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tand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7초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 평가 (Assessment of Stand Diversity Change by Different Silvicultural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Mt. Gariwang)

  • 성주한;이영근;박고은;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13-621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작업방법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여 산림생태계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작업방법별로 $30m{\times}30m$(0.09 ha) 크기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임분다양성 지수인 집락도, 흉고직경 변이지수, 수고 변이지수, 그리고 혼효지수와 관련된 2개씩의 지수, 총 8가지 지수를 추정한 후, 3가지 작업방법에 대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업 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임분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업방법에 관계없이 시업을 통해 임분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업 전과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지수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 각 작업방법별 임분의 공간 구조는 시업을 통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작업방법별 시업전후 임분구조 변화 (Changes in Stand Structures Before and After Silvicultural Treatment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of Pyungchang Area)

  • 김용진;성주한;양희문;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97-304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작업방법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구조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산림생태계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30m{\times}30m$(0.09 ha) 크기의 고정표본점을 각 작업방법별로 3반복으로 설치하고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집락도, 흉고직경 변이지수, 수고 변이지수, 그리고 혼효지수의 4가지 임분구조 지수를 추정한 후, 3가지 작업방법에 대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구조 변화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작업방법별 그리고 시업 전후의 임분구조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임분구조 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업방법에 관계없이 시업을 통해 임분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구조 지수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 각 작업방법별 임분의 공간 구조는 시업을 통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작업방법별 목표 임분형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시업이 필요하다.

중국(中國) 동북부(東北部) 지방(地方) 활엽수(闊葉樹)-잣나무 천연림(天然林)의 생장(生長) 모델과 수확(收穫) 모델 개발(開發) (The Development of Growth and Yield Models for the Natural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s in Northeast China)

  • 이봉일;최정기;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50-662
    • /
    • 2001
  • 이 연구는 중국 동북부 활엽수-잣나무 천연림의 다섯 가지 임형에 대하여 임분의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43년생부터 364년생 범위에 이르는 임분에서 0.06ha에서 1.0ha 크기의 359개 임시 표본구와 58I개의 영구 표본구에서 수집되었다. 입지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위급지수(Site Class Index; SCI)플 도입하였고, 천연혼효림의 임분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관경쟁지수(Crown Competition Factor; CCF)를 채택하였다. SCI 공식과 수고-직경 곡선 모델은 Chapman-Richards 함수를 이용하였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및 임분재적 모델의 개발은 Schumacher의 생장함수를 기본 모델로 선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 모델에서 Schumacher 함수의 점근매개변수 A는 입지조건(SCI)과 임분밀도(CCF)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율매개변델수 k는 임분밀도와 관계가 있었고 입지조건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로써 예측된 임분 제원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별개의 임분 자료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예측치의 상대평균오차(RME)는 ${\pm}5%$ 미만으로 산출되었고 임분 변수들의 정확도는 모두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임분구조 조정에 의한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이단림 조성 방안 (Method of Establishing Two-Storied Forest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by Stand Structure Adjustment in Pyeongchang Area)

  • 성주한;이영근;박고은;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27-433
    • /
    • 2015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지역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임분구조 조정에 의한 이단림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단림 시범지를 선정한 후 $30m{\times}30m$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임분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이단림 시범지의 시업전 임분통계량과 임분구조를 추정하고, 이단작업의 특성에 맞는 시업방안에 따라 시업후의 임분통계량과 임분구조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예측하였다. 시업전의 임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목표임분형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임분구조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예측한 시업후의 임분 현황을 보면 시업후에도 목표임분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업후 상층목의 임목본수는 ha당 170본으로 이단림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하층의 임목본수는 이단림의 기준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교목치수의 진계를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수하식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업후의 임분 현황을 고려하면 이단림 상층목의 목표 임목축적은 ha당 $150m^3$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달성하려면 20년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단림 조성을 위해서는 앞으로 5년 간격의 임분조사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임분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이단림 유도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Cutting Frequency Effects on For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Fertilized with Dairy Slurry

  • Min, D.H.;Vough, L.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30-635
    • /
    • 2000
  • Previous research has not evaluated the effects of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manure application and frequencies of cutting on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cool-season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cutting management systems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and an alfalfa (Medicago sativa L.)-orchardgrass mixture from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dairy slurry applicatio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ub-sub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 consisted of 2 cutting management systems (4 and 5 annual cuttings). The subplots were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plit-split-plots were the two forage species: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mixture. The study was initiated after 1st cutting in 1995. Cumulative yields of the 2nd and subsequent cuttings of both orcha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in 1995 were higher for the 5-cutting system than the 4-cutting system. The 1995 growing season was abnormally dry. In 1996, an abnormally wet year, the reverse was true, total herbage yields being higher for the 4-cutting system than the 5-cutting system. Species response to fertility rate/frequency treatments was different in both years. Higher application rates early in the season and carryover of nutrients from late season applications the previous year appear to be responsible for the yield increases of those fertility treatments having significant yield differences between the cutting management systems. The stand ratings of orchardgrass were not affected by cutting management. In the spring of 1997, however, the stand ratings of alfalfa-orchardgrass in the 4-cutting management system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5-cutting management system. The very high manure application r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stand ratings of alfalfa-orchardgrass in the 5-cutting system.

백두산 동북부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생산성 및 수직 배분 (Biomass Productivity and its Vertical Allocation of Natural Pinus densiflora Forests by Stand Density)

  • 김영환;;이돈구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92-99
    • /
    • 1999
  • 임분밀도에 따른 소나무림의 biomass생산량, 밀도변화에 따른 임목의 부위별 biomass배분특성 및 교목, 관목, 초본 등 수직층위별 biomass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중국 백두산 동북부 지역 소나무 천연림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분의 밀도를 5등급으로 나누어 각각 교목층, 관목층, 초본층별로 biomass량을 추정하였다. 교목층에서 부위별로 교목층 소나무 biomass량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줄기,수피 및 지상부 전체 biomass량의 경우, logW=a+blog(D2H)+c(D2H)식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고 가지, 침엽의 biomass량 및 엽면적의 경우, logW=a+blogD+cDtlr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교목층의 biomass량은 증가하였고 관목과 초본층의 biomass량은 감소하는 추이를 나타내었다. 소나무 천연림내 교목층 임목의 부위별 순생산량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침엽이 지상부 전체 biomass 순생산량 중 차지하는 비율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침엽의 교목층 지상부 biomass량에 대한 생산성은 증가하였다. 밀도가 다른 소나무천연림에서 부위별 순생산량은 모두 줄기>침엽>가지>수피 순이었다.

  • PDF

Comparison of Mass and Nutrient Dynamics of Coarse Woody Debris between Quercus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in Yangpyeong

  • Kim, RaeHyun;Son, Yowhan;Hwang, J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115-120
    • /
    • 2004
  • Coarse woody debris (CWD, $\ge$ 5 cm in maximum diameter) is an important functional component, especially to nutrient cycling in forest ecosystems. To compare mass and nutrient dynamics of CWD in natural oak forests, a two-year study was conducted at Quercus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in Yangpyeong, Kyonggi Province. Total CWD (snag, stump, log and large branch) and annual decomposition mass (Mg/ha) were 1.9 and 0.4 for the Q. serrata stand and 7.5 and 0.5 for the Q. variabilis stand, respectively. Snags covered 72% of total CWD mass for the Q. variabilis stand and 42% for the Q. serrata stand. Most of CWD was classified into decay class 1 for both stands. CWD N and P concentrations for the Q. variabilis stand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decay class and sampling time, except for P concentration in 200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WD N concentration for the Q. serrata stand along decay class and sampling time. However, CWD P concentration decreased along sampling time. CWD N and P contents (kg/ha) ranged from 3.5∼4.7 and 0.8∼1.3 for the Q. serrata stand to 22.8∼23.6 and 3.7∼4.7 for the Q. variabilis stand. Nitrogen and P inputs (kg/ha/yr) into mineral soil through the CWD decomposition were 0.7 and 0.3 for the Q. serrata stand and 1.6 and 0.3 for the Q. variabilis stand, respectively. The number of CWD and decay rate wer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difference in CWD mass and nutrient dynamics between both stands.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유연한 운영을 위한 스크립트 기반 EMS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cript-based EMS for Flexible Management of Stand-alone Microgrid)

  • 김준형;정성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231-1240
    • /
    • 2015
  • Nowadays, in islands where electricity should be provided autonomously, stand-alone microgrid technologies using renewable energy such as sunlight generation and wind power generation come into wide use. The microgrid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renewable energy is greatly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of a site. In order to maintain stable electricity supply for fluctuating electricity generation due to natural environment, the energy management via EMS is positively necessary. In existing stand-alone microgrid EMS, system operation logic is not changeable flexibly because compiled or builded codes are released into the EMS of a site,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designed a flexible operating script-based microgrid EMS Framework for various sites and applied it to some island sites. We could confirm its usability.

내설악 전(젓)나무 고목림 구조 기초 조사 (A Basic Survey about Stand Structure of Old Korean Fir(Abies holophylla) Stands in Mt. Sorak)

  • 정의경;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41-145
    • /
    • 2005
  • 본 연구는 전나무림 생태계 이해를 위하여 전나무 임분구조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조사의 일부이다. Leibundgut(1981)의 임분구조 분류에 따르면 A,B임분은 쇠퇴기로 추정되며 C는 갱신기, D는 안정기와 쇠퇴기 복합형, E는 불안정한 시기인 택벌상으로 추정된다.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 조사를 통한 고전천이론과 임분동태학에 관한 고찰 - Patch Dynamic과 임분 구조를 중점으로 - (Classic Successional Theory and Stand Dynamics Studies on Fir Stand of Natural Forests in Naesorak Mt. - Focused on Patch Dynamics and Structure -)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58-167
    • /
    • 2007
  • 내설악 전나무림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산림 생태계 이해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조사는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수행된 것으로 일종의 중간보고서로 작성하였다. 임분의 수직구조 위주로 조사하였으며 비록 내설악 전나무림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나 고전 천이론 보다는 Stand dynamic이 산림생태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