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arest-neighborhood analysi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걸음걸이 인식을 위한 지배 요소 분석 (Analysis on Dominant Factor for Gait Recognition)

  • 박한훈;박종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1-32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ystem that analyzes and recognizes a gait based on shape context on silhouette images. The main functions of the system consist of three steps: First, the system extracts the silhouette images from galt image sequence by performing a simple pre-processing and acquires the AGM(Averaged Gait Map) by averaging them. Next. it computes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AGMs. Finally, it classifies the AGMs based on the cross-correlation using nearest neighborhoo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system uses two cues to classify a gait: One corresponds to biometric shape cue such as body height width. and body-part proportions. The other corresponds to gait cue such as stride length and amount of arm swing. Perceptionally, the biometric cues are sailent on the double support (both legs spread and touching the ground) while the gait cues on the midstance.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s, it is proved that the property of a gait is mainly influenced by gait cues than biometric cues.

  • PDF

Comparisons of Various DEM Interpolation Techniques

  • Kim, Tae-J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63-168
    • /
    • 1998
  • Extract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rom spaceborne imagery is important for cartographic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data. The procedure for such DEM generation can be divided into stereo matching, sensor modelling and DEM interpolation. Among these, DEM interpolation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completeness and accuracy of a DEM and, yet, this technique is often considered "trivial". However, na\ulcornere DEM interpolation may result in a less accurate and sometimes meaningless DEM. This paper reports the performance analysis of various DEM interpolation techniques. Using a manually derived DEM as reference, a number of sample points were created randomly. Different interpol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sample points to generate DEMs. The performance of interpolation was assessed by the accuracy of such DEMs. The results showed that kriging gave the best results at all times whereas nearest neighborhood interpolation provided a fast solution with moderate accuracy when sample points were large enough.

  • PDF

A Spatial Analysis of the Causal Factors Influencing China's Air Pollution

  • Kim, Yoomi;Tanaka, Katsuya;Zhang, Xinxi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1권3호
    • /
    • pp.194-201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affect China's air pollution using city-level panel data and spatial econometric models. We address three air pollutants ($PM_{10}$, $SO_2$, and $NO_2$) present in 30 cities in China between 2004-2012 using global OLS and spatial models. To develop the spatial econometric analysis, we create a spatial weights matrix to define spatial patterns based on two neighborhood criteria - the queen contiguity and k nearest neighb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s are relatively consistent across different spatial weight criteria. The OLS model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green spac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all air pollutants. In the $PM_{10}$ and $SO_2$ analyses, the OLS models find that the number of buses and population density are also positively related to a reduction in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and the presence of secondary industries increase $SO_2$ and $NO_2$ concentrations, respectively. All spatial models captur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f green spaces on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each air pollutant. Our results suggest that green spaces in cities should receive priority consideration in local planning aimed at sustainable development. Furthermore, policymakers need to be able to discern the differences among pollutants when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ies.

템플릿 기반 정합 기법을 이용한 디지털 X-ray 영상의 고속 스티칭 기법 (Rapid Stitching Method of Digital X-ray Images Using Template-based Registration)

  • 조현지;계희원;이정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01-709
    • /
    • 2015
  • Image stitching method is a technique for obtaining an high-resolution image by combining two or more images. In X-ray image for clinical diagnosis, the size of the imaging region taken by one shot is limited due to the field-of-view of the equipment.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high-resolution image including large regions such as a whole body, the synthesis of multiple X-ray images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apid stitching method of digital X-ray images using template-based registration. The proposed algorithm u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k-nearest neighborhood(k-N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input images before performing a template-based matching. After detecting the overlapping position using template-based matching, we synthesize input images by alpha blending.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reduced images are used for PCA and k-NN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was more accurate comparing with the previous metho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egistration speed. Our stitching method could be usefully applied into the stitching of 2D or 3D multiple images.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천수만 간석지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Tidal Flat in the Cheonsu Bay Using Remotely Sensed Data)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1호
    • /
    • pp.51-6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changes of tidal flat in the Cheonsu Bay. Especially, it centers on the changes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using remote sensing data. Multi-temporal Landsat data and topographic map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idal flat of Cheonsu Bay changes in many way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tidal current. In the neighborhood of Ganwoldo, the scale of the tidal flat has continuously been expanded due to the superiority of sedimentation after a tide embankment was built. When we analyzed the grain size of sediments and implemented in-situ field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innermost part of the bay consists of a mud flat, with the midway part mixed flat, and the nearest part to the sea sand flat. On the other hand, in the neighborhood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sedimentation is superior in the eastern part whereas erosion is superior in the western part. In other words, the western coast of the beach is contacted with the open seas and under much influence of ocean wave. The eastern coast is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bay and has sand bar and tidal flat developed due to submarine deposits that are accumulated on the sea floor by the tidal current. In conclusions, remote sensing methods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nges in tidal fla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chemes can be applied to another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such as beach, sand dune, and sand wave.

데이터 크기에 따른 k-NN의 예측력 연구: 삼성전자주가를 사례로 (The Effect of Data Size on the k-NN Predictability: Application to Samsung Electronics Stock Market Prediction)

  • 천세학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239-251
    • /
    • 2019
  • 본 논문은 학습데이터의 크기에 따른 사례기반추론기법이 주가예측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삼성전자 주가를 대상을 학습데이터를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이용한 경우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이용한 경우를 비교하였다. 테스트데이터는 두 경우 모두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이용하였다. 시계 열데이터의 경우 과거데이터가 얼마나 유용한지 살펴보는 측면과 유사사례개수의 중요성을 살펴보는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학습데이터가 많은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예측력이 높았다. MAPE을 기준으로 비교할 때, 학습데이터가 적은 경우, 유사사례 개수와 상관없이 k-NN이 랜덤워크모델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학습데이터가 많은 경우, 일반적으로 k-NN의 예측력이 랜덤워크모델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k-NN을 비롯한 다른 데이터마이닝 방법론들이 주가 예측력 제고를 위해 학습데이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거시경제변수를 고려한 기간유사사례를 찾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시공원의 유형 및 입지적 특성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on the Apartment Price)

  • 이고은;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927-936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유형 및 입지적 특성이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논문으로 부산광역시 전체를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였다. 공원은 환경재로서 주변으로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논문들의 경우 공원 자체만을 대상으로 가치를 평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과 인근 공동주택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그 경제적 가치를 판단하고자 한다. 특히 공원과 공동주택 그 자체의 물리적 객관적 특성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공원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함에 주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공동주택의 층수, 해당 단지의 총 세대수, 건설사 도급순위, 공원지정 경과년수, 부도심 입지여부 등이 주택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공동주택의 면적, 건축연한, 공원 조성계획 수립여부, 공원과 공동주택과의 거리, 도심입지여부, 지역생활권 입지여부 등은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특히 공원별 유형에서 근린공원, 소공원, 체육공원은 공동주택 가격에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어린이 공원의 경우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공원과 공동주택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공동주택의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공원이 주는 다양한 이점을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공원의 가치를 높이고 조성으로 인한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한 방안으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본조사에서 공간 변수(SPATIAL VARIABLE)를 이용한 결측 대체(MISSING IMPUTATION)의 효율성 비교 (Missing Imputation Methods Using the Spatial Variable in Sample Survey)

  • 이진희;김진;이기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1호
    • /
    • pp.57-67
    • /
    • 2006
  • 표본조사에서 무응답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하며, 이 때 응답자들의 정보로만 분석을 실시한다면 편향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어 보조변수를 이 용한 많은 무응답 대체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만일 결측자료 대체를 위한 보조변수들이 충분하지 않고 응답자들과 무응답자들 사이에 지역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면 이를 결측자료 대체(missing data imputation)에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2년 강원지역의 농가경제 자료를 예제로 하여 공간상관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공간상관이 존재할 경우 공간 대체 방법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개미 군락 시스템을 이용한 계층적 클러스터 분석 (Ant Colon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 강문수;최영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5-10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방향그래프에서 개미가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들로 이동하는 새로운 개미 기반계층적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노드페로몬은 로컬영역에서 상대 밀도값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값으로 노드로 들어오는 에지들의 페로몬 양을 합한 것이다. 일정한 횟수만큼 개미들을 이동시킨 후 방향 그래프로부터 소량의 노드페로몬 값을 가진 노드들을 제거하고,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요소들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한다. 반복적으로 낮은 값부터 높은 값까지 제거작업을 하여 계층적 클러스터들을 구축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즘과 기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비교하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서울시지역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의 공간입지분석 (A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the First Shops of Foodservice Franchise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이영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2-543
    • /
    • 2009
  • 외식산업 프랜차이즈는 외상 매출액의 비중이 작고 자금회전이 원활하여 국내에서 창업 선호도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지역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들의 입지분석을 통해 향후의 입지경향을 예측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의 공간분포형태는 최근린지수(R) 0.16으로 집중된 분포패턴을 보인다. 둘째,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은 상관분석 결과 특히 금융기관수, 사업서비스업체수, 숙박 음식점업체수 등의 15개 변수와 상관성이 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입지요인은 설명력 64% 정도의 금융기관수이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에 의거하였을 때 금융기관수가 많은 서울시 강남구와 중구 지역은 향후에도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의 선점 장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