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sepsi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6초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신생아 패혈증에서 정맥용 면역 글로불린의 치료 효과 (The Effectiveness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for Clinically Suspected Neonatal Sepsis)

  • 나현정;김지영;이경훈;이준화;최은진;김진경;정혜리;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187-1192
    • /
    • 2005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환자 치료의 질적, 양적 성장과 효과적인 항생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생아 패혈증은 신생아기 사망과 이환의 중요한 원인으로 남아 있다. 신생아 패혈증의 치료는 현재 항생제와 더불어 보존적 치료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면역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삭아를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신생아 패혈증 환아에 있어서 정맥용 면역 글로불린의 치료 효과 및 부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적으로 패혈증이 의심되는 만 2개월 미만의 신생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n=20)은 정맥용 면역 글로불린(IVIG) 1 g/kg을 투여하였고, 대조군(n=20)은 동량의 생리 식염수를 정주 하였다. IVIG 투여 전 혈액배양, 소변배양, 대변배양, 뇌척수액 배양, 급성 염증 반응 물질, CBC, PT/PTT, 혈청 전해질과 혈청 IgG 수치를 검사하였고, IVIG 주입 전후와 주입중의 활력 징후 측정과 신체검사를 실시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IVIG 투여 후 5일째 IVIG 투여 전에 시행되었던 혈액 검사를 재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IVIG 및 생리 식염수 투여 전후의 CBC, IgG, 급성 염증 반응 물질의 변동 사항과 사망률, 입원기간, 항생제 사용 기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IVIG를 투여하는 동안과 투여한 후 주요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한 명에서 일시적인 빈호흡, 빈맥, 저체온이 있었으나 특별한 조치 없이 호전되었다. IVIG와 생리식염수 투여 하루 전날과 투여 후 5일째의 혈액 검사를 비교한 결과 총백혈구수 및 혈소판수, 혈청 전해질, 간효소, BUN/Cr, PT/PTT 투여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색소치의 경우 두 군 모두에서 투여 전에 비해 투여 후 5일째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VIG 투여 전날보다 투여 후 5일째 혈청 IgG는 실험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VIG 투여 전날 혈청 IgG는 각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IVIG 투여 후 5일째의 혈청 IgG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월등하게 증가하였다. CRP는 실험군에서 IVIG 투여 후 5일째 투여 전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항생제의 평균 사용기간은 실험군에서 $10.6{\pm}4.4$일, 대조군에서 $10.3{\pm}3.4$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 입원기간도 실험군에서 $11.0{\pm}3.3$일, 대조군에서 $10.9{\pm}3.4$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도 두 군 모두에서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IVIG 투여로 인한 주요 합병증이 없어서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신생아 패혈증에 사용하기에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 IVIG 투여 후 5일째 혈청 IgG 수치가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고 대조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IVIG의 투여로 인한 높은 혈청 IgG 유지가 패혈증 신생아의 체액성 면역 증강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신생아 패혈증에서 항생제 등 기존의 치료에 부가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치료효과의 상승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의 사용기간, 입원 기간 및 사망률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입증하지 못 하였지만 IVIG 투여로 CRP가 더 빨리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신생아 패혈증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며 향후 대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발생한 패혈증 환자의 분석 (Analysis of neonatal sepsis in on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6 years)

  • 천베드로;공섬김;변신연;박수은;이형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495-502
    • /
    • 2010
  • 목 적: 신생아 패혈증은 1개월 미만의 신생아 특히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중요한 원인이다. 저자는 최근 6년간 단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원인균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혈액에서 균이 배양된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성별, 재태 주수, 출생 시 체중, Apgar 점수, 총 입원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 기저 질환, 혈액검사 소견, 배양된 균 종류, 합병증,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생아중환자실의 재원환자 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도 분석하였다. 결 과: 1) 6년간 패혈증 발생빈도는 4.7%, 1,000명당 46.7명 이었다. 2004년에 가장 높은 패혈증 발생빈도를 보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다 2007년부터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람 양성균패혈증이 그람 음성균보다 많았다. 2) 총 175명의 환자 중 남 녀비는 1.2:1 이었고, 그람음성균군에서 재태 주수와 출생체중이 의미있게 더 작았다. Apgar 점수, 총 입원 기간, 총정맥영양 기간, 중심도관 유무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기저질환이 있었던 경우는 총 129명(73.7%)이었고, 이 중 심혈관 질환이 가장 많았다. 배양된 균들 중 그람양성균은 MRSA가 50명(28.6%)으로 가장 많았고, 그람음성균은 $Serratia$ $marcescens$가 14명(8.0%)으로 가장 많았다. 4) 혈액검사 소견에서 그람음성균군의 혈소판이 의미있게 더 낮았으며($P$<0.05) 다른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합병증은 32명(18.3%)에서 나타났고, 패혈성 쇼크가 16명(50.0%)으로 가장 많았다. 원인균별로 분석했을 때 MRSA 패혈증에서 합병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6) 패혈증으로 사망한 경우는 총 13명(7.4%)으로 그람양성균군의 사망률은 6.5%, 그람음성균군의 사망률은 10.8% 였으며 MRSA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 7) 각 연도별 월별 재원환자일수에 대한 병원감염률을 보면 월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 론: 패혈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발생빈도 및 원인균의 분석, 임상적 특징, 합병증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원인균에 대한 논의는 향후 신생아중환자실의 감염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출생 시 Ureaplasma urealyticum 집락이 조산아의 임상 양상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Ureaplasma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Adverse Outcomes in Premature Infants)

  • 윤진상;장선정;조희승;이규형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47-54
    • /
    • 2009
  • 목적 : Urea plasma urealyticum (U. urealyticum) 집락은 조산아의 주산기 사망, 폐렴, 패혈증 및 기관지폐 형성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출생 시 하부기도의 U. urealyticum 집락 여부가 조산아의 기관지폐 형성이상과 조발형 패혈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2006년 9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인공 환기 치료를 받았던 35주 미만의 미숙아 17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U. urealyticum 은 생후 24시간 이내의 기관흡인액을 중합 효소연쇄반응법으로 검사하였다. 기관지폐 형성이상은 Jobe와 Bancalari에 의한 분류법에 따라 정의하였고,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176례 중 37례에서 U. urealyticum 양성으로 21.0%의 양성률을 보였다. U. urealyticum 양성군에 재태연령($29^{+5}{\pm}2^{+5}$주 vs. $30^{+6}{\pm}2^+{-5}$, P=0.013)과 출생체중 (1.39${\pm}$0.44 kg vs. 1.59${\pm}$0.55 kg, P=0.037)이 U. urealyticum 음성군보다 낮았다. 조발형 패혈증(16.2% vs. 6.5%, P=0.045)과 기관지폐 형성이상(45.9% vs. 29.5%, P=0.04)의 발생빈도는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기관지폐 형성이상의 중증도는 두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태연령 등의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보정한 분석 결과 U. urealyticum 집락 양성과 조발형 패혈증과 기관지폐 형성이상의 발생사이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출생시 하부 기도의 U. urealyticum 집락이 조산아의 패혈증과 기관지폐이형성증의 발생에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음을 시사한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osocomial Seps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규리;김승연;박호진;기모란;윤혜선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84-93
    • /
    • 2010
  • 목 적 : 병원 감염 패혈증에 취약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 위험인자 분석을 통해서 병원 감염 패혈증의 감소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7년 6개월동안 을지의과대학교 대전을지병원과 노원을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중 출생후 72시간 이상 입원치료를 받았던 총 3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 원인균, 위험인자, 결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병원 감염 패혈증의 발생빈도는 16.1% 였고, 평균 발병시기는 21.5$\pm$15.9일이었으며,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21.3%), Klebsiella pneumoniae (14.7%),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9.8%), Enterococcus spp. (9.8%) 순이었다.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는 위험요인으로 재태기간(odds ratio [OR], 0.87; 95% CI, 0.83-0.91), 5일 이상 UAC를 삽입하는 경우(OR, 2.2; 95% CI, 1.15-4.46), 5일 이상 UVC를 삽입하는 경우(OR, 2.1;95% CI, 1.11-4.16), 말초동맥관을 삽입하는 경우 (OR, 2.1; 95% CI, 1.14-4.04), 정맥관 지방유제 투여(OR, 4.3; 95% CI, 1.13-14.32)로 나타났다. 결 론 :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병원 감염 패혈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대관을 통한 카테터 삽입을 비롯한 침습적 시술을 최대한 줄이고, 정맥영양을 통한 영양공급을 최대한 단시간에 마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내 세균에 의한 장관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Tract Colonization by Enterobacteriace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김민지;정유진;홍유라;배일권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72-279
    • /
    • 2011
  • 목적: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한 신생아들의 병원내 감염 중 그람 음성 간균(Gram negative bacilli, GNB)에 의한 패혈증이 증가하고 있다. NICU에서 정기적인 대변의 감시 배양을 통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같은 균에 의한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하고, 집락화된 GNB 병원균의 종류를 확인하며 집락화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8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에게 총 3회의 대변 채집을 계획하였는데, 출생 후 첫 대변과 2주 간격으로 2회 채집을 계획하였다. 장관의 GNB 집락화와 관련된 위험 인자들은 대상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열람하거나 연관된 논문의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결과: 86명의 환아 중 22명(25.6%)이 GNB에 의한 장관 집락화가 있었으나 이 환아들을 퇴원까지 추적하였을 때 GNB로 인한 패혈증은 없었다.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cter cloacae, Citrobacter freundii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GNB 중 약 89% (32/36)는 amikacin에 감수성이 있었다. GNB 에 의한 장관 집락화의 가능성은 집락화 당시 수유량이 적을 때 증가한 반면, 첫 수유 시기가 지연될 때 그 가능성은 감소하였다. 결론: 저자들은 NICU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장관 감시배양을 통해 장관에 집락화된 GNB를 확인하였으나 연구에 포함된 환아에서 GNB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집락화가 패혈증으로 이행되는 지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집락화시 적은 수유량(feeding volume at colonization day)이 집락화의 위험요인이었으므로 장관 영양의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장관의 GNB 집락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신생아기의 유전성대사이상질환의 체계적 접근방법 (Systematic Approach for the Diagnosis of IEM in the Neonatal Period)

  • 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8
    • /
    • 2014
  • Rece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born errors of metabolism have improved substantially the prognosis of many of these diseases, if diagnosed early enough before irreversible damage occurs. This makes it essential that the practicing pediatrician, especially neonatologists be familliar with the clinical presentations and systematic approaches of these disorders. Characteristic clinical presentations, methods of systematic approach and typing of various disorders is discussed in this review. The signs of neurological dysfunctions of many IEMs manifesting in the neonatal period is very nonspecific, such as poor feeding, poor sucking, apnea or tachypnea, vomiting, hypertonia, hypotonia, seizure, letharginess, consciousness change and coma. Many other non-metabolic severe disorders of neonatal period such as neonatal sepsis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share these nonspecific symptoms. Hyperammonemia, metabolic acidosis, ketosis and hyperlatic acidemia are observed in many of these conditions but there are exceptions in which conditions all basal laboratory tests are normal, such as NKH, sulfite oxidase deficiency and peroxisom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asal laboratory tests, IEMs in the neonatal period can be categorized in to 6 types. Grouping of IEMs into 6 types will make confirmatory tests and early emergency treatment more efficient.

신생아 담즙정체의 원인질환 (The etiologies of neonatal cholestasis)

  • 고재성;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835-840
    • /
    • 2007
  • Any infant noted to be jaundiced at 2 weeks of age should be evaluated for cholestasis with measurement of total and direct serum bilirubin. With the insight into the clinical phenotype and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t is now possible to evaluate more precisely the neonate who presents with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Test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specific treatable causes of neonatal cholestasis, specifically sepsis, galactosemia, tyrosinemia, citrin deficiency and endocrine disorders. Biliary atresia must be excluded. Low levels of serum gamma-glutamyl transferase in the presence of cholestasis should suggest 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type 1, 2, or arthrogryposis- renal dysfunction-cholestasis syndrome. If the serum bile acid level is low, a bile acid synthetic defect should be considered. Molecular genetic testing and molecular-based diagnostic strategies are in evolution.

A Case of Midgut Volvulus with Gastric Perforation and Periveintricular Leukomalacia in a Term Infant

  • Park, Seul Gi;Hwang, Jong Hee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21
  • Intestinal malrotation with midgut volvulus (MV) is a life-threatening surgical emergency. Most events of MV occur in the neonatal period with bilious vomiting, abdominal distension, feeding intolerance, and bloody stools. Neonatal gastric perforation (GP) is a rare and life-threatening condition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t occurs either in an idiopathic form or in association with gastrointestinal anomalies such as duodenal atresia and MV. The pathogenesis of both MV and GP is related to ischemic change and inflammatory response. MV and GP can lead to morbidities such as sepsis, intestinal ischemia, and organ failure, but not neurologic problems. We herein report the case of a term infant at 5 days after birth, with MV accompanied by GP, who developed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of Group B Streptococcus Infection in Preterm Births

  • Lee, Yae Heun;Lee, Yoo Jung;Jung, Sun Young;Kim, Suk Young;Son, Dong Woo;Seo, Il Hye
    • Perinatology
    • /
    • 제29권4호
    • /
    • pp.147-15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ternal group B Streptococcus (Streptococcus agalactiae, GBS) infection was associated with preterm births and premature neonatal outcomes. Methods: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were examined among singleto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birth (from $24^{+0}weeks$ to $36^{+6}weeks$) who were tested for GBS (n=203) during the pregnancy.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of women who delivered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5 to February 2017. We compared obstetrical factors (causes of preterm birth) and neonatal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Apgar score 1 min/5 min, hospitalization period,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neonatal C-reactive protein within three days, and other complicatio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eonatal deaths]) outcomes between GBS-infected and non-infected pregnant women. Results: There were 203 singleton pregnant women included in the study, 25 of whom were confirmed to have a GBS infection during the pregna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neonatal outcomes by GBS status.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as an obstetric factor, was associated with GBS infection (P=0.022). GBS infection raised the risk of pPROM by 3.6 times (odds ratio 3.648, 95% confidence interval 1.476-9.016, P=0.005). Conclusion: GBS infection in preterm birth was associated with pPROM but did not result in adverse neonatal outcomes. Continuous attention and evaluation of GBS infection, a major cause of neonatal sepsis and pneumonia,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