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4초

국유림(國有林) 관리(管理) 영림계획(營林計劃) 운영(運營)을 위(爲)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Database Program for Management Planning in National Forests)

  • 박은식;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63-72
    • /
    • 1999
  • 이 연구에서는 산림계획에 관계되는 자료관리는 물론 국유림에 적용되는 영림계획의 운영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체계로 개발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체계에서는 영림계획 업무에서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메뉴체계에 반영하였으며, 산림조사, 영림계획, 연차계획 및 임반연혁 자료들을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모델은 한글 윈도우 95 환경에서 구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은 Visual Basic 5.0을 사용하여 작성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기본 엔진으로 Microsoft사의 ACCESS를 이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영림계획업무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내역, 모델구조 및 응용체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의 응용체계를 실제 화면모드 출력창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위한 토석류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n Prediction Algorithm of Sediment Discharge by Debris Flow for Decision of Location and Scale of the Check Dam)

  • 김기대;우충식;이창우;서준표;강민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6-593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토석류로 발생하는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GIS 기반 사방댐 적정배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평균 계류 폭과 길이를 이용한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방법에 초기 붕괴량과 이에 영향하는 집수길이를 입력인자로 활용하여 토석류로 인해 발생하는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예측 토사유출량과 실제 토사유출량은 평균 1.1배 차이가 나타나 정확도는 비교적 높았다. 또한 구현된 프로그램은 사방댐의 위치 및 규모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실무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사방사업이 매년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통해 산지토사재해 방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utomatic Wood Species Identification of Korean Softwood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Kwon, Ohkyung;Lee, Hyung Gu;Lee, Mi-Rim;Jang, Sujin;Yang, Sang-Yun;Park, Se-Yeong;Choi, In-Gyu;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797-808
    • /
    • 2017
  • Automatic wood species identification systems have enabled fast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wood species outside of specialized laboratories with well-trained experts on wood species identification. Conventional automatic wood species identification systems consist of two major parts: a feature extractor and a classifier. Feature extractors require hand-engineering to obtain optimal features to quantify the content of an imag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hich is one of the Deep Learning methods, trained for wood species can extract intrinsic feature representations and classify them correctly. It usually outperforms classifiers built on top of extracted features with a hand-tuning process. We developed an automatic wood species identification system utilizing CNN models such as LeNet, MiniVGGNet, and their variants. A smartphone camera was used for obtaining macroscopic images of rough sawn surfaces from cross sections of woods. Five Korean softwood species (cedar, cypress, Korean pine, Korean red pine, and larch) were under classification by the CNN models. The highest and most stable CNN model was LeNet3 that is two additional layers added to the original LeNet architecture. The accuracy of species identification by LeNet3 architecture for the five Korean softwood species was 99.3%. The result showed the automatic wood species identification system is sufficiently fast and accurate as well as small to be deploy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목재 및 펄프·제지 분야 한국산업표준(KS)의 운영현황과 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n the Management of the Korean Standards (KS): Woods, Pulp and Papers)

  • 신현경;최용석;김건호;엄창득;박주생;심국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205-21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KS)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참여형 표준운영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목재 및 펄프 제지 산업표준과 관련하여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표준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단계적인 표준 정비방안과 표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림청은 2015년에 목재 및 펄프 제지산업분야 KS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이관 받아 현재는 426종의 관련 표준을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3개 분야 전문위원회(목재 목조건축분야, 목질재료분야, 펄프 제지분야)와 목재 제지 기술심의회를 신설하여 표준의 제 개정 안건을 심의 하도록 하였다. 목재 및 제지 산업분야의 국가표준이 전문 부처에서 관리되는 만큼 기술 경쟁력 향상과 시장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기존 표준의 재정비와 실용적인 표준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 표준 운영에 대한 체계 수립과 전략적인 표준 분석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KS와 국제 표준과의 부합화를 통해 국제 무역에서 표준의 상이성에 따른 기술 장벽이 되지 않도록 하며,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과 표준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육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산림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간의 연관성 분석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SDGs Framework and Forest Policy in Korea)

  • 문주연;김나희;송철호;이슬기;김문일;임철희;차성은;김강선;이우균;손요환;양수길;진새봄;손영모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25-442
    • /
    • 2017
  • This study analysed the linkage between national forest policy in Korea, namely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the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and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7 strategies of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were related to 11 Goals of SDGs, and 5 strategies of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were associated with 7 areas of SDGs, and 4 strategies within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were linked to 7 Goals of SDGs. Among 87 national forest indicators compiled from three respective forest-related policies of Korea, 45 national indicators were related to 18 SDGs indicators. This indicates that 52% of national indicators of Korean forest policy are reflecting the language of SDGs. However, seeing from SDGs perspective, only 18 out of 241, which accounts for 7.8% of SDGs indicators are related to national indicators. The findings imply that a number of national forest-related indicators do not meet the diverse dimension of SDGs which provides potential areas for forest to contribute. Based on the findings,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1) the term used in forest policy should be aligned to SDGs targets so that it can be embedded in national policies, and 2) indicators should be further contextualized as well as in its assessment system. Lastly, it suggests for leveraging 3) '5 Processes of sub-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the core concept of REDD+ MRV which could provide fundamental background for implementing SDGs framework to national forest policy.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세가지 조림작업종(造林作業種)에 따른 천연갱신(天然更新) 양상(樣相) (The Pattern of Natural Regeneration by Three Different Silvicultural Systems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김광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169-178
    • /
    • 1999
  • 이 연구는 세가지 조림작업종(이단림작업, 산벌림작업, 택벌림작업)이 적용된 후 세 번의 생장기간이 경과한 천연활엽수림에서 11가지 주요 유용 활엽수종의 천연갱신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연구 대상 산림의 상층은 신갈나무의 우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많은 수의 갱신 치수가 발생된 고로쇠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상층으로의 약진이 기대되어 미래에는 신갈나무와 더불어 이들 두가지 수종의 상층 구성 비율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갱신 벌채 후 발생한 치수량을 조사한 결과, 이단림에서는 3,145본/ha(상층목의 10배), 산벌림에서는 6,885본/ha(상층목의 9배), 택벌림에서는 2,275본/ha(상층목의 4배)의 치수 발생을 나타냈으며, 수종간 차이가 많았고, 전반적으로 맹아묘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60~80%의 상층 울폐도와 60~70%의 하층 피복률에서 실생묘 발생률이 높았고, $25^{\circ}$ 이하의 경사도와 남서쪽에서 북서쪽에 이르는 사면에서 실생묘 발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수종간 차이가 많았다. 그루터기 직경과 높이가 맹아 발생에 끼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ion Equation for Minimum and Maximum DBH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 강진택;임종수;이선정;문가현;고치웅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6호
    • /
    • pp.23-3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체 국유림에 대한 경영이력 및 경영계획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이 관련 법령(국유림경영계획 작성 및 운영요령)의 변경에 따라, 개정 전에는 평균 흉고직경값만 입력하도록 구축되어 있으나 개정 후에는 평균 흉고직경,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기 구축되어 있는 모든 흉고직경값을 최저·최고 흉고직경값으로 변환할 수 있는 추정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12개 주요 수종에 대한 최저·최고 흉고직경을 자동으로 표기할 수 있는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5~6차(2006~2015년)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의 6,858개 고정표본점 자료를 이용하였다.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식 도출을 위하여 흉고직경, 임령, 수고의 3가지 생장변수를 이용한 흉고직경-임령, 흉고직경-수고의 2가지 추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최저·최고 흉고직경 추정모형은 흉고직경과 수고 변수를 이용한 추정식 Dmin=a+bD+cH, Dmax=a+bD+cH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주요 수종의 최소 최대 흉고직경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샛강 생태복원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의 고찰 (An Analytical Study of Foreign Researches and Examples on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Small Stream)

  • 권태호;박재현;김동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26-37
    • /
    • 2004
  • Most domestic small rivers and stream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managed by concrete structures. The environmental functions of the river and stream are disappearing and urban streams play only the role of drainage systems. Also, the researches to restore natural streams are something yet to develop and not established the restora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a small stream. Therefore the researches are required to develop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to handle various pollutants with restoration for ecological functions of a small stream. To develop this, the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could be developed with ecological conservation. In addition, ecological engineering system for watershe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prior to conserve the habitat of biological resources and water conservation and applied to the original shape of streams. Also, it should be designed to restore the micro-topography of stream, the habitat of plant population in watershed. It is needed to develop the integrated researches to restore a small stream ecosystem.

낙엽송 개벌 임분에서 타워야더를 이용한 전목수확시스템의 작업비용 분석 (Harvesting Productivity and Cost of Whole-Tree Clear Cutting Using a Tower Yarder in a Larix leptolepis Stand)

  • 조민재;조구현;오재헌;한한섭;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07-112
    • /
    • 2014
  • The productivity and cost of clear cutting operations were examined to broaden our knowledge on the harvesting system in a Larix leptolepis stand of Korea. The harvesting system was divided into tree operations which were chainsaw (STIHL MS440) felling, tower yarder (Koller301-4) yarding and harvester (WOODY H50) processing. The average cycle time of felling, yarding and processing were 98 s/cycle, 245 s/cycle and 150 s/cycle. The total stump-to-pile operational productivity was 43.07 $m^3/hr$. The highest production activity was the felling 17.93 $m^3/hr$, followed by the productivity of processing 15.62 $m^3/hr$ and then by the productivity of yarding 9.52 $m^3/hr$. In addition the total stump-to-pile operational cost was 24,086 $won/m^3$. The highest cost activity was the yarding 14,557 $won/m^3$ (60.4% of the total cost), followed by the costs of processing 8,461 $won/m^3$ (35.2%) and then by the costs of felling 1,068 $won/m^3$.

수변구역 산림에 의한 수질정화기능 증진에 관한 고찰 (Investigation on the Enhance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in Forest Watershed)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2-81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 accomplishments with analysis of problems and to suggest the counter plan for the watershed management and the ongoing research strategy. Phytoremediation provides a cost-effective techniques having a merit of low investment and maintenance cost. It could be one of the best techniques, which is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economical situation and lack of experts in our country. In forest watershed affected by waste water and heavy metal pollutants should be controlled by vegetative remediation system, but the disposal techniques of harvested plant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lso, high degree areas of natural vegetation as a key model to recover the vegetation should be well conserved. It is important to restore forest continuity between upper stream and lower stream basin with the restoration of damaged in forest watershed. It is established to integrated protection system for land use and management plan and to natural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s affected by projects such as erosion control and developments in stream and forest. In addition, I suggest the continuous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to treat the pollutions concer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