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rative Analysis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8초

애니메이션 서사구조 비교연구 -문화기호학의 관점에서- (A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e of Animation Narrative -in the view of cultural semiology-)

  • 권경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4-148
    • /
    • 2005
  • 최근 디지털 환경의 발전으로 서사의 중요성이나 가치에 대해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서사분석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미흡한 단계에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일본의 <아니메>와 미국 디즈니 애니메이션, 단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품에 대해 상호비교의 관점이 아닌 각각의 작품에 대한 개별적인 서사분석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고맥락 문화의 대표국인 중국과 저맥락 문화의 대표국인 미국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가운데 동일한 테마의 작품인 <뮬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문화적 맥락이 다른 두 나라의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서사적 특성을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내러티브 관점에서의 과학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 과천과학관의 자연사 및 전통과학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A Research of Exhibition Narrative Oriented Space Analysis of Science Museum - Based on Exhibition Space of Gwachun National Science Museum)

  • 김성진;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08-116
    • /
    • 2014
  • This study is based on the arguments of Sofia Sarah and concept of 'Sequence Narrative' of Nigel Coates, the founder of Nato.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narrative exhibition space will affect the engagement of view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method of analyzing a science museum's exhibition space was presented us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following attributes of visuals: sequence of viewing; spatial tension; spatial pa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erms of 'spatial tension', the exhibiton space with the following progression was more likely to provide viewers with in-depth experience: 'raise of tension' - 'change of pace' - detente.' Although the limited sample doesn't lead to verification of the analysis method and conclusion of its significance, the following was clearly revealed: Exhibiton space that utilizes the structure and attributes of a narrative that provides progression and dramatic tension, as if the viewers were watching a film, is more likely to offer in-depth experience than other spaces. In terms of 'phase transition', the following was revealed: Pace variation around the space with the strongest spatial tension could affect the concentration and engagement of viewers. It suggests the following fact: Spatial rhythm and speed variation in the area with the strongest visual emphasis encourage viewers to feel the spatial changes, maintain their concentration, and continue their viewing.

공포게임의 서사적 요소로서의 공간 분석 (An analysis of the Space as a Narrative Element in the Horror Game)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6-12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공포게임을 사용자에게 공포의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최소의 목적을 달성하는 게임의 장르로 규정하고, 기존의 실험적 연구의 한계를 넘어 무엇이 사용자에게 공포의 반응을 일으키는 요소인지 연구하기 위해 서사 요소를 분석하였다. 서사 요소의 분석은 공포게임 안에 어떠한 문법이 작동하는가를 밝힘으로서 내용적 요소를 볼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이전에 공포라는 장르를 형성하게 한 고딕 호러 소설 장르로부터 공포의 요소들을 분리하여 이 서사적 요소들이 실제 공포게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변용되어 나타나는가를 보았다. 이를 위해 코나미 사의 <사일런트 힐> 시리즈를 주요 대상으로 삼아, 게임적 특성인 공간과 서사요소가 어떻게 변용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가 향후 공포게임이라는 특수한 장르의 게임뿐 아니라 게임 안에서의 공간과 서사 요소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화 대사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감정과 서사간의 상관성 연구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and Emotions Displayed by Movie Characters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Dialogues in a Movie)

  • 유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5-107
    • /
    • 2013
  • 영화의 언어적 요소인 대사(dialogue)는 영화의 서사 전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스토리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상 영화 분석의 초점은 주로 영상에 맞추어져 있었고, 대사는 평가절하되거나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영화 연구에서 부차적이고 주변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던 대사가 서사의 진행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고, 대사가 영화에서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를 위해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표출된 감정 표현(emotion expressions)들을 대사로부터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긍정과 부정으로 극성 분류를 한 후, 감정 표현들의 비율이 어떻게 서사와 연관성을 갖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요실금 여성노인의 생애이야기-내러티브 분석적 접근 (The Life Stories of Elderly Korea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A Narrative Study Approach)

  • 이봉숙;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37-24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urinary incontinence (UI) for elderly Korean women using a narrative approach.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5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who had UI for at least 1 yr. The narratives of the life stories of these women were analyzed from the actor’s perspective, motivation and purpose of actions, and action toward goal achievement. Also the narratives on UI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gnition, behavior, and evaluation of UI. Results: Three major types of the life st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First, the conquest narrative type reflects active characteristics of narrators within the circumstanc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Second, the patience narrative is characterized as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lf determination for goal achievement and the boundary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Lastly, the compliance narrative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narrators who easily adapt their way of life to circumstances. In terms of UI, the narrators in all three types lacked awareness of UI as an illness condition. Three different reasons are specifical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typ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oncept and the illness behaviors related to UI in elderly Korean women with UI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women's lives within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정보적 과학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내용 이해도와 인식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Content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by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al Science Texts)

  • 임희준;김연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526-53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s of texts, which were narrative and expository, on the understanding of content.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wo types of the text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contents, test scores of mind-mapping, closed-answer question, and essay test were used. The analyses of mind-mapping tests showed narrative text was more effective to figure out main concepts of the text throughout the mind-mapping test. But expository text was more effective i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the concepts. In the closed-answer questions and essay test, narrative text was more effective than expository text. However when the contents of text were difficult and complex,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texts. The analyses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exts showed that narrative texts were preferred. Students perceived that the narrative text was more interesting and familiar. However, the perceptions of helpful text for their science learning were not different by the types of texts.

  • PDF

한국 5세 아동의 이야기 완성과제에 대한 나레이티브 반응 경향성 (Profiles of Story Stem Narrative Reponses in 5 Year-Old Korean Children)

  • 이영;민현숙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93-210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the common response profiles in the narrative stories of typically developing 5 year-old Korean Children. Fourteen story stems from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 Bretherton, Oppenheim, & the MacArthur Story Stem Network, 1990) were administered to 156(85 boys and 71 girls) children recruited from 8 Kindergartens in the Seoul and Gyung-gi areas. The children's responses were aggregated into 5 dimensions, based on content themes and performance scores which included emotions expressed and narrative coherence using the MacArthur Narrative Coding System (Robinson, Mantz-Simmions, Macfie, &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 2004).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luster analysis. 5 response profiles emerged over the course of this research : Prosocial, Anxiety, Dysregulated aggression, Anxious/Avoidance, and Avoidance profiles. When 14 story stems were grouped into 3 story contexts (stories included interpersonal conflicts, moral conflicts, and empathy) and were analyz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tory contexts, 3 common profiles (a Prosocial profile, a Constrained profile and an Anxiety profile) emerged across the story contexts, however, there were additional, unique profiles for each of the story contexts.

유아의 나레이티브 반응 프로파일 유형별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 (The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by Narrative Responses Profile Typ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 민현숙;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1-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and preschoolers' story stem narrative response. Eighty two 4-year-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translated evaluation tools: Emotional Availability Scales(EA, 3rd edition) designed by Biringen and colleagues(1998) to examine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her child, and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MSSB) developed by Bretherton and colleagues with the MacArthur Narrative Group(1990) to measure preschoolers' narrative responses.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were preformed descriptive,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4 clusters of the narrative responses of 4-year-old preschoolers were prosocial story tellers, avoidant/dysregulated story tellers, constrained story tellers, and anxious story tellers. Second, the preschoolers in the prosocial cluster showed a high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and the preschoolers in the avoidant/dysregulated cluster showed a low level of mother-child emotional availability.

독자의 내러티브 이해를 반영한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 (Designing a Writing Support System Based on Narrative Comprehension of Readers)

  • 권호창;권혁태;윤완철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3-31
    • /
    • 2014
  • 작가의 내러티브 창작을 지원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은 일반적으로 작가가 생산하고 필요로 하는 정보의 관리와 상업적 성공을 거둔 내러티브 텍스트에 대한 분석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내러티브 창작 과정에서의 독자의 적극적 역할이 간과된다. 작가는 독자의 반응이나 기대를 예상하여, 이를 충족시키거나 배반하면서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사건 전개에 따른 독자의 이해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작가의 활동은 내러티브 전체의 미학적 완성도와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내러티브 구조 모델과 인지과학의 '사건 색인 상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독자의 이해와 관련된 내러티브의 다차원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먼저 사건을 기본 단위로 하여 그 속성을 설정하고 내러티브의 두 시간축에 유기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실제 영화의 내러티브에 적용하여 전체 구조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독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모델 차원들의 연속성을 시각화하는 방안과 정보처리 요구량으로써 인지적 복잡도를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영화에 대해 시각화한 결과를 내러티브의 특성과 작가 지원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의 모자이크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Mosaic Image of Animation )

  • 이지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465-491
    • /
    • 2017
  • 본고는 카툰의 외양적 모습을 충실하게 따르는 애니메이션 <플랫 라이프>를 분석하고, 그 외양의 뒤편에 숨겨진 주제와 서사의 방식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목표로 삼은 연구논문이다. 이 과정에서 모자이크 영상의 내용 전달 방식을 이용해서 <플랫 라이프>가 말하고 있는 주제를 분석한다. 카툰의 서사는 일반적으로 양태적인 부분에서 그 차이점을 논하는 것이 대다수이지만, 이 작품은 나아가 일반 내러티브 영화의 선형적 서사에 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자넷 머레이가 설명하듯, 모자이크적 사고방식(mosaic approach)을 통해 모자이크적 접근방식으로 주제에 다가가는 영상 이미지를 '모자이크 영상'이라 칭한다면, 그들 중 영화(film)의 포맷으로 소개되는 작품을 '모자이크 영화'라고 한정시킬 수 있다. 우선 <플랫 라이프>는 개념적으로 '모자이크 영상'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나아가 '모자이크 영화'의 서사 특징을 활용하는 작품이다. 작품을 분기별로 분석하면, 전반부가 개방된 모자이크 영상 플랫폼의 성향을 한껏 드러내고, 후반부는 영화서사의 선형적 내러티브 방식을 도입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고는 '멀티 플롯 필름'의 서사 방식을 모자이크 내러티브(mosaic narrative) 영화와, 네트워크 내러티브(network narrative) 영화, 그리고 멀티 드래프트 필름(multi-draft film)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병렬되거나 병치되는 이야기가 함께 엮이는 '네트워크 내러티브 필름'의 서사가 <플랫 라이프>의 결말부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한다. 다시 말해, 초반부가 '앙상블 필름의 확장판'으로서 '모자이크 내러티브' 를 따른다면, 후반부는 충실하게 '네트워크 내러티브'를 따르는 것이다. 주제를 말하는 방식에서도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모자이크 영상의 말하기 방식을 활용한다. 그러므로 카툰의 양태적 성향을 따라서 개방적인 방식으로 '유머' 나 '풍자'의 의미를 도출해낸다고 말할 수 있다. 전반부의 모자이크 내러티브 방식에서 다소 모호한 일상성이 드러난다면, 후반부에서는 선형 서사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인간 이기심의 실체'라는 다소 심도 있는 주제로 나아간다. 이렇듯 풍자화의 외향을 지닌 <플랫라이프>는 실제로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사회비판적인 목표를 바라보는 애니메이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