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natal oper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3초

인공수정 및 자연수정으로 태어난 쌍생아간 임상 양상 비교 (Comparison of neonatal outcomes between the spontaneous and in vitro fertilization twin pregnancies)

  • 김희문;이정원;신선희;김성구;성태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40-745
    • /
    • 2007
  • 목 적 :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신생아는 쌍태아가 많고, 저체중아나 미숙아로 태어날 가능성이 많고, 사망률이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편 그동안의 인공수정의 기술적 발전과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치료적 발전을 통해 신생아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쌍생아와 자연 분만한 쌍생아의 임상 양상의 비교를 통해 이를 증명하고 인공수정아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7년 동안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신생아실 및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쌍생아를 대상으로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쌍생아를 인공수정군(n=92)으로 자연수정을 통해 태어난 쌍생아를 자연임신군(n=265)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 비교하였다. 산모력으로는 산모의 나이, 산과적 질환유무, 산과적 합볍증 등에 대해 조사하였고, 신생아 분만력으로는 재태 주령, 출생체중, 분만방법,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사망 여부, 기타 합병증 발생 유무, 신체기형 유무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자연수정군에 비해 인공수정군에서 평균 재태 주령(자연임신군 $36.3{\pm}2.4$주 vs 인공수정군 $34.6{\pm}3.5$주)과 출생체중($2,367.0{\pm}517.9g$ vs $2,203.9{\pm}617.2g$)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37주 미만 미숙아의 비율(51.3% vs 68.5%)과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비율(6.4% vs 15.2%)도 유의하게 높았다. 신생아기 예후에 있어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과적 측면으로는 산모의 나이($32.6{\pm}3.3$세 vs $30.3{\pm}3.9$세)와 제왕절개 비율(79.9% vs 95.7%)이 인공수정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궁경부 무력증 빈도(3.6% vs 36.2%) 및 이로 인한 자궁경부 봉축술 빈도(4.3% vs 38.3%)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산과적 합병증 발생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쌍생아는 자연수정으로 태어난 쌍생아에 비해 출생 체중과 재태 주령이 낮았으나, 모체의 산과적 합병증 빈도와 신생아기 예후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인공수정 산모의 경우 철저한 산전 관리와 함께 태어난 신생아를 의료진이 보다 관심을 두고 치료한다면 자연 수정으로 태어난 신생아와 다름없이 건강한 아이로 키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도 폐색증 환자의 수술 치험 22례 와 장기 생존율 (Experience of Biliary Atresia-Long-term Survival)

  • 최경현;유중재;신연명;허방;박재선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35-143
    • /
    • 2007
  • Biliary atresia (BA) is an uncommon neonatal surgical disease that has a fatal outcome if not properly treated. The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with native liver after Kasai's operation in countries outside Japan are not so good. We reviewed the results of 22 cases of biliary atresia treated in Kos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1987 and March 2001. There were 13 males and 9 females aged from 21 to 106 days (mean 52 days). There were 3 cases of Type I (13.6%), and 3 of Type II (13.6%), and 16 Type III (72.7%). The operative methods were resection of the common bile duct remnant and cyst followed by Roux-en-Y hepaticojejunostomy in 3 cases for Type I BA; Kasai I in 15 cases, Kasai II in 1 case, and Ueda's operation in 3 cases for Types II and III BA. There was no death within the first 30 days after operation. We were able to follow 21 of the 22 patients (95.4%) for more than 5 years. The actual 5 year survival rate (YSR) was 40.9%. One Type I case received a living-related liver transplantation at 6 years of age because of the multiple intrahepatic stones and liver cirrhosis. Five YSR after biliostomy group (Kasai II and Ueda op.) was 75 % (3/4) while that of Kasai I was 20% (3/15). One case had no bile duct in the resected fibrotic plaque on microscopic review and died 8 months after Kasai I operation, would have been a strong candidate for early liver transplantation. From the above result, our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early live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cases of no bile duct after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specimen, (2) measures to prevent postoperative cholangitis and prevention of postoperative liver cirrhosis are needed, (3) liver transplantation program should be available for failed cases.

  • PDF

Successful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Meconium-Related Ileus

  • Shin, Jaeho;Jeon, Ga Won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8
  • Purpose: Meconium-related ileus is common in preterm infants. Without proper management, it can cause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perforation requiring emergent op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fficacy and safety of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at bedside for preterm infants with meconium-related ileus. Methods: Between March 2013 and December 2014, this study enrolled preterm infants with birth weight <1,500 g, who were diagnosed with meconium-related ileus requiring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refractory to glycerin or warm saline enemas. Gastrografin was infused until it passed the ileocecal valve with ultrasound guidance at bedside. Results: A total of 13 preterm infants were enrolled.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28.6 weeks (range, 23.9-34.3 weeks) and 893 g (range, 610-1,440 g), respectively. Gastrografin enema was performed around postnatal day 8 (range, day 3-11). The success rate was 84.6% (11 of 13 cases). Three of these 11 infants received a second procedure, which was successful. Among 2 unsuccessful cases, one failed to pass meconium while the other required surgery due to perforation. The time required to pass meconium was $2.8{\pm}1.5hours$ (range, 1-6 hours). The time until radiographic improvement was $2.8{\pm}3.4days$ (range, 1-14 days) after the procedure. Conclusion: Ultrasound-guided Gastrografin enema at bedside as a first-line treatment to relieve meconium-related ileus was effective and safe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e could avoid unnecessary emergent operation in preterm infants who have high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could also avoid transporting small preterm infants to fluoroscopy suite.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수신증의 치료 방침 (Guideline in the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Unilateral Hydronephrosis)

  • 한혜원;전누리;김건석;문대혁;윤종현;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60-66
    • /
    • 2003
  • 목적 : 신생아 수신증은 산전 초음파 시행의 증가와 함께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나 그 자연 경과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산후의 치료, 특히 수술적 중재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미리 정해진 원안에 따라 추적 관찰 중인 환아들의 경과 관찰을 통해 수술 가능성을 시사하는 조기 검사 결과와 술후 신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수신증의 치료 지침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4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산전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발견되어 출생 1개월이내 시행한 신초음파 검사에서 진단이 확인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측성 수신증을 가진 환아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광요관역류를 포함한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환아들은 제외하였다. 128명의 환아의 128 신단위(renal unit)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 중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된 90 신단위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단위는 생후 3일 이후부터 1개월 이내에 시행한 신초음파 검사의 신우 전후경에 따라 6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경과 추적 관찰 및 수술적 중재는 미리 정해진 원안(set protocol)에 따라 시행하였다. $^{99m}Tc-MAG3$과 신장 초음파 검사를 3, 6, 12개월에 시행하였고 신초음파 검사에서 신우 전후경과 Society for Fetal Urology grade를 측정하였다. 결과 : 초기 APPD가 10 mm 미만인 관에서는 수술을 받은 예가 없었으며 대부분 완해 혹은 호전의 경과를 보였다. APPD 25 mm 이상군에서는 대부분 수술을 받았으며, 초기 APPD가 10-19 mm인 군에서는 12개월에 완해부터 수술까지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초기 APPD가 10-19 mm인 군에서 pyeloplasty를 시행받은 환아들의 초기 검사소견을 수술을 받지 않은 환아들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을 받게 된 환아들에서는 초기의 SFU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기능곡선의 모양이 폐색의 형태가 주로 보였다. 술후의 신기능을 추적하였을 때, 신기능이 저하된 군에서는 기능이 회복된 군과 비교하여 술전 신기능이 감소하여 있었고, 수술 당시 연령이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 초기 신초음파 검사에서 신우 전후경이 10 mm 미만인 경우는 대부분 자연 소실되므로 경과 관찰만 하면 되고, 20 mm 이상인 경우는 대부분 수술이 필요하며, 10-19 mm인 환아들에서 SFU 지수가 높거나 MAG3 스캔에서 폐색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을 경우, 신기능의 저하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기 수술이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술 적응증을 상대 신기능 40% 이하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최근 신생아 심장 수술의 특징과 결과 - 단일 병원에서의 82례 고찰 (Clinical features and results of recent neonatal cardiac surgery - A review of 82 cases in one hospital)

  • 오기원;김정옥;조준용;현명철;이상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65-671
    • /
    • 2007
  • 목 적 : 최근 신생아기에 심장 수술을 받은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수술 성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신생아기에 수술을 받은 82명에 대해 이들의 수술 당시 나이 및 체중, 심기형의 종류, 수술 전 상태, 수술 내용 및 결과, 합병증 등을 검토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82명 중 남아는 4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나이는 12일, 평균 몸무게는 3,200 g이었다. 주된 심기형은 완전대혈관전위, 활로씨사징, 심실중격이 온전한 폐동맥판폐쇄, 기능적 단심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수술 방법으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경우가 57례였고, 54례에서 완전 교정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종류로 완전 교정수술로는 동맥전환수술이, 고식 수술로는 변형 B-T 단락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총 사망은 9례(10.9%)였으며 이 중 조기 사망은 6례, 만기 사망은 3례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급성 신기능 부전, 지연 흉골 봉합, 상처감염, 수술 후 부정맥, 뇌실내 또는 뇌내출혈 등이 발생하여 내과적 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결 론 : 최근 6년간 본원에서 신생아기의 선천성 심장병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수술 전 처치, 수술 방법, 체외 순환법 그리고 수술 후 집중 치료의 발달을 통해서 많은 향상을 보였다.

미숙아 동맥관개존증의 효과적 치료 (Optimal Management of Patent Ductus Arterisus in Premature)

  • 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85-590
    • /
    • 1997
  • 미숙아에 있어서 동반되는 동맥관개존증은 향후 환아의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미숙아 에 있어서 동맥관 개존증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례를 관찰 분석하여 그 성적을 살피고 향후 동맥관개 존증의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1994년 12월 부터 1996년 10월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동맥관개존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57 명중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기록지를 관찰하였다. 인도메타진 등의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I 군)는 48명 (남자 29명, 여자 19명) 이었으며, 수술적 교정을 받은 환아(II 군)는 9명(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각군에서의 환아의 평균 재태기간은 각각 29.6$\pm$3.1주, 28.1$\pm$1.6주0>0.05), 평균 출생시 체중은 각각 1,413$\pm$ 580gm, 1,098$\pm$235gm(p.0.05)이였다. 모든 환아에서 일차적으로 인도메타진 치료를 하였으며, 그중 인도메타 진 치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이 막히지 않고 패출혈, BUN의 상승, 소변량 감소 등으로 수술 대상이 되었 (9/57, 16%). 수술은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고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결찰을 시행하였다. 2명의 환아들이 술 후 15일, 47일째 술전 부터 발생한 지속적인 패혈증및 기관지패 鎌紈봐塚막\ulcorner사망하였다. 수술과 직접적으 로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 례는 없었다. 인도메타진으로 내과적 치료만 한 환자 47명중 9명이 합병증(패혈 증, 기관패이형성증, 패내출혈, 신부전 등)으로 인하여 사망하여(19%) 내과적 치료의 실패는 520lo(18fsf였 다.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보았을때 체중이 1500gm미만인 경우가 1500gm이상인 경우보다 그 실패율이 높았다(41% 15/38, 16% 3/19, p<0,05). 상기 결과로 부터 크기가 큰 동맥관 개존증, 체중이 적은 미숙아, 선천성 심기형을 동반한 경우 등 일부 미숙아에 있어서는 수술적 결찰술이 일차적 치료법으로 고려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환아를 수 술장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중환자실에서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었다.

  • PDF

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의 소장천공 (Intestinal Perforation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7권2호
    • /
    • pp.112-117
    • /
    • 2001
  • With the advanc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pediatric surgeons experience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eighing <1,500 g, more frequently. We report our 14 cas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 intestinal perforations without congenital causes, at the Asan Medical Center during the 11-year period from 1989 to 2000. The average birth weight was 919 g(563-1,490), and average gestational age was 206 days(161-286). There were nine males and five females, Operation was performed at an average age of 14.0 days(3-38). Ten neonates with symptomatic PDA were given indomethacin in an attempt to close the ductus. Bowel perforation involved the jejunum in two and ileum in twelve. At laparotomy, there were seven focal intestinal perforations, five typical NEC, one intussusception, and an unknown cause, Four neonates underwent resection and anastomosis of the bowel, and nine underwent exteriorization. One underwent resection and anastomosis after peritoneal drainage. Four patients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wo leakage of anastomosis, one stoma necrosis, and one internal herniation. Seven of fourteen patients survived(50.0 %). Seven patients died of septic compl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in survivors compared with those who died(p<0.05). There was an increased risk of bowel perforation in indomethacin treatment for PDA. Careful clinical observation and keen judgment are essential for this particular group of infants.

  • PDF

미세아의 외과적 문제점들 (Surgical Problems in the Micropremie)

  • 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06
  • Recent advances in neonatal management have resulted in a dramatic increase in survival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These critically ill infants, however, continue to pose significant challenges in management and ethic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outcome of the micropremie (birth weight less than 800 g) that require surgery. The records of 171 micropremies treated over a 15 year period (beginning in 1989) at Asan Medical Center was reviewed retrospectively. Forty-one (24.0 %) infants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s by pediatric surgeons. There were 90 boys and 81 girls. The smallest infant, weighed 396g at birth, had esophageal atresia and died before surgery. The smallest survivor, birth weight 645 g, received anenterostomy for necrotizing enterocolitis at the weight of 590 g. The gestational age of the group rangedfrom 21 to 36 weeks. The most common surgical problem was inguinal hernia. There were 20 inguinal hernias, and repairs were performed on17 infants. Excluding 2 cases, hernia repair was performed at the time of discharge. There was only one recurrence of adirect inguinal hernia. Necrotizing enterocolitis developed in 17 patients, 11 were operated upon, two had peritoneal drainages, and 9 had enterostomies. Five of 11 surgical infants died after operation and three of the nonsurgical infants died of various complications. Although micropremies have potentially high risks of serious complications and death, the outcome can improve with careful surgical observation and judgment.

  • PDF

한 병원에서 경험한 VATER 연관기형 (The Experience of the VATER Association in One Hospital)

  • 남소현;김성철;김인구;김대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75-182
    • /
    • 2006
  • VATER association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3 or more anomalies- vertebra (V), imperforate anus (A), esophageal atresia with or without tracheoesophageal fistula (TE), renal and radial anomaly(R). We reviewed our experiences in one center to determine etiology, prevalence, clinical manifestation, other associated anomaly and prognosis. Two hundred and twenty-three cases that underwent operations for imperforate anus or esophageal atresi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rough medical records at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from June, 1989 to July, 2005. The total number of neonates who had been admitted during period of study were 46,773 and VATER association was 9 (0.019 %, 1.92 persons per 10,000 neonates). Medi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37^{+4}wk$ ($35^{+1}$ - $41^{+4}$) and 2,594 g (1,671-3,660), respectively and median age of mother was 32 years (23-38). There was no family history. Three patients were twins but their counterparts had no anomalies. Patients who have 3 anomalies were 6, 4 anomalies in two and 5 anomalies in one patient. Vertebra anomalies were detected in 7(77.7 %), imperforate anus in 8(88.9 %), esophageal atresia in 5 patients (55.6 %), renal anomaly in 6(66.7 %), and radial anomaly in 5(55.6 %), respectively. Four patients are alive, 2 patients were lost during follow up period. Three patients died due to neonatal sepsis, respiratory dysfunction and cardiac failure. VATER association did not appear to be a definite risk factor, but merely a randomized combination of 5 anomalies. The prognosis was dependent on the other associated anomalies, appropriateness of management and operation. Careful follow-up and aggressive treatmentare required for improving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 PDF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Kim, Ah-Young;Lim, Ryoung-Kyoung;Han, Young-Mi;Park, Kyung-Hee;Byun, Shin-Yu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1호
    • /
    • pp.61-70
    • /
    • 2016
  • Purpose: Parenteral nutrition (PN)-associated cholestasis (PNAC)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PNAC in VBLW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22 VLBWI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our hospital from July 1, 2009 to December 31, 2013. We excluded 72 dead infants; 6 infants were transferred to another hospital, and 57 infants were transferred to our hospital at 2 weeks after birth. The infants were divided into the cholestasis and the non-cholestasis groups. PNAC was defined as a direct bilirubin level of ${\geq}2.0mg/dL$ in infants administered with PN for ${\geq}2weeks$. Results: A total of 187 VLBWI were enrolled in this study; of these, 46 infants developed PNAC.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of PNAC in VLBWI were longer duration of antimicrobial use (odds ratio [OR] 4.49,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4.42-4.58), longer duration of PN (OR 2.68, 95% CI 2.41-3.00), long-term lack of enteral nutrition (OR 2.89, 95% CI 2.43-3.37), occurrenc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OR 2.40, 95% CI 2.16-2.83),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OR 2.19, 95% CI 2.03-2.5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horter PN, aggressive enteral nutrition, and appropriate antimicrobial use are important strategies in preventing PN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