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forest management information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3초

GIS기반 국내 대나무 자원 평가 인벤토리 구축과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Inventory Construction for GIS-based Bamboo Resource Assessment)

  • 유병오;박준형;박용배;정수영;이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7-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나무 자원의 평가를 위하여 GIS 기반의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나무 자원의 일반현황, 임황 및 지황 정보, 입지토양 정보 등의 인자를 추출하고 현지표본점 조사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활용하여 면적 및 축적량을 산출하여 통합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는 방치되어 있는 대나무 자원의 건강성 및 지속성 확보는 물론 대나무의 기능 증진을 위한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IS와 행정정보를 이용한 교토의정서 제3조 3항 산림전용지의 공간패턴 및 탄소배출량 분석 (Analysis of Spatial Patterns an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s in Deforestation using GIS and Administrative Data)

  • 이정수;박동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2011
  •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an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 at the deforestation area in Gangwondo.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FGIS) and administrative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area size and spatial patterns of deforestation a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rticle 3.3 of Kyoto protocol. Forest administration data for 9 years from 2000 to 2008 were entered into a database. Fifty-nine percent of deforestation area was found within 200m of the road network, and seventy-five percent of the area was found within 500m. Theoretical carbon emission based on deforestation area was estimated at 6,968tc. Carbon emission of national forest was 5.7time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forest.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 김다민;임철희;이우균;송철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40-648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는 국유림이 탄소흡수와 산림자원조성 측면에서 주도적인 역할로 자리매김하게 하였으며, 이에 국유림을 관리하는 국유림경영계획과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의 운영이 효과적인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계획수립과 경영은 올바른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확보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계획 실행평가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타 분야의 평가 제도와 비교분석, 국유림업무 담당자 및 전문가와 면담 분석, 11개소 경영계획구의 국유림경영계획 최종평가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계획수립과 평가결과간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 평가별 목적과 시기 수정, (2) 사업수행과정을 반영하기 위해 사업별 가중치 할당, (3) 계획변경내역과 사유 기재를 통한 정성적 평가 진행, (4) 이러한 개선방안은 궁극적으로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과 연동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미래 산림변화를 예측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이룩하는 것은 사업수행과정 전반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에서 시작되며, 따라서 본 연구는 실행평가 고도화 방안을 제안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The Building Strategies of Natural Park Integra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System

  • Bae, Min-Ki;Lee, Ju-He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605-613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building strategies of web-based national park monitoring system (WNPM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system. To accomplish this study, at first, this study selected and made integrated management indicators considering physical, ecological, and socio-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national park. Secondly, this study built up an integrated management this system with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or execution of various multivariate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Finally, WNPMS could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visitors, natural resources, and recreation facilities in national park, and forecast the future management status of each national park in Korea. Ther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vent the damage of natural resources and facilities,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prevent an excess of carrying capacity at national park, and established tailored management strategies of each national park.

산림환경 정보구축 및 산림환경 평가 (Construction of forest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evaluation of forest environment)

  • 장관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37-51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ead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the urban forest by estimating the forest environment. Forest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nstructed using IDRISI system based on survey data, soil, plant, and digital elevation data. Forest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nsisted of soil depth, soil organic content, soil hardness and parent rock as a soil environmental factor, and forest community, tree age, crown density as a plant environmental factor. Plant activity and topographic environment also were analyzed by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digital elevation data. Environmental function of urban forest was estimated based on results of soil conservation and forest productivity. 70% of urban forest is located in elevation of lower than 200m and 55% of forest area have the slope of lower than 15 degree. Analyzed soil conservation status and forest productivity were almost the same as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collected soil sample and the vegetation index estimated using remote sensing data, respectively. Thus, the constructed forest environmental information could be useful to give some ideas for management of urban forest ecosystem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ning, including forests, in Taejon. The best forest environmental function was appeared at the natural ecology preservation zone. Current natural parks and urban parks were appeared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for further development. The worst forest environmental function was appeared at the forest near to the industrial area and an overall and systematic plan was required for the soil management and high forest productivity because these forest was developing a severe soil acidification and having a low forest productivity.

  • PDF

EA기반 정보자원 통합 추진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산림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s for EA-based Information Resource Integration Execution and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Korea Forest Service)

  • 김찬회;홍승태;김형진
    • 정보화정책
    • /
    • 제20권3호
    • /
    • pp.86-105
    • /
    • 2013
  • 산림자원을 기존의 육성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 대외적으로는 대국민을 대상으로 이용과 대내적으로는 지속적인 산림자원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육성과 관리를 위하여 국가산림정보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산림정보화는 산림이라는 특수성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일례로 산림청의 많은 내부 업무 시스템들이 현업보다는 본청에서 하향식 자료 취합을 목적으로 구축되었으며, 또한 대국민 이용측면에 있어서도 다양한 콘텐츠들이 이해당사자별로 제공됨으로써 유익한 정보들이 체계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산림청은 전사차원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써 IT Governance 개념과 EA기반의 정보화를 추진하고 더불어 기존 시스템 측면에서 업무와 서비스 측면을 강화하여 국가 산림정보화 기반조성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요 추진 내용과 시사점 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국가 생태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지도 구축 (Mapping for Biodiversit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GIS)

  • 정다정;강경호;허준;김창재;김성호;이정빈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573-581
    • /
    • 2010
  • Natural ecosystem is an essential part to connect with the plan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esponse strategy against climate change. For connec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with climate change strategy, Europe, America, Japan, and China are making an effort to discuss protection necessity through national biodiversity valuation but precedent studies lack in Korea. In this study, we made biodiversity maps representing biodiversity distribution range using species richness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and Forest Description data. Using regression tree algorithm, we divided various classes by decision rule and constructed biodiversity maps, which has accuracy level of over 70%. Therefore, the biodiversity maps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and plan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 continuous management. Furthermore, this study can suggest a strategy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forest information in national level.

광학센서를 활용한 산림분야 원격탐사 활용기술 (Forest Management Research using Optical Sensor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 김은숙;원명수;김경민;박주원;이정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2호
    • /
    • pp.1031-1035
    • /
    • 2019
  • 최근 국내 위성정보의 활용 기반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2023년 발사 예정으로 사업이 추진 중인 농림위성의 개발은 산림분야 위성정보 활용의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올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학계 전문가와 함께 산림 분야의 원격탐사 활용기술에 대해 점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산림분야 특별호를 추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농림위성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학센서를 활용한 산림분야 원격탐사 활용기술을 중심으로 산림부문의 연구개발 현황을 파악하였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산림분야의 광학센서 활용기술은 크게 산림자원조사, 산림재해탐지, 산림생태계모니터링 등세 분야로 구분된다. 그리고 산림의 현황과 변화의 정확한 탐지를 위한 새로운 지표와 정보의 산출, 무인기 영상 및 신규 위성영상 등의 새로운 정보원 활용 방안 그리고 인공지능 기법의 활용을 통한 정확도 향상 기술에 대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임도 준공도면의 수평위치 정확도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in Forest Road Completion Drawing)

  • 김명준;권형근;최윤호;염인환;이준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71-479
    • /
    • 2010
  • Forest roads of 16,424km have been constructed as infrastructur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The demand of forest road have been also increased steadily with SOC conception for forest management and wood production. But, accuracy verification by completion drawing of forest road needed aspects ext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to sound like forest road construction and completion drawing. However, verification for completion drawing has not ascertained. This study carried out the evaluation for position accuracy about constructed forest road in Chungcheongnam-do for evaluating horizontal position accuracy of completion drawing of forest road. In result, first of distance of completion drawing and real route designed completion drawing longer than the real route as Gongju 83m, Seosan 66m, Nonsan 27m and Dangjin 19m, respectively. Second, RMSE by point-correspondence was 11m~14.7m, buffering analysis appeared difference of 18~24m. Finally, index of shape was the similar completion and real route through 6.5~7.4 and data information of forest road corresponds to be perfect. For such reasons, the existing completion drawings have a problem that it cannot use graphic information for drawing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regulation,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

국유림 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National Forest Complex Management)

  • 정병헌;김재성;김현근;김의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33-40
    • /
    • 2011
  • 본 연구는 산림복합경영사업의 관리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참여 작목반원들의 의식조사, 산림복합경영사업 관리 등에 대하여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유림에서 추진중인 산림복합경영사업에 대한 작목반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15개의 항목중에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통해 산림복합경영사업에서 집중적 관리전략이 필요한 분야로 전자상거래 및 직거래 활성화, 생산 및 판매 유통정보 2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현 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필요한 분야는 6개 항목,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분야는 3개 항목, 과잉노력을 지양해 할 분야는 4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림복합경영사업의 추진방향 설정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