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riure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가토신장기능에 미치는 측뇌실내 Isoproterenol의 영향 (Influence of Intracerebroventricular Isoproterenol on the Renal Function of the Rabbit)

  • 김행배;최봉규;국영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1982
  • 중추의 ${\beta}-adrenoceptor$가 신장기능의 조절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알고자, 가토의 측뇌실내에 isoproterenol 및 propranolol을 투여하여 신장기능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Isoproterenol은 $5{\sim}50{\mu}g/kg$ i.c.v.의 범위에서 항이뇨작용을 나타냈으나 이는 주로 전신혈압하강에 따르는 신혈류 및 사구체여과율의 감소에 기인하며 세뇨관에서의 Na 재흡수억제효과는 음폐된 것으로 추론되었다. Propranolol $(500\;{\mu}g/kg\;i.c.v.)$은 신장기능에 현저한 변동을 초래하지 아니하였으나, propranolol후에 isoproterenol을 투여하면 전신혈압하강은 현저히 약화됨과 동시에, Na, K 배설의 증가와 신혈류의 증가, 그리고 뇨량증가경향이 관찰되었다. 즉, prapranolol에 의하여 isoproterenol의 강압작용은 영향을 받으나 신장작용은 영향받지 아니하고 현저하게 표현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중추의 ${\beta}-adrenoceptor$${\alpha}-receptor$보다는 약하지만 신장기능의 조절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가토 신장기능에 미치는 측뇌실내 Yohimbine의 영향 (Influence of Intracerebroventricular Yohimbine on the Renal Function of the Rabbit)

  • 국영종;김경근;김세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7
    • /
    • 1985
  • 신장의 기능은 중추신경계 특히 교감신경계의 큰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alpha}$-adrenoceptor의 길항제로 알려진 yohimbine을 가토의 측뇌실내로 (i.c.v.) 투여하여 신장 기능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Yohimbine 10 ${\mu}g/kg$ i.c.v. 로써 일관성인 Na 배설 증가와 함께 뇨량, 신혈류 및 사구체 여과율의 증가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투여량을 증가시키면 그와 같은 작용은 소실되고 100 ${\mu}g/kg$ 과 300 ${\mu}g/kg$에 있어서는 신혈류 및 사구체 여과율의 심한 감소와 함께 현저한 항이뇨 작용과 Na 배설의 감소가 관찰 되었다. 이때 전신 혈압은 일과성으로 증가를 나타내었다. Reserpine 전처치 가토에 있어서는 100 ${\mu}g/kg$ i.c.v. yohimbine에 의한 항이뇨, Na 배설 감소작용, 신혈류 역학의 감퇴등이 소실되어 유의한 변동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때 전신 혈압의 상승도 소실 되었다. 일측 신장 신경을 제거하고 반대측 신장을 대조로 둔 표본에 있어서 yohimbine 100 ${\mu}g/kg$을 측뇌실내로 투여하면 대조신에서는 정상 가토에서와 같은 전형적인 항이뇨 작용이 나타났으나, 제신경(실험)신에 있어서는 신혈류 역학에는 변동이 없으나 Na 및 K 배설과 Cosm 및 뇨량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이때 신세뇨관에서의 Na 재흡수가 억제되었다. 전신 혈압의 변동은 정상 가토에서와 같이 일과성인 증가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가토 측뇌실내 yohimbine은 신기능에 대하여 두 가지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며, 첫째는 교감신경 긴장도의 증가로써 신혈류 및 사구체 여과율을 감소시켜 항이뇨 및 Na 배설 감소를 초래하는 작용과, 둘째는 신경 경로를 통하지 않고, 아마도 humoral factor를 통하여 신세뇨관에서 Na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이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