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plasm micrometastasi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제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임파절 미세전이와 예후와의 상관관계 (Clinical Significance of Lymph Node Micrometastasis in Patients with Stage 1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필조;노미숙;이재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348-355
    • /
    • 2003
  • 배경: 폐암에서 임파절 전이는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파절에 전이 병소가 없는 제1기 비소세포 폐암의 경우에도 근치적 절제술 후 약 30∼40%의 환자가 종양의 재발이나 원격 전이로 사망하게 된다. 이것은 진단 혹은 수술 당시 이미 국소 임파절이나 다른 장기에 미세전이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저자들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임파절을 면역조직화학 염색하여 임파절 미세전이를 조사하고, 미세전이 여부와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종격동 및 폐문부 임파절 절제술과 함께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원발성 폐암 환자 중, 술 후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로 확진된 41명으로부터 절제된 506개의 임파절을 anti-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미세전이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총 41명 중 14명(34.1%)에서 임파절 미세전이가 발견되었으며, 미세전이 여부는 여러 임상 병리학적 요소들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평균 50개월의 추적 기간에 미세전이 양성군의 재발률은 57.1%로 음성군(37.0%)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22). 또한 미세전이 양성군의 5년 무병생존율은 48.2%로 64.1%인 음성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한계적 유의성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11). 그러나 2개 이상의 임파절에서 미세전이가 발견된 환자들의 5년 무병생존율은 25.0%로서 다른 환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2). 다변량 분석 결과,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 있어서 다발성 임파절 미세전이는 독립적인 재발의 예측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28). 결론: 항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임파절 미세전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제1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임파절 미세전이가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침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하지는 못하였지만 그 경향은 밝혀 낼 수 있었고, 특히 다발성 임파절 미제전이가 재발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예후인자임을 밝혀낼 수 있었다.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Is It a Safe Procedure in Countries with Non-Endemic Gastric Cancer Levels? A Preliminary Experience

  • Neto, Guilherme Pinto Bravo;Santos, Elizabeth Gomes Dos;Victer, Felipe Carvalho;Neves, Marcelo Soares;Pinto, Marcia Ferreira;Carvalho, Carlos Eduardo De Souza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1호
    • /
    • pp.14-20
    • /
    • 2016
  • Purpose: Early diagnosis of gastric cancer is still the exception in Western countries. In the East, as in Japan and Korea, this disease is an endemic disorder. More conservative surgical procedures are frequently performed in early gastric cancer cases in these countries where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is becoming a safe option for some patient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preliminary outcomes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sentinel node navigation surgeries in Brazil, a country with non-endemic gastric cancer level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8 to March 2014, 14 out of 205 gastric cancer patients underwent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ies, which were performed using intraoperative, endoscopic, and peritumoral injection of patent blue dye. Results: Antrectomies with Billroth I gastroduodenostomies were performed in seven patients with distal tumors. The other seven patients underwent wedge resections. Sentinel basin resections were performed in four patients, and lymphadenectomies were extended to stations 7, 8, and 9 in the other 10. Two patients received false-negative results from sentinel node biopsies, and one of those patients had micrometastasis. There was one postoperative death from liver failure in a cirrhotic patient. Another cirrhotic patient died after two years without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lso from liver failure. All other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3 to 79 months with no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s: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appears to be a safe procedure in a country with non-endemic levels of gastric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