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hormone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초

Immune Cells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 Lee, Sung Ki;Kim, Chul Jung;Kim, Dong-Jae;Kang, Jee-Hyun
    • IMMUNE NETWORK
    • /
    • 제15권1호
    • /
    • pp.16-26
    • /
    • 2015
  •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has two main functions: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challenge and maintenance of pregnancy to term. The upper reproductive tract comprises the fallopian tubes and the uterus, including the endocervix, and the lower tract consists of the ectocervix and the vagina. Immune cells residing in the reproductive tract play contradictory roles: they maintain immunity against vaginal pathogens in the lower tract and establish immune tolerance for sperm and an embryo/fetus in the upper tract. The immune system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x steroid hormones, although leukocytes in the reproductive tract lack receptors for estrogen and progesterone. The leukocytes in the reproductive tract are distributed in either an aggregated or a dispersed form in the epithelial layer, lamina propria, and stroma. Even though immune cells are differentially distributed in each organ of the reproductive tract, the predominant immune cells are T cells, macrophages/dendritic cells, natural killer (NK) cells, neutrophils, and mast cells. B cells are rare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NK cells in the endometrium significantly expand in the late secretory phase and further increase their number during early pregnancy. It is evident that NK cells and regulatory T (Treg) cells are extremely important in decidual angiogenesis, trophoblast migration, and immune tolerance during pregnancy. Dysregulation of endometrial/decidual immune cells is strongly related to infertility, miscarriage, and other obstetric complications. Understanding the immune system of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women's health and to success in pregnancy.

Structural Features of β2 Adrenergic Receptor: Crystal Structures and Beyond

  • Bang, Injin;Choi, Hee-J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2호
    • /
    • pp.105-111
    • /
    • 2015
  • The beta2-adrenergic receptor (${\beta}2AR$) belongs to the G 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family, which is the largest family of cell surface receptors in humans. Extra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human GPCRs because they have been studied as important protein targets for pharmaceutical drug development. In fact, approximately 40% of marketed drugs directly work on GPCRs. GPCRs respond to various extracellular stimuli, such as sensory signals, neurotransmitters, chemokines, and hormones, to induce structural changes at the cytoplasmic surface, activating downstream signaling pathways, primarily through interactions with heterotrimeric G proteins or through G-protein independent pathways, such as arrestin. Most GPCRs, except for rhodhopsin, which contains covalently linked 11 cis-retinal, bind to diffusible ligands, having various conformational states between inactive and active structures. The first human GPCR structure was determined using an inverse agonist bound ${\beta}2AR$ in 2007 and since then, more than 20 distinct GPCR structures have been solved. However, most GPCR structures were solved as inactive forms, and an agonist bound fully active structure is still hard to obtain. In a structural point of view, ${\beta}2AR$ is relatively well studied since its fully active structure as a complex with G protein as well as several inactive structures are available. The structural comparison of inactive and active states gives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activation mechanism of ${\beta}2AR$. In this review, structural features of inactive and active states of ${\beta}2AR$, the interaction of ${\beta}2AR$ with heterotrimeric G protein, and the comparison with ${\beta}1AR$ will be discussed.

Antagonistic Regulation of Arabidopsis Growth by Brassinosteroids and Abiotic Stresses

  • Chung, Yuhee;Kwon, Soon Il;Choe, Sunghwa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11호
    • /
    • pp.795-803
    • /
    • 2014
  • To withstand ever-changing environmental stresses, plants are equipped with phytohormone-mediated stress resistance mechanisms. Salt stress triggers abscisic acid (ABA) signaling, which enhances stress tolerance at the expense of growth. ABA is thought to inhibit the action of growth-promoting hormones, including brassinosteroids (BRs). However, the regulatory mechanisms that coordinate ABA and BR activity remain to be discovered. We noticed that ABA-treated seedlings exhibited small, round leaves and short roots, a phenotype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BR signaling mutant, brassinosteroid insensitive1-9 (bri1-9). To identify genes that are antagonistically regulated by ABA and BRs, we examined published Arabidopsis microarray data sets. Of the list of genes identified, those upregulated by ABA but downregulated by BRs were enriched with a BRRE motif in their promoter sequences. After validating the microarray data using quantitative RT-PCR, we focused on RD26, which is induced by salt stress. Histochemical analysis of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expressing RD26pro:GUS revealed that the induction of GUS expression after NaCl treatment was suppressed by co-treatment with BRs, but enhanced by co-treatment with propiconazole, a BR biosynthetic inhibitor. Similarly, treatment with bikinin, an inhibitor of BIN2 kinase, not only inhibited RD26 expression, but also reduced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 following exposure to salt stress. Our results suggest that ABA and BRs act antagonistically on their target genes at or after the BIN2 step in BR signaling pathways, and suggest a mechanism by which plants fine-tune their growth, particularly when stress responses and growth compete for resources.

미성숙 돼지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 (Follicular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Steroid Concentrations in the Immature Gilt Ovary)

  • 이창주;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3호
    • /
    • pp.199-206
    • /
    • 2005
  • 연구목적: 난포가 폐쇄되는 동안의 생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성숙 돼지의 정상 및 폐쇄 난포 내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도 변화 및 동일 난포액 내 스테로이드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난포액 (FF), 과립세포 (GC), 협막세포 (TC) 내 LDH의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난포액 내 progesterone ($P_4$), testosterone (T), estradiol ($E_2$)의 농도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결 과: 정상 및 폐쇄 난포에서 $P_4$의 농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쇄 난포액 내 T의 농도($3.85{\pm}1.50ng/ml$)는 정상 난포 ($1.29{\pm}0.54ng/ml$)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난포 내 $E_2$의 농도 ($43.29{\pm}19.51ng/ml$) 는 폐쇄 난포 ($18.82{\pm}7.27ng/ml$)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 난포액 내 $P_4$의 농도는 난포의 크기에 정의 상관관계 (r=0.75)를 보였다. 정상 난포 내 T:$P_4$의 비율 ($8.14{\pm}3.35$)은 폐쇄 난포 ($1.39{\pm}0.60$)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정상 TC ($433.63{\pm}102.40{\mu}U/{\mu}g$ DNA) 및 FF ($246.86{\pm}58.96{\mu}U/{\mu}l$) 내 LDH 활성도는 폐쇄 난포 (각각 $83.7{\pm}10.5$$38.71{\pm}9.00$)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정상 난포의 GC 및 FF 내 LDH 활성도는 $E_2$의 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폐쇄 난포의 TC 내 LDH 활성도는 $P_4$, T, $E_2$의 농도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실험의 결과, 미성숙 돼지 난포의 폐쇄는 TC 내 LDH 활성도 감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Immersion in sea cucumber's steroid extract to increase male production of juvenile freshwater crayfish

  • Gregorius Nugroho Susanto;Endang Linirin Widiastuti;Tri Rustanti;Sutopo Had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48-57
    • /
    • 2023
  •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production for aquaculture is through the cultivation of monosexuals by ensuring genital reversal from which energy for reproduction is diverted towards growth. Masculinization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techniques, where sex development was directed from female to male. This approach only altered the phenotype and not the genotype. The red 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was a relatively new commercial commodity, and the males were known to grow faster than females. Hence, it was proposed to use monocultures comprising an all-male population to increase yield using steroid hormone, synthetic 17α-methyltestosterone. However, this technique generated residues that detrimentally affect human health, the environment, and cultivated organisms. Therefore, finding new safe natural steroid sources was essential, and one of which is exploring of natural hormones extracted from the viscera of sea cucumbers (Holothuria scabra Jaeg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male formation and testosterone levels among juvenile crayfish, after immersing in sea cucumber steroid extract (SCSE). A completely random design with factorial was used with two variables, encompassing the varied doses (0, 2, 4 mg/L, 2 mg/L 17α-methyl testosterone as control group) and immersion times of 18 and 30 h. The result showed the dose-dependent ability of SCSE increase the male genital formation and promote the testosterone level of juvenile crayfish. In addition, the testosterone was influenced by dose and immersion duration time, with the highest level of testosterone observed in treatments of 4 mg/L SCSE with 30 h immersion was 0.248 ng/mL, while the male percentage was 77%.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dose and immersion time significantly affected growth and testosterone levels.

광주기와 수온이 양식산 수컷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성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on Male Sex Steroid Levels in Cultured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 김효원;김정현;박진우;백혜자;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4-320
    • /
    • 2021
  • 본 연구는 환경요인이 성숙기 발달단계의 양식산 수컷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성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광주기와 수온에 따른 GSI, 정소 발달 및 혈중 성호르몬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1 : 광주기를 자연광주기(Natural Photoperiod, NP, 10L:14D~11L:13D), 장일주기(Long Photoperiod, LP, 14L:10D), 단일주기(Short Photoperiod, SP, 10L:14D)로 설정하였고, 수온은 17℃로 설정하여 90일간 실험하였다. 그 결과, GSI는 실험 30일째와 60일째, 혈중 11-KT 농도는 실험 30일째에 LP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험 2 : 수온을 자연수온(Natural temperature, NT, 19.1~15.0℃), 17℃, 21℃, 25℃로 설정하였고, 광주기는 14L:10D로 설정하여 60일간 실험하였다. 그 결과, GSI는 실험 30일째와 60일째, 혈중 11-KT 농도는 실험 60일째에 25℃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컷 참조기는 단일주기(10L:14D)보다 장일주기(14L: 10D)에서 성성숙이 촉진되고, 25℃ 이상의 수온에서는 성성숙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참조기 번식생리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착유 시간 및 유처리 공정이 우유 내 멜라토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lking Time and Dairy Processes on Melatonin Contents in Milk)

  • 강신호;백승천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4
    • /
    • 2008
  • 본 연구는 숙면 유도 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의 원유 및 유제품 내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착유 시간에 따른 멜라토닌 함량은 새벽 4시에 착유한 원유 샘플의 멜라토닌 함량이 평균 $6.90{\pm}3.55pg/mL$로 나타났으며, 저녁 7시 및 낮 12시 착유 원유 샘플은 각각 $2.01{\pm}1.47pg/mL$$0.16{\pm}0.04pg/mL$로 나타나 새벽 착유 원유 내 멜라토닌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로봇 착유기를 사용하는 농가에서도 심야 및 새벽 착유 원유에서 멜라토닌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2개 목장 모두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일반 우유 제품과 나이트 밀크 제품 간 멜라토닌 함량비교 시, 나이트 밀크의 멜라토닌 함량이 약 5배 정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일반 우유를 대상으로 원유, 균질 및 살균 등의 공정이 멜라토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수준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 PDF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우려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 이정윤;김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99-1007
    • /
    • 2009
  • 본 연구는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식품위해요소별 우려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구축 및 식품안전성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과 경기지역 거주 만 20세 이상 주부 27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주요 구입식품은 채소류 및 과실류가 29.2%로 가장 높았고, 육류(17.9%), 곡류 및 서류(13.1%), 생선 및 해산물(12.2%) 등이 순서대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식품안전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식품은 육류가 17.2%로 가장 높았고 수입식품(15.4%), 햄 및 소시지 등(14.7%), 냉동식품 및 통조림(14.5%), 패스트푸드(14.3%) 등이 순서대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더 안전'(3.92), '식품안전이 늘 불안'(3.37), '유기농식품은 안전'(3.26), '원산지표시 식품은 어느정도 안전'(3.25) 등의 항목순으로 높았다. 반면에 '정부가 수입농축산물 안전에 대한 정보를 잘 알려줌'(2.04) 항목과 '선진국에서 수입된 식품은 안전'(2.16)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동의를 보였다. 식품위해요소별 인지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는데, 환경호르몬(3.57), 자연독(3.51), 광우병(3.48), 조류독감(3.43), 식중독 미생물(3.21) 및 원산지(3.21) 등의 순서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식품위해요소별 우려도는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는데, 특히 광우병(4.43), 중금속(4.05), 환경호르몬(4.02), 식중독미생물(3.96), 조류독감(3.87), 잔류농약(3.86), 식품첨가물(3.84), 항생물질(3.82) 등의 순으로 우려하고 있었다.

옥수수(Zea mays) 원뿌리의 통기조직 발달에 미치는 에틸렌 전구체, 옥신, 메틸자스몬산의 효과 (Effects of Ethylene Precursor, Auxin and Methyl Jasmonate on the Aerenchyma Formation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호종윤;맹소현;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5
  • 옥수수(Zea mays) 원뿌리에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indole-3-acetic acid (IAA) 그리고 methyl jasmonate (MeJA)가 통기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호르몬 처리는 원뿌리의 종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control과 호르몬 처리된 뿌리의 비교 가능한 위치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원뿌리의 정단을 PR0, 기부를 PR100이라 정의하고 이 두 지점 사이를 길이에 비례하여 PR25, PR50, PR75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뿌리의 PR25와 PR50 부분에서는 통기조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PR75 부분에서는 드물게 통기조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R75 부위의 통기조직 면적은 ACC 또는 IAA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반면, MeJA는 옥수수 원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와 침수되었을 때 서로 다른 차등 효과를 나타내었다. 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 MeJA는 통기조직의 발달을 억제하였다. 반면, 뿌리를 침수 시키면 통기조직의 면적이 증가하는데 그 면적은 MeJA에 의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곁뿌리 원기는 그 주변 피층세포의 통기조직 발달에 수반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곁뿌리 원기에 의해 억제되는 통기조직의 발달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통기조직의 발달을 촉진하는 세 가지 호르몬들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발달하는 곁뿌리 원기가 억제하는 통기조직 발달 조절의 세부 단계는 식물호르몬들이 작용한 이후 단계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 과립막세포의 배양 상층액이 생쥐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vine Granulosa Cell Culture Supernatant on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 이상범;문신홍;김선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64-1768
    • /
    • 2009
  • 본 연구는 소의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생쥐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의 성숙난포(직경 6~15 mm)와 미성숙 난포(직경 2~5 mm)로부터 과립막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15% FCS가 첨가된 Ham's F-10 배양약에서 16일간 배양하였다. 과립막세포들은 쉽게 단층배엽을 형성 하였으며, 배양과정 중 비슷한 성장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숙 과립막세포와 미성숙 과립막세포 간에 형태적인 차이가 없었다. 과립막세포 배양 중 progesterone과 estradiol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progesterone은 배양후기에, estradiol은 배양초기에 분비량이 높았다. 성숙 과립막세포와 미성숙 과립막세포에서 내분비 양상은 비슷하였다. 생쥐배가 상실배, 배반포 및 부화배반포 단계로 체외발달된 비율은 Ham'F-10배양액(86.7%, 41.7%, 13.3%)에 비하여 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92.7%, 78.1%, 34.5%)과 미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96.4%, 78.5%, 26.8%)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배의 발달에 대하여 성숙 과립막세포배양상층액과 미성숙 과립막세포 배양상층액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