All transcranial approaches were performed by same surgeon. The medical records, neuroimaging studies and videotapes which had been recorded operation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Twelve patients presented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and ICH. Nine of fourteen patients had multiple aneurysms. Thirteen cases were small and one was a large aneurysm. Six patients were treated through ipsilateral approaches, six contralateral pterional approaches, one anterior interhemispheric approach and one primarily by GDC embolization. All aneurysms treated through contralateral approaches were multiple aneurysms. Neck clipping was performed in 9(69.2%) of the thirteen aneurysms, wrapping in four cases, among them three cases were followed by GDC embolization. The surgical outcomes were : Glasgow Outcome Scale(GOS) I 71.4%, GOS II 21.4% and GOS V 7.1%. Conclusion : The surgical approaches to paraclinoid aneurysms should be chosen after careful anatomical evaluation of aneurysm and its neighboring structures. 3D-CT angiography and/or the raw data of MR angiography were useful. This study supports the usefulness of the contralateral approach to paraclinoid aneurysm associated with multiple aneurysms, unruptured and small aneurysms whose dome projecting medially, superiorly and dorsally. The determination of contralateral approach to small and medially projecting paraclinoid aneurysm may be stressful to operator, thus we believe anterior interhemispheric approach is better alternated. Also we recommend the endovascular surgery after reinforcement of aneurym neck and dome in the case with difficulty in clipping.

  • PDF

SWI의 신경영상분야의 임상적 이용 (Clinical Applications of Neuroimaging with Susceptibility Weighted Imaging: Review Article)

  • 노근탁;강현구;김인중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4호
    • /
    • pp.290-302
    • /
    • 2014
  • 목적: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은 혈액분해산물, 석회화, 철 침착물을 발견하는데 있어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3D spoiled gradient-echo pulse sequence 이다. 본 임상화보는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의 주된 임상적 적용에 대해 설명하고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대상과 방법: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자기강도영상 (magnitude image)과 위상영상 (phase image)을 이용한 고해상도, 3D fully velocity-compensated gradient-echo sequence 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정맥 구조물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강도영상은 여과된 위상 데이터 (phase data) 로부터 발생된 위상 마스크 (phase mask)를 이용해 증폭되고, 이것은 최소강도투사 (Minimal intensive proj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3D dataset 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3T 자기공명기기에서 SWI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총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다양한 뇌 질환의 발견에 매우 유용하였다. 200명의 환자 중 80명은 선천성 정맥 기형, 22명은 해면상 혈관종, 12명은 다양한 질환에서의 석회화, 21명은 혈관자화 징후 (susceptibility vessel sign) 또는 미세출혈을 동반하는 뇌혈관 질환, 52명은 뇌종양, 2명은 미만성 축삭 손상, 3명은 동정맥 기형, 5명은 뇌경막 동정맥루, 1명은 모야모야병, 그리고 2명은 파킨슨병이 관찰되었다. 결론: 자화율 강조 자기공명영상은 미세 저혈량 혈관성 병변, 석회화 그리고 미세출혈과 다양한 뇌병변의 진단에 유용하다.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Regional Homogeneity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의 변화 비교: fMRI연구 (Changes of Regional Homogeneity and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 on Resting-State Induced by Acupuncture)

  • 여수정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3호
    • /
    • pp.161-170
    • /
    • 2013
  • 목적 : 침치료는 침자극을 가한 뒤, 발침한 뒤에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침연구에 있어서 침자극을 가하고 발침한 뒤에 나타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침자극 후의 반응을 관찰하여 발침 후에 뇌에 미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 침자극에 의하여 나타나는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하여 12명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우측 양릉천 혈자리에 자침한 후, 침자극 전후의 뇌를 촬영하였다. 그리고 regional homogeneity(ReHo)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ALF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 ReHo와 ALFF에서 공통적으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영역은 좌우측 중전두이랑, 좌측 내측전두이랑, 좌측 상전두이랑, 그리고 우측 뒤쪽 띠이랑의 뇌부위였다. 특히 ReHo분석 결과 섬엽, 앞쪽 띠이랑과 선조체에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들 영역은 침의 진통작용과 관련된 영역들이다. 하지만 ALFF 분석결과에서는 이들 영역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ReHo와 ALFF 모두에서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ReHo분석을 통하여 침자극에 의한 진통관련 영역들의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신체화의 생물학적 기전 : 신체화의 신경심리학적 모델을 중심으로 (Biological Mechanism of Somatization : Mainly Focused on the Neuropsychological Model of Somatization)

  • 이영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122-140
    • /
    • 2000
  • 신체화 장애란 명백한 기질적 병리가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만성 장애를 말한다. 그런데 신체화 장애는 역사적으로 기질적인 이상이 없이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히스테리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신체화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론들은 주로 정신역동이나 사회적인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감정적인 문제나 정신질환이 신체화로 나타나는 기전에서 신경생물학적인 관점에 대한 관심 또한 적지 않았었다. 이런 신경생물학적인 관점에서 히스테리아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는 Anna O 증례조차도 신경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기도 하였다. 몇몇 신경생리학적 및 신경심리학적 연구결과들, 히스테리 환자에서 신체화증상 표현의 좌우 반구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신체화의 생물학적 근거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최근 들어 신체화 장애의 신경영상검사는 신체화 장애에서 뇌의 기능 이상이 존재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신체화의 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몇몇 가설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체화에 대한 새로운 신경심리학적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이 가설을 신체화 장애의 치료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도 논의하고 이 가설의 제한정과 이 영역에 있어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려고 한다.

  • PDF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An fMRI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Creativity and Emotional Susceptibility)

  • 조선희;이민주;최유용;김희백;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03-5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3 Tesla MR Clinical Application: Advanced Neuroimaging

  • 손철호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2년도 제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50-56
    • /
    • 2002
  • 최근 3-4년간 MR의 hardware와 software의 급격한 발전으로 마침내 작년 말에 3.0 Tesla whole body MR 장비가 미국 FDA의 공인을 받았다.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3T MR장비의 개발이 이루어 졌고 이미 설치되어 연구와 임상이 이용되고 있다. 여러 회사에서 개발 및 연구된 전신 3.0T MR 장비가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이고 임상 도입 단계에 있지만 아직까지 실지 임상에서는 뇌신경계 분야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 뇌신경계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늘리 사용되고 있는 1.5T MR 장비는 모든 면에서 상당히 안정적으로 임상 및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1-2년 전만 해도 3.0 T MR기기는 뇌신경계 영역에서도 임상적으로 늘리 사용되기에는 안정적인 면에서는 1.5T 기기에 비해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래서 주로 연구실 영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 본원에 설치 완료되어 임상에 적용한지 6개월 정도 이용한 예에서 보면 (about 2300 cases/6months) hardware, software적인 면에서 아직 조금의 불편함이 있지만 많은 부분이 충분히 인지되고 개선이 가능한 부분으로 거의 불편함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불편함을 넘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고 본다. 고자장 (>3.0 T) MRI의 매력은 자장에 비례적으로 SNR, spectral resolution이 높아지고, T1, BOLD등에 의한 대조도가 향상한다는 것이다. SNR의 증가는 temporal, spatial 분해능을 증가시키고, spectral resolution이 높아짐에 따라 MR spectroscopy상에서 주요 대사물질 이외 작은 대사물질에 관한 스펙트럼의 분석을 향상시킨다. 이처럼 고자장 MR은 근본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장점이 고자장 MR 시대로 가야 할 이유을 모두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된다.세포질등이 있으며, 이들중에서 lysosomes, peroxisomes,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특정한 유전성 백질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질환들은 최소한 각 소기관에 의한 질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SXR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를 약간 촉진한 반면 MDA-MB-231세포는 SXR을 제외한 CAR와 PPAR${\gamma}$에 의해 ER의 transactivation 효과가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세포에서는 CAR, SXR, PPAR${\gamma}$과 같은 xenobiotic nuclear receptor에 의한 ER transactivation 효과가 간암세포와는 다르게 나타나며, 유방암의 종류에 따라서 endogenous CAR, SXR, PPAR${\gamma}$수용체가 다르게 발현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반응이 서로 상이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estrogen receptor에 의해 매개되는 estrogn의 전사활성조절기전이 표적세포에 따라 다른 경로를 포함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서 흡착 능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황화수소는 펄라이트, 왕겨, 소나무수피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충전재는 암모니아의 경우 코코넛과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3번과 소나무수피와 펄라이트의 비율이 7:3인 혼합 재료 6번에서 다른 혼합 재료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코코넛과 소나무수피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흡착 능력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사료되며, 코코넛의 경우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 조달이 용이하며, 구입 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소나무수피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사료된다. 5. 마지막으로 악취제거 미생물균주를 접종한 소나무수피 50%와 펄라이트

  • PDF

두개강내 상의세포종 환자 30례에 있어서 재발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in 30 Patients with Intracranial Ependymomas)

  • 이해일;안재성;전상룡;김정훈;나영신;김창진;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28-234
    • /
    • 2001
  •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that were predictive of recurrence in primary intracranial ependymomas. Methods : We analyzed variables affecting recurrence in 30 patients with primary intracranial ependymomas. Age, location, CSF cytology, seeding on neuroimaging study, tumor grade, extent of surgery, use of chemotherapy, chemotherapy regimen, use of radiotherapy, and radiotherapy field were entered to test their impacts on recurrence. Results : Follow-up ranged from 2 to 110 months. Tumors were recurred at the primary tumor site only in 13 patients (43.3%). The overall average recurrence free period was 55 months, with overall recurrence free rates at 3 and 6 years of 61.0% and 20.9%, respectively. Extent of surgery was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recurrence. The median recurrence free period and 3-year recurrence free rate were 72 months and 78.4% for patients having complete excision and 33 months and 0% for those having incomplete excision(p=0.05). Other prognostic variables like age, location, tumor grade, use of chemotherapy, and use of radiotherapy did not affect recurrence(p=0.2848, 0.7899, 0.1714, 0.2157, 0.7076, respectively). Conclusions : Intracranial ependymomas have a propensity to recur after treatment, and recurrence at the primary site is still the main obstacle to cure. Among various variables, only extent of resection had the strongest impact on recurrence. Additional studies may still be needed to precisely define the prognostic variables on recurrence in intracranial ependymomas.

  • PDF

유즙 호르몬 과분비 선종에 대한 감마 나이프 수술의 역할 (The Role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s)

  • 허진우;임영진;임언;양재영;고준석;김태성;이봉암;김국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336-344
    • /
    • 2000
  • Objective : The treatment for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prolactinoma) include pharmacology, surgery, radiation therapy or radiosurgery. The recent development of radiological imaging and microsurgery has made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the treatment of choice for most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 Despite its low morbidity and mortality, relatively high recurrence and failure rate have been reported. Recent advances in neuroimaging provide a precise targeting in radiosurgery for treatment of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 In this regard, Gamma knife radiosurgery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primary treatment modality or adjuvant therapy. Patients and Methods : Twenty three patients with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 have been treated with Gamma knife radiosurgery in our institute from March 1992 to September 1998. We analyzed clinical, radiological and endocrinological changes in 21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35.7 months. Results : The mean age was 34.9 years and 16 patients were treated with Gamma knife radiosurgery as primary treatment and 5 patients underwent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residual tumors after microsurgery. The margin of the tumor was incorporated within the 40 to 80% and the mean marginal dose was 24.5 Gy. Clinical improvement in the last follow-up were present in 17 cases(81.0%) and 3 of 5 infertility patients became pregnant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Tumor control rate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was 100%. Endocrinological normalization in the last follow-up were obtained in 12 cases(57.1%). In three cases, hormonal normalizations were present in early period(3-32 months) but serum hormone levels were elevated subsequentl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 seems to be safe and effective as adjuvant therapy after microsurgery and primary treatment modality in selective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