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ver Academic Informa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1~3기의 연구성과 검토 (A Review of the Literature Using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cycle 1-3))

  • 이승호;김진희;최윤형;김성균;이경무;박재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7-244
    • /
    • 2021
  • Objectives: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provides representative biomonitoring data for environmental pollutant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decad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published using this data.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by reviewing each study. Methods: We searched comprehensive electronic databases from PubMed, Google Scholar, and Naver Academic database using the key words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and 'KoNEHS' through March 2021. A total of 57 studi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the relevance of the data. Result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pollutants were heavy metals (10), Cotinine (8), Bisphenol A (7), and Phthalates (6), in that order. In particular, Phthalates, Bisphenol A, and Parabens were often studied together (6). A decline in urinary cotinine and heavy metals in the body was shown over time among studies on exposure associa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Phthalates and Bisphenol A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besity and diabetes from the studies of health impacts. Cross-section study design, spot urine, and insufficient health status information were mostly reported as limitations of the data. Conclusion: Sinc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adults, further investigatio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required.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data structure and provide integrated weights for all ages. In addition, it would allow the measurement of several environmental pollutants by considering subsample design. Lastly, integrated studies with multi-cycles and the health effects from co-exposure to multiple chemicals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knowledge.

한국 영재교육 연구의 현황 및 성과: 2003-2012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Publication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 2003-2012)

  • 이상희;최선일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881-90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을 실질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1,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인 2003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10년간의 영재교육 연구,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육 관련 연구 성과와 경향 및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이버 전문정보 사이트와 한국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82종 1,696편의 학술지 논문, 총 138편의 박사학위 논문, 총 1,470편의 석사학위 논문, 75개 기관 총 798편의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학술지 및 학위 논문과 동향 및 연구보고서를 크게 연구대상, 영재분류,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영재교육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은 주로 초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과학 분야의 영재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주제로, 양적연구의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영재교육 10년간의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의학 표준용어집 서비스와 향후 발전 방향 (A Service of Korean Medical Standard Terminology and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 서진순;김상균;김안나;장현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71-581
    • /
    • 2015
  • 한의학 분야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한의학 용어가 혼재되어 사용되어 왔다. 대한한의학회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의학 용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표준화하여 표준한의학용어집을 발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한의학용어집의 콘텐츠를 바탕으로 표준한의학용어집 온라인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표준한의학용어집 온라인 서비스는 표준 한의학 용어와 해설을 찾아보고 용어의 해설에 대한 의견을 모아서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표준용어와 시맨틱 검색 결과와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결과를 한 화면에서 볼 수 있어 한의학 표준용어를 다양하게 비교하고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로그를 분석하여 검색기능 개선, 홍보 활용, Open API 제공 등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로그를 통해 일관된 방문자와 수요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올해 6월을 기점으로 검색 건수가 점점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표준화된 한의학 용어는 국내 학술연구, 한의 임상은 물론 한의학 국제 표준화에도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빈도와 중심성 분석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국내 연구 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 of Internet of Things based on Keyword Frequency and Centrality Analysis)

  • 이택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3-35
    • /
    • 2020
  • 본 연구는 산업과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많은 영향을 미칠 사물인터넷에 관한 국내 논문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물인터넷 분야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기간은 2015년에서 2019년까지로 하였으며 네이버의 학술정보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에 관한 국내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기간별로 수집된 국내 논문으로부터 빈도가 높은 키워드들을 추출하였으며 빈도가 높은 키워드 중에서 중심적인 키워드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키워드 빈도에서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센서', '보안' 그리고 2017년부터는 '차', '지능'이 빈도가 높은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심성에서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보안', '센서' 그리고 2017년부터는 '지능', '차', '산업혁명'이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 나타났다.

소셜 Q&A 사이트의 질문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고민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Sexual Identity-related Concern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s on a Social Q&A Site)

  • 주영준;남서진;이다정;이용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01-119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Q&A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에서 성 정체성과 관련된 질문들을 분석하여 질문의 중심이 되는 주제를 추출하고 구체적인 고민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식iN에서 2010년부터 9년간 작성된 2,120개의 관련 질문들을 수집한 후, 자연어 처리와 정보 검색 방법을 사용하여 질문들의 주제와 고민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주제는 인간관계, 성 정체성 의심, 성적 지향, 감정 및 관계, 성 정체성 고민 등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주로 1) 일반적인 성 정체성, 2) 성적 지향, 3) 성 정체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4) 감정 고백, 커밍아웃, 동성애, 5) 미래, 이성 관계, 군대에 대한 우려, 6) 성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이유 등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에 대한 실제적 고민들을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정보 요구를 도출하였으며 exact match와 tf-idf 기반의 검색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문헌정보학 분야의 방법론적 확장을 시사했다. 또한 특정 관심사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탐색행태를 관찰함으로써 정보행위분야의 학문적 성숙에도 기여했다.

레시피 관련 웹 사이트 중 한국음식 레시피의 자료 분석 및 검토 (Analysis of Recipes for Korean Foods in Web Sites)

  • 윤미옥;문현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4호
    • /
    • pp.390-400
    • /
    • 2004
  • Food and nutrition sites are the major portion of the health information sites. For the point of public health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on those web sit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identify problems when acquiring recipes in web sites by analyzing and reviewing recipes in web sites. To investigate Korean food recipes provided in web sites, domestic search engines such as Simmani, Naver, Hanmir, and Empas and foreign search engines such as Yahoo Korea, Lycos and Altabista Korea were used. Searchs were done using 'recipe' and 'Joribeob (cooking method)' from March 20, 2002 to June 20, 2002. Informations in each sit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 When classifying 46sites searched with 'Joribeob' by the information provider, 24sites were individual, 16sites were corporate and 6sites were others. When searching 'recipe', total 12,654recipes were returned. Out of them, individual provided 2,581sites(20.4%), corporate provided 7,249sites(57.3%), and others provided 2,824sites(22.3%). 9,979(78.9%) recipes out of 12,654recipes were proved to be appropriate as Korean food. Classifying recipes by dish group, vegetables 11.7%, soups and hot soups 9.7%, stew and casseroles 8.2%, pan cakes 8.0%, stir fried foods and skewers 7.8%, rice 7.2%, hard boiled food 7.1%, steam 6.4%, noodles and mandu 5.3%, Kimchi 4.5%, fried 4.1%, and porridge 3.7% in order. 21.1% of recipes were not appropriate as Korean food but provided as Korean Foo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as the information provider were higher than that of enterprises. Recipes from enterprises were based on food and nutrient information and more reliable. However,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y provided the same amount of ingredients with different calories or provided the same calories with different ingredients. Additionally, depending on sites, they provided different calories even for the same recipe.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 calories provided on the site were too high or too low, for the suggested amount of ingredients and serving size. Recipes those provide amount of calories were evaluated using the nutrient analysis program. Calculated calories and provided calories on the Web were compared together.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two valus. With these results, it may lead misuse of recipe by those who need accuracy in diet such as patients or who are interested in recipe information for academic purpos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improve quantity and quality of recipes in the future. Also,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cipies for Korean foods in the web sites, there should be some systems to monitor and let internet users know monitoring results.

  • PDF

골다공증의 국내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 한의 학술 논문 검색을 중심으로- (The Review on the Study of Osteoporosis in Korean Medicine Journals)

  • 서민수;김현철;추원정;정상윤;김세정;최정욱;최요섭;유영기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7-78
    • /
    • 2013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domestic trend of Osteoporosis studies in Korea. Method : We reviewed oriental medicine papers published in last ten years (2003-2012). Korean literature search was used for domestic Internet search portal. 'Naver specialized information retrieval', 'Korea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orea Medical Information Portal (OASI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s (NDSL)','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as the primary destination of the search were. Since 2003 until 2012, the thesis o'f osteoporosis'and found 92 papers with the search term '(golwi)' to the search terms found in 3 papers Korean medical target of on going research trends in osteoporosis about investigated. Results : 1. We researched 95 papers in 15 journals and patterns of study were as follows : experimental studies were 79(83%), clinical studies were 12(13%), reviewed studies were 3(3%) and etc. were 1(1%). 2. The experimental studies(79) were divided into papers on efficiency testing of herbal medications(67) and herbal acupuncture(12). 3. The clinical studies(12) showed tha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s of follow up surveys for the herbal medication efficiency testing, basic research, case report, the relativity of osteoporosis to age and sex, and the perception about osteoporosis and korean medicine treatment. 4. The reviewed studies showed tha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s of osteoporosis about acient literature and domestic studies about herbal medication of osteoporosis. Conclusion : Reviewing the domestic trend of Osteoporosis studies and examining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ose treatments are essential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view benefits the future in-depth study on the treatments for osteoporosis in Korean medicine.

  • PDF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자의 지각된 정보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이 구전정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견고수와 구전수용의 비교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Efficacy on Online WOM Adoption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tick to Your Own Preference VS. Follow What Others Said)

  • 이정현;박주석;김현모;박재홍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3호
    • /
    • pp.131-154
    • /
    • 2013
  • New interne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revolutionary new platform which allows consumers to make decision about product price and quality quickl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hrough the transcript of online reviews.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ward products or services on virtual opinion platforms, users extend their influence into cyberspace as electronic word-of-mouth (e-WOM).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an impact of eWOM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is influential. For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vestigating this phenomenon of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website is essential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m as sources of purchase decision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pinion seekers are willing to accept and adopt online reviews and which factors encourage adoption. Discerning the most motivating aspects of information adoption in particular, could help electronic marketers better promote their brand and presence on the intern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online WOM influences a persons' purchase decision by discovering which factors encourage information adop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self-efficacy affects 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adoption of online information. Although people are exposed to same review or comment about product or service, some accept the reviews while others do not. We notice that accepting online reviews mainly depends on the person's preference or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is issue by using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pecifically, in the movie industry, we address few questions-is always positive WOM generating positive effect? What if the movie isn't the person's favorite genre? What if the person who is very self-assertive so doesn't take other's opinion easily? In these cases of cognitive dissonance, is always WOM generating same result?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one direct of WOM which indicates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ve reviews or comments generate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and more (or less) profits,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directional properties of WOM but also how people change their opinion towards product or service positive to negative, negative to positive through the online WO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by using a sample of 168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in the online movie review site, 'Naver Movie'. Us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reviews and comments taken from the real movie page. The data reflected user's perceptions of online WOM information that determined users' adoption level. Analysis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oposed theoretical perspective. When user can't agree with the opin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online WOM information and users' preference occurs,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decreases custom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this perception of useful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users' intention to adopt online WOM information.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tself such as quality or vividness of information, credibility of source and direction of online WOM, etc. for describing effect of online WOM,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users' personal character (e.g., self-efficacy) plays decisive role for acceptance of online WOM information. Higher self-efficacy means lower possibility to accept th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counter opinion because of cognitive dissonance, whereas the people that have lower self-efficacy are willing to accept the online WOM information as true and refer to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understanding role of direct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Also, our result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supervision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by confirming switching opinion negative to positive is more difficult than positive to negative through the online WOM information. This implication would help marketers to manage online reviews of their products or services.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 연구 국내외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nline Newspaper Archive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93-139
    • /
    • 2016
  • 신문의 역할은 정부의 비판과 감시다. 공공의 문제에 해설과 논평을 하는가 하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고 전달한다. 메타데이터가 확실한 사진 기록물을 담고 있으며, 지역신문의 경우 로컬리티 확보의 중요한 도구다. 신문에 실린 광고와 신문의 편집 역시도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런 신문의 기록학적 가치 때문에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도 신문은 늘 우선적으로 수집이 고려되는 기록물이다. 신문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신문 아카이브는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된다. 신문의 교육적 활용인 NIE에도 이용되지만 신문 아카이브는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디어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MAM의 핵심에 아카이브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신문 제작뿐만 아니라 신문사 경영 등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역할을 온라인 아카이브가 하게 될 거라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미 1991년 기사통합 DB인 KINDS가 서비스를 시작했고, 네이버에서는 뉴스 라이브러리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KINDS의 경우 초기에는 뜨거운 반응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용률이 저조한 상태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신문사가 빠져 있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도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예산이 투입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나, 지방지에 대한 접근성 등은 큰 장점이다. 고신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지속적으로 디지타이징을 하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의 경우도 아카이브라고 하기 민망한 수준이자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의회도서관에서 국립인문기금과 함께 역사적 신문을 디지타이징 하는 'CHRONICLING AMERIC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각 주의 대학과 역사협회, 공공 도서관에 기금을 줘 매년 10만 페이지의 지역신문을 디지타이징하고 있다. 영국 역시도 국립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는데, 미국과 달리 유료로 운영된다. 이곳 역시도 합동정보시스템위원회의 공공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지금도 구축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은 아카이브 솔루션을 구매해 온라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ProQuest Archiver, Gale Cengage-NewsVault가 대표적인 아카이브 플랫폼으로 신문 자체가 표준화되고 규격화되어 있는 만큼 이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국내의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과감한 투자 등이 요구된다.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Big-data investment on the Market value of Firm)

  • 권영진;정우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99-122
    • /
    • 2019
  •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사(社)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는 2016년에 생성된 데이터의 10배에 달하는 163제타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고 그 주체의 비중은 소비자에서 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소위 '빅데이터의 물결'은 도래하고 있고 그 파장은 산업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관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하다. 하지만, IT 투자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당 투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면 기업의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 시장 가설을 이론적 바탕으로 둔 사건연구방법론(Event Study Methodology)을 적용하여, 기업의 빅데이터 투자가 시장 투자자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보다 심층적으로 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5가지 하위 변수를 설정했고 그 내용은 기업 크기 구분, 산업 구분(Finance와 ICT), 투자 구축 완료 구분, 벤더 유무 구분이다. 분석 결과, 91개 기업은 빅데이터 투자 공시 이후 시장 가치가 평균 0.92% 상승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Finance 기업, non-ICT 기업, 시가 총액이 작은 기업, 빅데이터 전문 벤더 기업을 통해 투자한 기업, 그리고 빅데이터 시스템이 구축 완료됐다는 공시에 해당하는 기업의 시장 가치가 두드러지게 상승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투자 효과를 측정한 선행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지니고, 빅데이터 투자를 고려 중인 기업 의사 결정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