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leakag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에 관한 연구 (The Nanoleakage Patterns of Different Dentin Adhesive Systems)

  • Lee, Tae-Yeon;Cho, Byeong-Hoon;Son, Ho-Hyu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2호
    • /
    • pp.169-177
    • /
    • 2003
  • 본 연구는 total etching (Scotchbond Multi-Purpose; MP) 및 self-etching (Clearfil SE Bond; SE 과 Prompt L-pop LP)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을 관찰하고 열순환 후의 nanoleakage 양상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30개의 발거된 치아의 교합면 및 협, 설측 법랑질을 제거하였다. 열 순환 시행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 도포 후 Z-250으로 교합면을 수복하였다. Silver nitrate용액 및 현상액에 침적 후치아의 협설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단하여 SEM으로 관찰하였다. 서로 다른 양상의 nanoleakage가 관찰되었다. MP의 경우는 resin tag 주위로 뚜렷한 은의 침착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혼합층 전체 두께에 띠 및 점상으로 흩어져 침착된 은을 관찰 할 수 있었다. SE의 경우는 혼합층의 하층을 따라 은으로 침착된 선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혼합층과 adhesive 경계를 따라 무정형의 은 침착물 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LP의 경우는 혼합층의 하부 및 혼합층 내에 띠 모양으로 은의 침착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혼합층의 하부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혼합층의 내부에서만 관찰되는 경우도 있었다. 열순환을 시행한 군에서는 전반적 nanoleakage 양상은 열 순환을 시행하지 않은 군과 유사하였으나 은 침착의 증가를 관찰 할 수 있었다.

Load cycling에 따른 소수성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 (The nanoleakage patterns of experimental hydrophobic adhesives after load cycling)

  • 손서진;장주혜;강석호;유현미;조병훈;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9-1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와 전통적인 3-step 상아질 접착제의 nanoleakage 양상을 load cycling 전, 후에 비교하여 상아질 접착제의 내구성을 예측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가지 실험용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 즉, 에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만들었다. 대구치 30개의 치관부 3분의 1을 절단하고 임의로 3군으로 나누어 각각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 및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으로 치관부를 수복하였다. 각각의 접착 시스템을 Load cycling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아를 접착 계면에 수직으로, 약 2.0 mm의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치아마다 2개의 시편을 얻어 각 군 당10개의 시편을 얻었다. 시편을 50 % ammoniacal silver nitrate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혼성층의 nanoleakage를 관찰하였다. 은 침착의 분포는 image analysis software (Scion Image Beta 4.03, Scion Corp., Frederick, MD, USA)를 이용하여 gray value로 계산하였고 이 원분산 분석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3종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모두 nanoleakage가 관찰되었으나, 에탄올 포함 상아질 접착제와 메탄을 포함 상아질 접착제에서 Scotchbond Multi-Purpose 보다 적은 양의 nanoleakage 가 관찰되었다 (p < .0001). 각각의 상아질 접착제에서 load cycling에 따른 nanoleakage 양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친수성기를 줄이고 소수성기를 극대화 한 실험용 상아질 접착제가 접착 계면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irrigation protocols on smear layer removal,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of fiber posts using a self-adhesive resin cement

  • Rodrigo Stadler Alessi;Renata Terumi Jitumori ;Bruna Fortes Bittencourt;Giovana Mongruel Gomes ;Joao Carlos Gomes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3호
    • /
    • pp.28.1-28.13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2% chlorhexidine (CHX) and its influence on the adhesion of fiberglass posts cemented with a self-adhesive resin cement. Materials and Methods: Sixty human mandibular premolars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divided into 5 groups (n = 12), according to the canal irrigant and its application method: 2 groups with conventional syringe irrigation (CSI)-2.5% sodium hypochlorite (NaOCl) (control) and 2% CHX- and 3 groups with 2% CHX irrigation/activation-by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Easy Clean file, and XP-Endo Finisher file. Two roots per group were evaluated for smear layer (SL) removal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other roots, fiber posts were luted using a self-adhesive resin cement. The roots were sectioned into 6 slices for push-out bond strength (BS) (7/group) and nanoleakage (NL) (3/group). Data from SL removal were submitted to Kruskal-Wallis and Student-Newman-Keuls tests (α = 0.05). Data from BS and NL were evaluated by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s test (α = 0.05). Results: For SL removal and BS, the CHX irrigation/activation promoted better values than CSI with CHX (p < 0.05),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SI with NaOCl (p > 0.05). For NL, the lowest values were obtained by the chlorhexidine irrigation/activation groups (p < 0.05). Conclusions: Active 2% CHX irrigation can be used to improve the post space cleaning and adhesion before fiber post cementation with self-adhesive resin cements.

Nanoleakage of apical sealing using a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according to canal drying methods

  • Yoon-Joo Lee;Kyung-Mo Cho;Se-Hee Park;Yoon Lee;Jin-Woo K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9권2호
    • /
    • pp.20.1-20.13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noleakage of root canal obturations using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according to different dry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wo extracted mandibular premolars with a single root canal and straight roo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fter canal preparation with a nickel-titanium rotary file system, th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canal drying methods (1: complete drying, 2: blot drying/distilled water, 3: blot drying/NaOCl, 4: aspiration only). The root canals were obturated using a single-cone filling technique with a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Nanoleakage was evaluated using a nanoflow device after 24 hours, 1 week, and 1 month. Data were collected twice per second at the nanoscale and measured in nanoliters per secon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tests (p < 0.05). Results: The mean flow rate measured after 24 hours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the time periods in all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between 1 week and 1 month was not significant. The mean flow rate of the complete drying group was the highest at all time points. After 1 month, the mean flow rate in the blot drying group and the aspiration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canal drying meth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kage and sealing ability in root canal obturations using a calcium silicate-based sealer. Thus, a proper drying procedure is critical in endodontic treatment.

Collagenase와 esterase가 상아질 접착강도와 nanoleakag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 정영정;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김영재;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9-398
    • /
    • 2008
  •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계면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접착강도와 극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발치된 치아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SB)와 Clearfil SE bond(SE)를 사용하여 상아질-레진 접착시편을 제작하고, 시편을 인산완충용액(PBS)에 24시간(I), 또는 PBS(II), collagenase 용액(III), esterase 용액(IV)에 4주간 보관 한 후 질산은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시편의 미세인장접착강도(${\mu}TBS$)와 질산은 침투 면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B군의 접착강도가 $II{\sim}IV$군에서 SE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SB군은 $II{\sim}IV$군의 접착강도가 I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나(p<0.05), SE군의 접착강도는 $I{\sim}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SB군의 질산은 침투 면적이 SE군에 비해 높았으며(p<0.05), SB군과 SE군에서 질산은 침투 면적은 $I{\sim}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접착강도와 질산은 침투 면적은 SE군의 I, II, III군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 PDF

Effects of dentin surface preparations on bonding of self-etching adhesives under simulated pulpal pressure

  • Chantima Siriporananon;Pisol Senawongse;Vanthana Sattabanasuk;Natchalee Srimaneekarn;Hidehiko Sano;Pipop Saikaew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1호
    • /
    • pp.4.1-4.13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mear layer preparations on the dentin permeability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µTBS) of 2 self-etching adhesives (Clearfil SE Bond [CSE] and Clearfil Tri-S Bond Universal [CTS]) under dynamic pulpal pressure. Materials and Methods: Human third molars were cut into crown segments. The dentin surfaces were prepared using 4 armamentaria: 600-grit SiC paper, coarse diamond burs, superfine diamond burs, and carbide burs. The pulp chamber of each crown segment was connected to a dynamic intra-pulpal pressure simulation apparatus, and the permeability test was done under a pressure of 15 cmH2O. The relative permeability (%P) was evaluated on the smear layer-covered and bonded dentin surfaces. The teeth were bonded to either of the adhesives under pulpal pressure simulation, and cut into sticks after 24 hours water storage for the µTBS test. The resin-dentin interface and nanoleakag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done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tests. Results: Only the method of surface prepa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meability (p < 0.05). The smear layers created by the carbide and superfine diamond burs yielded the lowest permeability. CSE demonstrated a higher µTBS, with these values in the superfine diamond and carbide bur groups being the highest. Microscopic evaluation of the resin-dentin interface revealed nanoleakage in the coarse diamond bur and SiC paper groups for both adhesives. Conclusions: Superfine diamond and carbide burs can be recommended for dentin preparation with the use of 2-step CSE.

중간층 레진 적용이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a resin layer on dentin bonding using single-step adhesives)

  • 최승모;박상혁;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13-326
    • /
    • 2007
  • 본 연구는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 사이에는 부적합성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 레진층이 필요하다는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발치된 치아의 협설측 상아질에 3종의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광중합, 2종의 중간 레진층 적용,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사용여부에 따라 30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접착계면에서의 미세 누출과 수분의 이동경로를 관찰하여 접착제의 투과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간 레진층을 적용 시 접착층의 투과도가 감소되었고 복합레진에 대한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시간 절약 및 간단한 접착과정을 선호하여 단순화된 상아질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접착레진의 부가도포가 레진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Bonding Resin on Bond Strength of Dual-Cure Resin Cements)

  • 김덕수;박상혁;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26-43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접착레진의 부가적인 도포가 레진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One-Step Plus와 Choice, Single Bond와 Rely X ARC, One-Up Bond F와 Bistite II DC를 사용하였고 접착레진으로 D/E Bonding resin과 Pre-Bond Resin을 선택하였다. 적용 및 광중합 유무에 따라 12개의 군을 설정하였다. 제 3대구치의 건전한 상아질 면에 간접 복합레진 수복물을 제작하여 접착을 시행하고$1\;{\times}\;1\;mm^2$의 시편을 만들어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접착계면을 관찰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Single Bond와 Rely X ARC, 그리고 One-Step Plus와 Choice를 조합하고 광중합을 시행한 군에서, 접착 레진을 부가적으로 도포할 경우 미세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2. One-Up Bond F와 Bistite II DC를 조합한 군에서 접착레진의 부가적인 도포에 의한 미세인장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광중합을 시행한 군들 중, One-Step Plus와 Choice를 조합한 군이 다른 군보다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 4. 자가중합만을 시행한 군간에는 접착레진의 부가적인 도포에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여 광중합을 시행하고 접착레진을 부가적으로 도포한 실험군에서 미세누출이 감소하고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완전산부식 상아질 접착제와 이중중합 레진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부가적인 접착레진의 도포가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