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sted enterpris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통합 공급망계획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턴 연구 : 견적요청 유형 분석을 바탕으로 (A Study on Business Process Patterns for Integrated Supply Chain Planning : Based on Analysis of RFQ Types)

  • 정한일;장태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1호
    • /
    • pp.83-97
    • /
    • 2008
  • Today's competitive global market makes most enterprise endeavor to specialize their business areas, and co-operate with trading partners in supply chain by the forms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nd business process sharing. However, even the supply chain plan generated by co-operation often fails to be executed successfully, because it was generated without capacities of suppliers and more over nested supplier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supply chain plan of an enterprise should be generated truly integrated way. In this paper, we classify business patterns based on scenarios about quotation processing and supply chain planning in self-integrated environment. And we present business process models about four business patterns and describe them, which are classified by whether request for quot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price, required time periods, and quantity for each required time period and whether it is received from customer or sent to supplier. In addition, we describe the types of supply chain planning problem.

  • PDF

Multi-Sized cumulative Summary Structure Driven Light Weight in Frequent Closed Itemset Mining to Increase High Utility

  • Siva S;Shilpa Chaudhari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117-129
    • /
    • 2023
  • High-utility itemset mining (HIUM) has emerged as a key data-mining paradigm for object-of-interest identific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s that serve as frequent itemset identification tools, product or service recommendation systems, etc. Recently, it has gained widespread attention owing to its increasing role in business intelligence, top-N recommendation, and other enterprise solutions. Despite the increasing significance and the inability to provide swift and more accurate predictions, most at-hand solutions, including frequent itemset mining, HUIM, and high average- and fast high-utility itemset mining, are limited to coping with real-time enterprise demands. Moreover, complex computations and high memory exhaustion limit their scalability as enterprise solut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to extract high-utility frequent closed itemsets based on an improved cumulative summary list structure (CSLFC-HUIM) to reduce an optimal set of candidate items in the search space. Moreover, it employs the lift score as the minimum threshold, called the cumulative utility threshold, to prune the search space optimal set of itemsets in a nested-list structure that improves computational time, costs, and memory exhaustion. Simulations over different datase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CSLFC-HUIM model outperforms other existing methods, such as closed- and frequent closed-HUIM variants, in terms of execution time and memory consumption, making it suitable for different mined items and allied intelligence of business goals.

공동자원을 둘러싼 마을의 의사결정구조와 공동관리: 제주 행원리 사례를 중심으로 (Decision Making Structure and Commoning in local communities of Jeju island as a commons)

  • 김자경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35-74
    • /
    • 2019
  • 지역 단위의 마을 조직들과 공동자원과의 관계는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한국의 농촌 지역에는 일제 식민지 시기(1910~1945년)와 1960년대 초 군사독재정부 시기에 만들어진 다수의 마을 조직들이 여전히 존재하고있다. 각 마을마다 군사독재정부 시기에 만들어진 개발위원회가 존재하며 그밑으로 노인회, 청년회, 부녀회와 같은 조직들이 마을의 대소사를 결정하는데관여하고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공동자원과 연관된 조직은 아니지만, 마을공동체 소유의 공동자원에 대한 관리와 처분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또한 목장조합, 산림계, 어촌계와 같이 공동자원을 관리하는 조직들도 존재한다. 이 조직의 구성원들은 첫 번째 유형의 조직 구성원들과 일치하는 경우가많고, 식민지 시기와 군사독재정부 시기를 거치면서 위로부터 조직되었다는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공동자원과 연관된 조직들은 위로부터의 조직화 이전부터 지니고 있던 자원관리의 규칙과 규범들을 지니고 있었고, 오랜시간을 거치면서 점차 상대적인 자율성을 획득해 왔다. 지역 단위의 마을 조직들과 공동자원과의 관계는 오랜 기간 동안 개발주의패러다임 속에서 규정되어 왔다. 마을의 개발위원회와 청년회, 노인회 등 마을내 조직들은 농촌의 근대화라는 이념을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마을 목장을비롯한 공동체 소유의 토지를 마을 외부의 자본에게 매각해 왔다. 동시에 이들은 마을공동체 소유의 공동자원 관리를 통해서 마을의 공동자원을 보존하는데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래서 어떤 마을의 경우에는 목장조합이 목장의매각에 주도적으로 나서는 반면, 다른 마을의 경우에는 목장조합이 목장 보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에서 특히 많은 수의 공동자원을 보유하고 있어서 '공동자원의 섬'이라고 불리는 제주도에서 지역의 마을조직들이 공동자원의 이용과 관리에서 보이는 복합적인 활동을 해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외부조건의 변화를 계기로 공동자원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마을공동체 내부의 문화적 조직적 특성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보다 풍부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