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bali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First Genetic Data of Nebalia koreana (Malacostraca, Leptostraca) with DNA Barcode Divergence among Nebalia Species

  • Song, Ji-Hun;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5권1호
    • /
    • pp.37-39
    • /
    • 2019
  • We determined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sequences of Nebalia koreana Song, Moreira & Min, 2012 (Leptostraca) collected from five locations in South Korea, and this represents the first genetic data of this species. The maximum intra-species variation was 1.2% within Nebalia hessleri Martin, Vetter & Cash-Clark, 1996, while inter-species variation ranged from 9.0% (N. hessleri and Nebalia gerkenae Haney & Martin, 2000) to 34.8% (N. hessleri and Nebalia pseudotroncosoi Song, Moreira & Min, 2013). This result is well agreed with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Nebalia speci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usefulness of CO1 sequences as a DNA barcode within the genus Nebalia Leach, 1814.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 박흥식;최진우;이형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조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3차례에 걸쳐 통영주변 가두리 밑의 환경 및 저서동물 군집조사를 통해 가두리 운영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 가두리 밑은 주변 해역과 유사한 퇴적상과 용존산소량을 나타낸 반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나타냈다. 종 수의 경우 가두리 밑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지만 서식밀도에서는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가두리 밑의 경우 Capitella capitata 와 Nebalia bipes등이, 대조구의 경우 Lumbrineris longifolia와 Amphioplus sp.가 우점 종을 나타냈다. 특히 가두리 밑에서는 Asterina pectinifera와 Asterias amurensis 등 표서성 초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에서 가두리 밑은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구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가두리 밑과 대조구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냈다. 본 조사결과 가두리 양식은 유기물 증가와 시설물에 의한 유해 패각 가입 등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가두리 밑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