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GHG Reduc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PROCESS OF COMMUNITY-BASED SUSTAINABLE CO2 MANAGEMENT

  • Jaehyun Park;Taehoon Ho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262-268
    • /
    • 2011
  •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ncerned with reducing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ducing the level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bringing GHG down. Because of this,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the EU are enforcing energy-related policies. However, these policies are focused on management of single types of buildings such as public buildings and office buildings, instead of management on a national level. Thus, although various policies have been enforced in many countries, CO2 management on a national level is still not an area of focu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community-based CO2 management process that allows government-led GHG management. The minimum unit of the community in this study is a plot, and the process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GHG emission was identified by plot. Second, based on the identified results, the GHG emission reduction target was distributed per plot by reflecting the weighted value according to (i) the target CO2 reduction in the buildings in the standard year, (ii) region, and (iii) building usage and size. Finally, to achieve the allocated target reduction, building energy management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building located on each plo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roposed community-based CO2 management process will enable government-level GHG management, through which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construction can be promoted.

  • PDF

주요국가의 교통부문 기후변화협약 대응 정책 동향 (Polices Trends for Countermeasure Climate Change in Transportation of Major Countries)

  • 김용기;이재영;이철규;이영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5-520
    • /
    • 2011
  • The Climate Change has been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and economic issues and is affecting our daily life. The Post-Kyoto Protocol aims to reduce GHG(Greenhouse Gas) emission and mitigate climate change. Under this protocol,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classified as Annex I implements programmes and strategies confronting against the climate change. South Korea has set voluntary GHG reduction goal of 30% reduction compared to BAU(Business As Usual) in 2020 and prepares National GHG inventory system and Negotiated Agreements(NA) with industries. It will affect seriously to industry and transport sector and its obligation to reduce GHG emission will be strengthened gradually. Therefore, there will be large impact on industry structure. In Korea, various strategies against climate change are being prepared as researches of development of GHG emission reduction technologies and integrated GHG emission management system in transport sector. In this study, strategy on climate change in transport sector is proposed by being based on developed countries'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ransport sector.

  • PDF

온실가스 배출량 시계열 분석과 전망 배출량 및 감축 감재량 추정 - 충북을 중심으로 - (Time-Series Analysis and Estimation of Prospect Emissions and Prospecte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hungbuk)

  • 정옥진;문윤섭;윤대옥;송형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1-59
    • /
    • 2022
  • 2015년 '파리협정' 및 2021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정에 따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2018년 대비 40% 감축) 달성을 위해서는 지자체별 적절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과 이행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1990-2018년 까지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시계열로 분석하였고,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충청북도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안하였다. 또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BAU 대비 장래 배출량을 고려한 2030년까지의 감축 잠재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와 충북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이래 인구 및 경제 성장에 따라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 국가 대비 충북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3.9%로 매우 낮은 편이였고, 시멘트 및 석회 생산, 제조업 및 건설업, 수송업 등 연료연소에 의한 배출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30년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반영한 2030년 충청북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18년 대비 40.2%로 설정하였다. 이에 장래 배출량을 고려할 경우 목표 달성을 위한 감축 잠재량은 2018년 대비 46.8%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 결과는 국가 및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통한 감축 잠재량을 충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30년 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달성을 위해 충북을 포함한 국가 및 각 지자체는 온실가스 장래 배출량을 연도별로 추정하여 매년 감축 목표와 감축 잠재량을 구하고 이를 삭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감축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실별 전력 소비패턴에 의거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산정 - 서울대학교 관악 캠퍼스를 대상으로 - (A Case Study of GHG Reduction Based on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 of Individual Rooms : In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석영;박문서;이현수;김수영;정혜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5-64
    • /
    • 2013
  •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가 시행됨에 따라, 해당 사업장은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30% 이상을 의무적으로 감축해야 한다. 에너지소비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학교 부문 역시 온실가스 감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교육기관의 특성 상 에너지 절감에 투자할 수 있는 예산은 한정적이므로 고가의 대응책 적용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를 대상으로 실 레벨에서 쉽게 적용 가능한 저가의 에너지감축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통한 최대감축잠재량을 산정하는 사례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관악캠퍼스 내 표본이 될 11개 용도의 실을 뽑아 1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에너지소비량을 매일 실측하였고, 실별 전력기기 계수 조사를 통해 실용도별 표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사용자 인터뷰와 설문 및 행정조사를 통해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실용도 표준모형 기반의 기기별 소비전력량을 산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2개의 감축기술 및 실천프로그램을 도출하여 실용도 표준모형에 적용하고 각 프로그램별 최대감축비율을 기기별 소비전력량에 곱해 기기별 최대감축량을 유도함으로써, 실별 월별 최대감축량과 관악캠퍼스 최대감축잠재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가 제안한 감축기술 및 실천프로그램의 적용 시 1월부터 7월까지 약 $5,311tCO_2$-eq 즉 동일기간 관악캠퍼스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2.66%에 해당되는 양을 감축할 수 있으며, 2016년까지 서울대학교 필요감축량의 24.48%를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LEAP 모델 적용을 통한 대학단위 온실가스 감축안 도출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대상으로 (Greenhouse Gas Reduction Scenario from LEAP Model Application to a University Campus-For Hanyang University Ansan Campus)

  • 박효정;정혜진;이승묵;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0-2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캠퍼스 단위에서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해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를 대상으로 직접 배출원(도시가스, 실내등유, 이동연소), 간접 배출원(전력), 기타 배출원(항공, 수도) 세 부분으로 온실가스 배출원을 규명하였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원별 에너지 사용량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온실가스 배출영역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간접배출의 전력부문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56.7%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본부에서 수행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시나리오 및 학교구성원이 수행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실천시나리오를 대학환경에 적합하게 설계한 후 LEAP 모델을 이용하여 2007년부터 202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감축시나리오 적용시 2020년 BAU(배출전망치) 대비 2020년에는 직접배출 중 고정연소에서 63.34 ton $CO_{2eq}/yr$, 이동연소에서 221.1 ton $CO_{2eq}/yr$ 감축되었으며, 간접배출 중 조명에서는 4,637.34 ton $CO_{2eq}/yr$ 온실가스가 감축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실천시나리오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은 1293.76 ton $CO_{2eq}/yr$으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한양대학교 안산 캠퍼스에 감축 실천 시나리오를 모두 적용한다면 2020년에는 2020년 BAU 대비 온실가스를 총 24%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기술 선택 지표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the National GHG Reduction Technology Selection Based on Delphi Method)

  • 김기만;강문정;김형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1-26
    • /
    • 2018
  • 국가 온실가스 감축수단의 확보를 위해 전략적으로 감축기술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공공의 기술선택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들은 기술적, 경제적 요인에 중심을 두고 기술선택을 다루고 있으며, 일관된 선택 기준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기술을 선택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전문가 22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타당성이 확보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기술 선택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기술, 경제, 환경, 정책, 사회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에 대한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상용화기술은 5개 항목의 16개 지표, 신기술은 5개 항목의 18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기술선택 지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기술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적용과 확보에 관한 판단기준 연구에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Transportation Policies Related to Greenhouse Gas Reduction)

  • 이규진;이용주;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교통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및 효과적 이행계획 수립에 기여하기 위한 교통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정량적 효과분석 방법론 정립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실제 교통 배출 자료에 근거한 교통수단별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 추정모형을 포함하여, 수단효용함수와 수요추정모형 등을 활용하고 있다. 연구결과, 전기차 등 온실가스 감축정책 효과는 지역과 대상차종 등에 따라 다양하게 도출될 수 있으며, 저예산 정책인 에코드라이브 활성화 정책은 높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동차 배출개선 정책 뿐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정책도 높은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국가 및 지자체의 온실가스 감축정책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산업의 인벤토리 구축 및 공정진단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eenhouse Gas (CO2) Emission Reduction through Constructing Inventories and Process Diagnostic Techniques in Chemical Industry (A case of Ulsan City, Korea))

  • 안준기;조경오;조현래;이만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302-3309
    • /
    • 2011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공정진단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체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울산지역은 산업단지 중심으로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에너지 다소비업체가 많으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체계적으로 실시 할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10개 기업체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0개 기업체 중 5개 기업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인벤토리 구축 결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공정에 따른 직접배출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약 온실가스저감 227,554만원 경제적 효과 및 온실가스 이산화탄소 50,740 ton/yr 절감효과를 발생하였다.

An Analysis on the Ancillary Benefit of Greenhouse Gases Reduction in Korea

  • Yanghoon Song;Han, Wha-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9권E1호
    • /
    • pp.41-50
    • /
    • 2003
  • Greenhouse gases (GHG) could lead to global warming, which may bring about various disturbances to global ecosystem. Other than primary benefits that are too extensive, the ancillary benefit from GHG reduction has been estimated to provide justification for national actions. Five scenarios for 5 to 40% reduction of GHG were evaluated for the benefit/cost efficiency, using the cost estimates from a previous study. Their benefits were also estimated using a European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lower reduction scenarios (5∼10%) seem to be more efficient than higher reduction scenarios (30∼40%).

대학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잠재량 평가 - 강원대학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ventory and Evaluation of GHG Reduction Plan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상영;한영지;오아람;이우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2-4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를 대상으로 대학단위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2009년 강원대학교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1,054ton\;CO_2-eq$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 대비 7% 증가하였다. 간접 온실가스 배출(Scope 2)의 구매전력은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54.3%를 차지함으로써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으며, 직접 온실가스 배출(Scope 1)과 기타 간접 온실가스 배출(Scope 3)은 각각 25.3%와 20.4%를 차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초기비용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감축방안 - 고효율 LED 조명으로의 교체, 하이브리드 차량 도입, 셔틀버스 운행의 활성화, 녹색 캠퍼스 실천 프로그램의 적용 - 을 선정하여, 각 방안에 따른 감축량을 추정하였다. 녹색 캠퍼스 실천프로그램을 통한 대학 구성원의 노력만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5.3%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감축방안을 실행하였을 때는 약 $1,570ton\;CO_2-eq\;yr^{-1}$을 감축함으로써 전체 배출량의 7.5%를 감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