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Advertisemen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 and Impact of Multi-Platform Native Advertising Content

  • Yang, HuiYeon;Lim, Chan;Kim, Chang J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77-83
    • /
    • 2019
  • Recently, as social media users have grown, the resulting form of advertising has emerged, and one of the types is native advertising. This advertising method appears to be 52% higher than the banner, according to a study by the IPG Media Lab (2013). Therefore,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native advertising, bu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 In this paper, the acceptor's attitude to the native advertisement and the shared intention are verified as to how the effect of the native advertisement can be understood and the maximized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brand phrase was in the form of direct exposure, the subjects were positive about the advertisement and the brand attitude was favorable. Share intentions were also high. These results included suggestions to produce native advertis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attitudes and sharing of the recipients.

자동차 브랜드 잠재소비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형성에 대한 연구: 네이티브 광고의 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Formation of Potential Consumers for an Automotive Brand: Effectiveness of Native Advertising)

  • 김유승;최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56-6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브랜드 잠재소비자의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 형성에 있어서 네이티브 광고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 네이티브 광고의 유형에 따라 광고인지 여부와 광고가치의 차이, (2)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가치가 브랜드 태도를 매개로 하여 소비자-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네이티브 광고를 목적에 따라 제품광고, 브랜드 광고, 비상업적 광고로 분류하고, 네이티브 광고의 형태로 제작한 후에 해당 자극물을 잠재소비자들에게 제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345부의 유효표본으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비상업적 광고에 대해 낮은 광고인지 반응을 보이지만, 제품광고와 브랜드 광고에 대해서는 대부분 광고인 것을 인지하였다. 둘째, 응답자들은 네이티브 광고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불편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상업적 광고에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네이티브 광고의 유희성, 정보성은 브랜드 태도를 매개하여 소비자-브랜드 관계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편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네이티브 광고의 전략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c Management of Native Advertisement)

  • 손제영;강인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1호
    • /
    • pp.63-81
    • /
    • 2019
  • 기업들은 기존의 웹광고 기법인 베너 광고, 팝업 광고, 삽입 광고 등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거부감을 줄이는 네이티브 광고(native ad)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네이티브 광고는 이용자들의 거부감을 줄이고 동시에 이목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광고기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전문적인 기사나 동영상 콘텐츠가 광고로 둔갑을 하는 이른바 가짜뉴스, 가짜콘텐츠가 생성되어 그 폐해가 많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웹상에서 기업들이 네이티브 광고를 어떻게 조율하고 통제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향으로 기업들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검증결과, 광고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지각될수록 해당 광고게시물에 대한 설득수준을 저해함과 동시에 해당 광고가 노출되는 웹사이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네이티브 광고기법의 부정적 자극요인들을 중심으로 기업의 질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정보원의 비전문성이 광고에 대한 의구심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플랫폼의 정보과잉은 광고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더불어 웹사이트의 평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이용자의 웹사이트 관여수준에 따라 경로 간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세분시장에서 적용될만한 구체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향토음식 인지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경남 하동군 지역을 중심으로 - (A Verification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of Native Cuisine - with respect to Hadong-Gun Area, Kyungsangnam-Do -)

  • 이연정;박성수;최수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5-294
    • /
    • 2004
  • Rather than focusing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area and extensive preference about its native cuisine, this study carried out more practical examination on the recognition of the native cuisine by presenting the more detailed introduction of the native cuisine in Hadong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devise measures for the instillation and advertisement of Hadong area's image,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its native cuisine benefiting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the reestablishment of Hadong area's native cuisine culture. First, the overall recognition of Hadong area's native cuisine was low and more consumption needs to be boosted by merchandising its food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recognition. Second, correlation between this area's native cuisine was revealed and tables need to be set and menus need to be organized with this correlation in mind. Basic materials for suggestion sale were garnered. Third, given that most outside tourists visit Hadong by word mouth of all the information sources available, it is highly likely that positive word of mouth through satisfaction with native cuisine will raise the overall recognition of the area. Fourth, precise subdivision market and target market need to be specified. Though the factors like economic costs and the time required cannot be overlooked in strengthening recognition, consistent advertisement to the middle-aged people who are over 40 and live in Kyungsang-Do area will contribute to the fast rise in the recognition of Hadong area's native cuisine,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rocess.

SNS 브랜드 성격이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How SNS Brand Personality Affect Mobile Native Ad Attitude)

  • 차문경;이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52-4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 소비자를 대상으로 SNS의 브랜드 성격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SNS 브랜드 성격 요인이 SNS 내에서 접할 수 있는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의 속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브랜드 성격과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의 속성으로 정보성, 신뢰성, 오락성, 방해성, 상호작용성을 연구변수로 도입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34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2.0과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SNS 브랜드 성격 요인으로 '성실', '열정', '매력', '실용', '공동체'의 5가지 성격이 도출되었다. 이 가운데 '성실', '열정', '공동체' 브랜드 성격이 대부분의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 속성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실용' 브랜드 성격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력 브랜드 성격은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 속성과 상관이 없는 브랜드 성격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 속성 가운데 정보성과 신뢰성이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북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Case Study for the Communication Elements of Facebook Advertising)

  • 김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31-239
    • /
    • 2018
  • 본 연구는 사용자를 통한 실험 및 심층면접을 통해 최근 많은 광고물량이 몰리고 있는 페이스북 광고운영에 도움이 되는 요소가 무엇이 있는지 모바일매체를 중심으로 찾아보는 탐색적 논문이다. 연구 방법은 모바일광고, 그리고 모바일광고 내 매체현황, 콘텐츠성향, 광고회피현상을 고찰한 후, 남녀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자 자신의 페이스북을 30초간 체험하게 하여 사용과정에서의 물리적 행위를 관찰하고, 실험 후 토론을 기반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광고의 긍정적 요인와 부정적 요인으로 나누어 논할 수 있었다.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동안 광고를 좋게 보이게 해주는 긍정적 요인으로 네이티브 광고디자인 효과, 지인 효과, 검색 효과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페이스북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회피를 쉽게 해주는 광고의 부정적 요인으로 초당 평균 1.5-3회의 빠른 스크롤 행위로 광고스킵이 가능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정적 행위에 해당하는 빠른 스크롤 행위는 앞서 언급한 긍정적 요소들과 더불어 페이스북은 모바일 상에서 다른 매체 대비 광고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SNS 정보전달 유형의 효과 -SNS 소비가치, 제품태도, 구매의도의 관계- (Effects on SNS Communication Types of Fashion Designer Brands -SNS Consumption Value, Produ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이수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6-1011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SMEs and small designer brands utilizing Instagram as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The research compared the impact of two information delivery types (native advertisements vs. live streaming after native ads) and two types of promotional messages (scarcity vs. price discount) on SNS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attitude toward fashion designer brand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251 Korean women aged 25-55 with experience in buying designer products and using S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3.5.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tive advertisements and live streaming enhance economic and social values in SNS consumption. Live streaming with price discount messages generates higher perceived SNS consumption values compared to scarcity messages.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designer brand products when watching the live streaming of price discount messages rather than scarcity messages. The findings emphasize that the broadcast host actively induced participation to reveal viewers' social presence through comments or emphasized discount messages such as ultra-special prices during live streaming on Instagram.

네이티브광고의 유형에 따른 탐색적 연구 - 미디어플랫폼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according to the Types of Native Advertising - Focus on the Media Platform)

  • 유현중;정해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7-14
    • /
    • 2020
  • 본 연구는 미디어플랫폼 상에 나타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의 유형과 형식에 관한 분석을 통해 기존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재정의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총 159명의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현재 미디어플랫폼 상에 나타나고 있는 네이티브 광고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순으로 네이티브 광고가 집행되고 있었다. 두 번째는 20대 타겟 맞춤형 광고로 집행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세 번째로 네이티브 광고는 콘텐츠나, 피드형으로 많이 집행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네이티브 광고의 진화는 동영상 형태의 재미와 흥미 위주로 콘텐츠를 중심으로 집행되고 있으며, 그 형태와 유형이 점차 플랫폼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경북 향토음식에 대한 인식도 조사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s)

  • 민영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78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obtain basic data toward foster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local foods, to the overall end of enhancing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such foods. It also gives direction toward promotion of local food by researching attitudes toward local foods and viewpoints on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of such,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the Daegu-Kyungbuk area. The results of analyzing perceptional scores for native local foods in Kyungbuk by characteristics 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duration of residence in Kyungbuk. Obstacles to the promotion of local foods include lack of marketing, lack of specialized restaurants, lack of knowledge, lack of menus, lack of generalization, and high price. The results of analyzing viewpoints on requirements for improved perception of local foo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tive advertisement and marketing, diversity of local foods, and duration of dwelling.

Influencer Attachment and Consumer Response to Product Links in Native Video Ads: An Empirical Study on Bilibili's Platform

  • Hu, Jiayu;Chen, Mingyuan;Yoo, Se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140-151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an innovative advertising technique on Bilibili, where product links are embedded as bullet comments visible only to mobile app users. The research involved 140 participants, divided equally between followers and non-followers of a popular influencer, 'Gourmet WanggangR.' These groups were further split, with half viewing a video containing the product link on the app and the other half via PC. The study revealed that influencer attachment significantly increased viewer immersion (transportation) and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content, which in turn elevated purchase intentions. Importantly, the influencer's followers showed a stronger attachment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the content, alongside a heightened likelihood to purchase the advertised product. The presence of the product link further accentuated these effects among the influencer's followers. Conversely, in the absence of the link, the correlation between influencer attachment and content attitude was less pronounced.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embedding product links in video content as a marketing strategy, particularly when targeting an influencer's followers through mobile platf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