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Affectivit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소비자 혼란이 분노를 통해 구전, 신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on Word of Mouth and Trust Through Anger: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um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 문선정;강보현;이수형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13-141
    • /
    • 2011
  •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기업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구매에 관련된 정보처리절차과정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소비자들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혼란으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적 감정에 초점을 둔다. 소비자 혼란을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요소들이 구전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감정(분노)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 혼란과 부정적 감정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가지의 소비자 특성,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대구에 거주하고 있는 25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은 LISREL 8.7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혼란의 모든 차원은 분노에 양(+)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분노는 구전에 양(+)의 영향을 주는 반면 신뢰에는 음(-)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정적 감정 성향은 과잉혼란, 모호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과잉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고, 조절변수 효과를 통해 부정적 감정에 대한 시각을 넓혔다. 또한 마케터에게는 소비자 혼란의 심각성과 그에 관련된 부정적 감정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병원근무자의 직장애착에 관한 연구 -한 인과모형의 검증을 중심으로-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Testing a Causal Model in Korean Hospitals-)

  • 서영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3-201
    • /
    • 1995
  • A causal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basis of Western literature was tested with a sample of 1,164 employees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The model contains three groups of determinants : environmental variables(job opportunity, spouse support, and parent support), psychological variables(met expectations, work involvement, 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structural variables(job autonomy, work unit control, routinization, supervisor support, coworker support,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workload, resource inadequacy, distributive justice, promotional chances, job security, job hazarda, and pay). The data were colle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the LISREL maximum likelihood method. It is found that (1)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ve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supervisor support, job security, routinization, job opportunity, negative affectivity, work involvement, distributive justice, and promotional opportunity, (2) the model explains fifty-nine percent of the varia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 the link with expectancy theory is justified by the results for met expectations. Two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se findings. First, the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s to be generalizable to Korean hospitals. Second, the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include such theoretical variables a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factors.

  • PDF

자활사업참여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Psychological and Affectivity Well-being of Self-Support Participants)

  • 오혜성;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15-623
    • /
    • 2020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B자활센터에서 2018년 5월~6월까지 자활사업 참여자 3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긍정심리프로그램을 주 1회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프로그램이 긍정정서를 향상 시키고 부정정서는 감소시켜 정서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정신적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집단 간 비교에서 심리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자활사업 참여자에게 심리적, 정서적 안녕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 되었다.

병원근무 간호사의 직장애착도와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 제갈봉순;이성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5-73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Method: The questionnaire-based research was done with 989 hospital nurses between January and March, 2004. Results: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compensation and welfare status of hospital, work involvement, positive affectivity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of size, however, vertical conflict and job opportunity had negative direct effect in order of size.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d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vertical conflict, compensation and welfare status of hospital, positive affectivity, work involvement, job opportunity, job autonomy, work definiteness, division justice, stability of employment, expectations before entering a hospital.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promotion, met expectations promotion, adequate compensation and welfare of hospital, work definiteness and work autonomy, solving conflict, positive affectivity promo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 PDF

병원조직 구성원의 직장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 이상곤;감신;박재용;한창현;김건엽;이원기;차병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1-23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based research was done with 1280 hospital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2 university hospitals and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from November 20, 1997 to December 22, 199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nvironmental variables, psychological variables, structural variables, vertical conflict, horizontal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ath analysis, variables such as pay, work involvement, work definiteness, met expectations, positive affectivity, distributive justice, job security, expectations before entering a hospita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of size, while, vertical conflict, job opportunity, and horizontal conflict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of size, while, vertical conflict, job opportunity, and horizontal conflict had signifecant negative effect in order of size.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 work involvement, pay, vertical conflict, met expectations, distributive justice, positive affectivity, work unit control, job autonomy, and job routiniz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of size, while, job opportunity, job hazards and resource inadequacy had significant negative direct effects in order of size.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ize, had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job security, job opportunity, work involvement, pay, met expectations, distributive justice, positive affectivity, job hazards, and work unit control. In considering abovc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promotion, job security, decrease of intent to leave, work involvement promotion, adequate pay, met expectations, distributive justice, positive affectivity promotion, job hazards decrease, and work unit control grant sh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군병원 간호장교의 조직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 김은희;감신;이경은;한창현;박기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9-12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440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during february, 2001.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By path analysis using LISREL 7.0, variables such as met expectations, work involvement, pay, work definiteness, positive affectivity, family support, peer support, promotion opportunity, expectations before entering a military hospita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of size, however, vertical conflict and horizontal conflic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order of size.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promotion opportunity, positive affectivity, pay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of size, however, job routinization, job opportunity had significant negative direct effect in order of size.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listed m order of size, had significant total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met expectations, positive affectivity, promotion opportunity, pay, vertical conflict, job routinization, family support, work involvement, work definiteness, job opportunity. In considering above findings, the program or plan for job satisfaction promotion, met expectations, fair promotion opportunity, adequate pay, work definiteness, solving conflict, positive affectivity promotion w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 PDF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고령 운전자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lder Driver's Subjective Evaluation for Driving Ability on Mobi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 주미정;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19권2호
    • /
    • pp.67-78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수행, 이동성 및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령 운전자들의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운전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다양한 운전 상황을 도식적으로 제시한 후 각 상황에서의 운전능력을 주관적으로 평정하게 하였고. 객관적 수행은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대한 객관적 수행과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주관적 평가와 이동성 사이의 상관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동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 긍정 정서와는 정적인 반면, 부정 정서와는 부적인 상관이 관찰되었다. 둘째, 고령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주관적 평가가 높을수록 이동성 수준이 높았고, 이러한 높은 이동성은 다시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과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반면,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고령 운전자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객관적 운전수행보다는 운전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더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감정노동자들의 부정적 정서가 정서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상황 요인 검증 (The Effects of the Negative Affectivity of Emotional Laborers on Their Emotional Exhaustion: Situational Characteristics Moder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 한규은;김민영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45-56
    • /
    • 2019
  • 정서조절은 정서와 관련된 개인차 요인이 개인의 정서 생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매개모델에 상황 요인을 추가하여 상황에 따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종에서 고객응대를 주 업무로 하고 있는 180명의 감정노동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감정노동자의 일상적 부정정서, 인지적 재평가, 정서적 소진, 본인이 경험하는 고객 불만의 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건적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객 불만의 강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부정정서가 인지적 재평가를 매개로 하여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고객 불만의 강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해당 간접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높은 강도의 부정정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감정노동자의 정서적 소진이 감소될 수 있지만, 낮은 강도의 부정적서 유발 상황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서적 소진이 증가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 연구에 있어 개인차적인 측면과 상황적 측면이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감정노동자 직군의 정서적 특수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객 무례행동의 부정적 정서를 통한 감정소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stomer incivility on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negative affectivity)

  • 한수진;최민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86-496
    • /
    • 2018
  • 고객무례행동은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으며, 이는 공무원 조직의 민원처리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고객 무례행동의 부정적 효과 및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 파악을 연구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고객 접점에서 발생하는 고객 무례행동을 경험한 직원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게 되며 이는 결국 감정소진을 이끌게 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직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원(조직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이 고객무례행동과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를 완화시켜줄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481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무례행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한다. 둘째, 부정적 정서는 고객무례행동과 감정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한다. 셋째, 고객무례행동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는 사회적 지원 중 조직지원인식만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아의 기질이 상황에 따른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실험, 어린이집, 가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정서조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on Their Emotion Regulation in Different Situations)

  • 김정민;이순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3-204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predicted their emotion regulation in different situa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8 3-and 5-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fiv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a middle-income region of Seoul.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s,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children's temperament contribu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The 3-year-olds' negative affectivity and surgen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mothers' ratings of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 everyday situations. The 5-year-olds' effortful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teachers' ratings of th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 everyday situations. In addition, the 5-year-olds' negative affectivity, effortful control, and surgency predicted the mothers' ratings of thei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temperament are contributors to the development of their emotion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