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fault recover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9초

Influence of polymer coating on SFCL recovery under load

  • Gorbunova, D.A.;Kumarov, D.R.;Scherbakov, V.I.;Sim, Kideok;Hwang, Soo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4-47
    • /
    • 2019
  • This paper is a study of recovery under load process of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SFCL consists of five parallel-connected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HTS) tapes additionally stabilized by stainless tape. Previously, HTS was heated by current pulse to simulate a short circuit in a power grid. During the cooling period, the current amplitude decreased to 23% or less of HTS critical current value, which is the simulation of network re-switching. When HTS with a polymer coating is cooled, temperature gradient on thermal insulation layer occurs, that prevents a boiling crisis and improves the heat sink into liquid nitrogen. Two samples are coated with a 30 ㎛ and 50 ㎛ polylactide (PLA) layers, reference sample has no polymer coating on it. Samples with a polymer coating show 3-5 times faster cooling than the reference one.

풍력발전시스템이 연계된 계통의 과도상태해석 (Transient State Analysis of Network Connected to Wind Generation System)

  • 김세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9-35
    • /
    • 2003
  • Generator for wind power can be either synchronous or asynchronous (induction) types. Induction and synchronous generators behave in a different way when subjected to severe faults. Induction generators does not have an angle stability limit and short circuit in the neighborhood of an Induction generator causes the demagnetization of the machine when the fault is cleared, the voltage raises slowly, while the grid contributes with reactive power to the generator and the magnetic flux recovers. On the other hand in the synchronous generators the recovery of the voltage is immediate, since the excitation of the rotor angle comes from an independent circuit.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the transient state analysis in the network connected to wind generation system Several ca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clearing time of a fault on the network st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critical clearing time can be as low as 61ms in the case of induction generator compared to 370ms in the case of synchronous generator.

원격 로깅 기법을 이용하는 고장 허용 소프트웨어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Fault Tolerant Software Distributed Shared Memory with Remote Logging)

  • 박소연;김영재;맹승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5_6호
    • /
    • pp.328-334
    • /
    • 2004
  • 최근에 소프트웨어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은 그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큰 규모의 클러스터 상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나 시스템 규모가 커지면서 고장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높아졌다.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장 허용 기능을 제공하는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이 요구되었으며 메시지 로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네트웍을 이용하여 복구에 필요한 메시지들을 원격 노드의 메모리에 로깅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원격 로깅은 정상 수행 동안 빈번한 디스크 접근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오버헤드가 적다. 또한 로그를 유지하는 백업 노드들이 고장나지 않은 경우 다중 노드의 고장을 허용하여,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FT-KDSM (Fault Tolerant KAIST DSM)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원격 로깅의 성능을 보이고 고장으로부터의 복구 시간을 보인다.

효율적 객체 관리 및 부하 분산을 위한 고장포용 객체그룹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and Analysis of Fault-Tolerant Object Group Framework for Effective Object Management and Load Distribution)

  • 강명석;정재윤;김학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B호
    • /
    • pp.22-3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객체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장 발생시에도 안정된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고장포용 객체그룹(Fault-Tolerant Object Group, FTOG)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FTOG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우선순위와 체크포인트 방법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고장 회복 방안을 제공하며 퍼지 기반의 부하 추론 과정을 통한 부하 분산을 수행하여 서비스 실행에서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가상의 홈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고 FTOG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산되어 있는 객체들의 관리 및 부하 분산 등 본 모델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MPLS망에서 버퍼지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무손실 Fast Rerouting 기법 (Packet Lossless Fast Rerouting Scheme without Buffer Delay Problem in MPLS Networks)

  • 신상헌;신해준;김영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2호
    • /
    • pp.233-24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망에서 패킷 손실 없이 장애를 복구하는 기존의 fast rerouting 기법 적용 시 ingress 노드 버퍼에서 발생하는 누적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사용자 트래픽을 복구하기 위해서 사전에 설정된 대체 LSP(Label Switched Path)와 각 노드에 설치된 버퍼를 사용한다. Ingress 노드에서 발생하는 버퍼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대체 LSP가 보호되는 working LSP보다 일정기간동안 큰 대역폭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장애가 복구된 후, 대체 LSP에 설정된 대역폭은 working LSP와 동일하도록 재조정된다. 두 번째 방안은 세그먼트 기반의 장애복구 기법을 적용하여 보호되는 working LSP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들은 장애 복구 후 ingress 노드에서 버퍼 지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ingress 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버퍼의 크기도 기존 방안보다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시스템의 실시간 고장감지 및 진단 방법 (The On-Line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 Testing of Systems using Neural Network)

  • 정진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47-154
    • /
    • 1998
  • 건물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프로세서와 시스템을 운영자가 이해 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복잡한 시스템 설비를 운영할 때, 시스템 고장 처리를 위한 결정을 도울 수 있는 도구가 운영자에게 제공되면 설비를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본논문의 주요 목적은 IBS 건물을 최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실시간 자동 에러 검출 및 진단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다.

  • PDF

고신뢰성을 보장하는 패킷전달망-IP망 상호연동 방법 (Reliable Methods of Interoperability between Packet Transport Networks and IP Networks)

  • 이광국;이호송;이영욱;정기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34-40
    • /
    • 2014
  • 패킷전달망은 기존 회선 기반의 전달 방식을 패킷 기반으로 전환한 기술로써 통계적 다중화 기반의 전송 효율을 통해 비트당 전송 비용을 절감하고, 회선망 수준의 강력한 OAM 및 50ms 이내의 보호절체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최근들어 IEEE PBB-TE 및 ITU-T, IETF MPLS-TP 등의 캐리어급 패킷전달망 기술의 표준화로 통신사업자의 기존 회선 중심의 전달망은 연결지향형 기반의 패킷망으로 진화 및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관련하여 기존망과의 상호연동에 있어 고신뢰성 및 관리 기능의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이슈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통신사업자 입장에서 패킷전달망 전환시 IP 라우터망 장비와의 정합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연동구간 장애 감지 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장애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함과 동시에 MEF에서 정의된 이더넷 서비스 조합을 통해 예비 회선이 없는 상황에서 IP 트래픽을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방법 등 사업자 입장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망을 운영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YBCO 박막을 이용한 배전급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 (Resistiv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 for Distribution systems using YBCO thin films)

  • 이방욱;박권배;강종성;김호민;오일성;심정욱;현옥배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7권2호
    • /
    • pp.114-119
    • /
    • 2006
  • High critical current density, high n value, multiple faults endurances, and fast recovery characteristics of YBCO thin films are very attractive characteristics for developing resistive 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 But due to the limited current and voltage ratings of one YBCO module, it is needed to construct series and parallel module connections for high capacity electric networks. Especially for distribution network, more than 30 units should be connected in series to meet voltage level. So in order to construct distribution-leve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imultaneous quench in one YBCO thin films should be realized, and furthermore, quench should be occurred in all fault current limiting units equally to avoid local heating and failures. In this paper, we proposed optimum design of YBCO thin films for fault current limiting module and technical method using shunt resistor to achieve simultaneous quench between multi current limiting units. From the analytical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ptimal current path and thickness of shunt material was determined for YBCO thin films and shunt resistor between modules was developed. Finally, 14 kV one phase resistive fault current limiter using multi YBCO thin films was constructed and it was possible to get satisfactory test results.

  • PDF

다중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클러스터 검사점 저장 기법 (A Multistriped Checkpointing Scheme for the Fault-tolerant Cluster Computers)

  • 장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7호
    • /
    • pp.607-614
    • /
    • 2006
  • 검사점 저장 기법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클러스터 노드들의 프로세스 수행 정보를 전역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분산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결함 허용 성능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고 전체 프로세스의 수행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검사점 정보를 저장할 때에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부하를 각 노드에 최대한 적절하게 분산하여 데이터 저장 시간을 줄임으로써 검사점 정보를 저장하는 동안 전체 클러스터 시스템의 프로세스가 지연되는 시간을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분산 RAID 기반의 단일 입출력 공간을 사용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는 여러가지 검사점 저장 기법을 사용하며, 검사점 정보의 저장 기법에 따라서 저장 성능과 결함 회복 성능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분할된 검사점 저장 기법을 개선하여 검사점 데이터를 분산 RAID 기반의 단일 입출력 공간에 저장할 때에 그룹별로 분할되는 분할 그룹 크기를 검사점 정보가 저장될 때의 네트워크의 트래픽에 따라서 동적으로 결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 RAID에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최소화하는 다중 분할된 검사점 저장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대 512개의 가상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여 MPI 와 Linpack HPC 벤치마크를 통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성능 평가 결과는 검사점 정보의 크기와 클러스터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안된 기법이 검사점 정보의 저장과 결함 회복 능력에 대하여 기존의 검사점 저장 기법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Rotational Wireless Video Sensor Networks with Obstacle Avoidance Capability for Improving Disaster Area Coverage

  • Bendimerad, Nawel;Kechar, Bouabdella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4호
    • /
    • pp.509-527
    • /
    • 2015
  • Wireless Video Sensor Networks (WVSNs) have become a leading solution in many important applications, such as disaster recovery. By using WVSNs in disaster scenarios, the main goal is achieving a successful immediate response including search, location, and rescue operations. The achievement of such an objective in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the risk of sensor damage being caused by disasters is a challenging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ult tolerance model of WVSN for efficient post-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assist rescue and preparedness operations. To get an overview of the monitored area, we used video sensors with a rotation capability that enables them to switch to the best direction for getting better multimedia coverage of the disaster area, while minimizing the effect of occlusions. By constructing different cover sets based on the field of view redundancy, we can provide a robust fault tolerance to the network. We demonstrate by simulating the benefits of our proposal in terms of reliability and high co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