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Bibliographic Control Cent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노안 독자를 위한 큰글자도서 이용가능성 연구 (Availability of Accessible Large-Print Books for the Readers with Presbyopia in Korea)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1-360
    • /
    • 2015
  • 노령화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본 연구는 노인의 독서 장애요인과 노안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의 독서를 용이하게 만드는 한글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수집 및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유통에 대하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서지리스트와 교보문고의 재고리스트를 기초로 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접근가능한 큰글자도서는 한국도서관협회가 보급한 큰글자도서 리스트와 기존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용가능한 큰글자도서의 유형, 종수와 권수, 출판연도, 주제, 중복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제점을 식별하고 큰글자도서의 서지통정, 수집 확대, 도서관의 노인 독서 진흥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의학도서관 간 외국학술잡지 공동이용의 발전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haring System of Foreign Medical Journal in Medical Libraries in Korea)

  • 송준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91-322
    • /
    • 2002
  • 한국의 의학도서관늘은 학술잡지 공동이용을 위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를 주축으로 1969년부터 상호대차를 활발하게 진행해 왔다. 의학정보에 대한 종합데이터베이스는 서지통정기관이 없는 설정이어서 자료 공동이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분담수서는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술잡지의 공동이용체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외 의학관련 정보기관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의학연구자와 현장 의학사서에게 보낸 설룬지극 토대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1년 간의 MEDLIS운영결과 자료를 토대로 학술잡지 중 복구독현황, 상호대차 현황, 시스템운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학술잡지 공동이용의 발전 방안을 설계하였다. 학술잡지 공동이용체제 확립을 위해 한국에 의학전문정보센터를 설립하고 산하에 전국의 8개 지역센터를 두고,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1차 분담수서를 계획하고, 2차로 전국적인 분담수서를 계획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상호대차요구의 집중화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신청되는 요구는 1차로 지역센터에서 처리하고, 해당지역에 소장되지 않은 자료는 2차로 전극지역으로 단계적으로 신청하는 체제로 설계하였다.

  • PDF

고문헌의 디지털화 성과 연구 (A Study of Digitalization Performance of Sinological Resource in Korea)

  • 조형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91-413
    • /
    • 2006
  • 한국의 주요 고문헌 기관과 이들 기관이 소장한 고문헌이 디지털화 된 진도와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고문헌을 이용하기 위한 연합조직을 검토하였다. 국가의 고문헌 디지털화를 위한 정책과 향후계획을 파악하였다. 고문헌의 디지털화를 위한 절차와 필요조건을 제안하였다. (1) 1980년대에 추진하기 시작한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문도서관 등의 도서관 관리 검색 이용 시스템의 디지털화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문헌의 소장량은 상당히 많고 내용적 가치도 높다. 일부 디지털화 된 자료는 이미 Internet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고문헌의 디지털화 된 수준은 아직도 궤도에 오르지 못한 상태로 분발이 요구된다. (2) 이미 제공되고 있는 디지털 고문헌의 Data Base는 목록정보 DB 목차와 해제정보 DB 전문정보 DB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외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그 수량은 본문의 서술과 같다. (3) 디지털 고문헌의 유형은 고서 고문서 Micro 책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4) 디지털 고문헌 DB의 입력 방법은 Text Image PDF 형태 등이다. (5) 고문헌의 연합조직을 구축하여 중복 투자를 피하고 봉사 효율을 높이고 있다. 고문헌의 이상적인 디지털화를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고문헌 디지털화 업무의 통정기구를 조직하여, 일정한 수준의 권한을 부여하고 종합적 계획을 수립한 후 추진하여야 한다. (2) 장단기 계획을 세워서 여러 디지털화 업무의 성격을 분석하고, 점진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3) 고문헌 자료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DB를 구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