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Libraries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도서관 자료보존의 현황과 과제 (The Status Quo and Tasks of the Collection Preserv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서혜란;김선애;강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1-134
    • /
    • 2015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은 사회에서 생산되는 자료를 수집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은 개별도서관의 자료보존을 지원하는 주된 책임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논리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파악하여 도서관자료의 공동보존을 위한 도서관간 협력방안과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보존현황에 관한 기초 데이터 수집을 위해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663개 공공도서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208개관이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조사의 내용은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조직과 인력,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시설과 환경,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자료보존 복원센터의 건립에 대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자료보존을 위한 과제로 첫째, 개별도서관 차원의 지식정보자원의 보존성 및 이용성 향상을 위한 자료보존 복원을 위한 자료관리정책의 구비 둘째, 공공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등과의 협력을 통한 종합적, 효율적 자료보존 복원 체계 구축 등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관종별 도서관 사서의 직무환경요인과 직무만족도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Libraries)

  • 김종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7-155
    • /
    • 2012
  • 본 연구는 국 공립대학도서관, 사립대학도서관, 전문대학도서관,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공도서관을 선정하여 관종별 도서관 사서들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점을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으로 10가지 직무만족 요인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사서의 직업만족도와 직무만족, 고용만족, 승진제도 만족, 업무분장만족, 보수제도 만족, 복무제도 만족, 시설환경 만족, 교육훈련 만족, 후생복지 만족,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 요인을 비교 분석 하였다. 첫째, 전체적인 사서의 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 만점에 3.940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관종별로는 사립대학 도서관, 전문대학 도서관, 공공도서관, 국 공립대학 도서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요인에 선정된 10가지 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관종별 만족도 순위는 교육훈련, 직업, 복무제도, 인간관계, 고용제도, 업무분장, 시설환경, 보수제도, 후생복지, 승진제도 만족 순으로 측정되었다.

Evaluation of Websites of Public Libraries of India under Ministry of Culture: A Webometric Analysis

  • Brahma, Krishna;Verma, Manoj Kumar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16-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omain authority, number of webpages, links, and calculate the web impact factor of six public libraries of India which are fully funded by Ministry of Culture with the supervision of administration.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websites of concerned libraries with the help of a suitable search engine, Open Site Explorer. The study found that the highest domain and page authority was recorded by Khuda Baksh Oriental Public Library and National Library, respectively. It also further revealed that excepting the two libraries, i.e., Khuda Baksh Oriental Public Library and Delhi Public Library, the internal equity-passing links and total internal links of rest of the libraries is zero. National Library leads with maximum total links and total equity-passing links, also with the highest followed linking root domains, total linking root domains, and linking C blocks, and concludes with the web impact factor of Central Secretariat Library recording the maximum, followed by National Library and Khuda Baksh Oriental Public Library.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A Policy Study on Subject-oriente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to Facilitate Sharing of National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1-139
    • /
    • 2006
  • 대학도서관 자료의 전문화, 세분화된 학술정보자료의 공동수집 및 공동이용은 대학 내 연구의 활성화와 대학간 다양화, 특성화, 지역화를 추진하게 할 것이다. 이것은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대학도서관의 특성화, 차별화 정책을 기반으로 할 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특성화를 기반으로 한 국가적 학술정보공동활용체계를 제안했으며,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협력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주제 또는 지역별로 형성된 각종 협의회를 중심으로 주제별 특성화를 유도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일제시대 농촌문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ural-mini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335-364
    • /
    • 1996
  • The colony education policy of Japanese Empire was, as a su n.0, ppression on national salvation education of Korean, on the one hand it was liquidation of Korean national spirit and other hand, it has the object to Japanizing Koreans through cramming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During the Japanse occupation of Korea, the libraries had two roles, one was to press Korean and its culture and the other was to civilize Koreans for Japan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rural-mini libraries whether the former or the latter. From 1932 to The Chosun Governor- General Department (Chosun Chongdokboo) actively spread 'The Movement of Rural Development in Korea. At the same time there were many rural -mini libraries in Korean rural and fishing community. Under the colony of Japanese Empire, colony policy was itself very tough that Japanese Empire did their utmost ideas to win Korean culture over and Japanzing Korean with every possible pressures. Since rural-mini libraries were planned by the chosun Governor-General Department, however, were established by Korean themselves with the property of local education center( Hyanggyo). Therefore, rural-mini libraries were as facilities to promote rural economic development for providing Japanese with some materials which need to conduct a war, and to introduce local people to participate in civilizing activity themselves and farmers and fishermen were forced to group to be educated in Japanese language and its reading. Rural-mini libraries were, as it were, not as facilities for enlightening Korean peoples but as facilities for civilizing Koreans.

  • PDF

국립도서관의 웹 접근성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in National Libraries)

  • 서은경;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45-364
    • /
    • 2008
  • 웹을 중심으로 한 지식정보 서비스의 비중과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적 성격을 갖는 국립도서관의 경우에는 보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평등한 접근성이 기본적으로 보장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를 활용하여 16개의 주요 국가의 국립도서관을 선정하여 웹 접근성을 점검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웹 접근성의 국가별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럽국가의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정책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 in European Countries)

  • 이정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7-168
    • /
    • 2010
  • 본 연구는 유럽국가(스웨덴, 영국, 프랑스)의 국가도서관,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을 각각 방문하여 도서관정책 및 정보서비스에 대한 질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을 위한 우리나라 도서관서비스의 정책을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점을 제언하였다. 국립장애인도 서관지원센터는 일관된 정책과 실행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전문기관으로 독립해야 하며, 민간장애인도서관의 역사성과 전문성이 계승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국가, 공공, 장애인도서관 및 학교, 대학도서관과의 협력적 체제정비로 대체자료 개발, 통합목록 및 전문서비스 개발이 요구되며, 도서관 내적인 협력뿐만 아니라 외적인 환경인 사회적 제도, 법적 제도 및 장애인관련단체, 지방자치단체 등의 협력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DEA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 경영효율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for the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using DEA Model)

  • 조성한;박동진;이길호;윤동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53-274
    • /
    • 2009
  • 효율성은 산출물의 가치와 그 산출물의 생산과정에서 소요되는 투입물가치의 비율로 나타낸다. DEA모형은 효율성을 여러 가지 투입물의 가중평균에 대한 산출물 가중평균의 비율로 표시하며, 특정 의성결정단위의 효율성을 유사한 투입 산출구조를 가지는 준거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인 측면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DEA모형을 이용하여 국립대학도서관의 효율성과 효율성 개선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투입변수로는 직원수, 시설면적, 예산, 장서량을 사용하였고, 산출변수로는 자료실이용자수, 대출책수, 상호대차이용건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전국 26개의 국립대학도서관 중 효율적인 도서관은 2007년, 2006년, 2005년에 각각 10개, 9개, 9개로 나타났다. 또한 비효율적인 국립대학도서관의 경우 투입물을 줄이고, 산출물을 늘여야 할 정보들을 제시하였다.

  • PDF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 조찬식;강성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5
    • /
    • 2015
  • 특정분야의 전문정보를 제공하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면서 정보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박물관에 대한 이용과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문정보서비스 기관인 박물관 자료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에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조사가 가능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운영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서비스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Modern Library Media Space

  • Horban, Yurii;Gaisynuik, Nataliya;Dolbenko, Tetiana;Karakoz, Olena;Kobyzhcha, Nataliia;Kulish, Yu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75-380
    • /
    • 2022
  •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provide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improve the organization of a modern library's media space.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in the modern library's media space organization. Methodology. The research uses a university library case study methodology to empirically investigat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Result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provide research and improve learning outcomes by engaging students and learners with significant interest in such technologies. Libraries offer users the opportunity to create their VR content through available software. Students can test their VR content in the libraries' labs. Libraries support access to a variety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content is accessed using "virtual reality headsets" for viewing and workstations with "authoring software and loanable 360 cameras" for creating. The library lab is a space to support students' digital creativity and research through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here are 3D Design Labs within the libraries as a medium to large group design learning spaces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Libraries form a media space where users can create videos, podcasts, portfolios, edit media, and book tours, and students and researchers can explore different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way, technology ensures that risks in learning are minimized as opposed to hands-on seminars and cl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