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haedo Islan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 남해도 해역의 태형동물에 관한 분류 (Taxonomy of the Marine Bryozoans from Namhaedo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 Ji Eun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415-424
    • /
    • 1998
  • 남해도와 인근해의 해산 태형동물 27종을 보고하며, 이중에서 줄항아리이끼벌레(Hippothoa distans)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이들 중 23종은 제주도 해역에도 분포하는 종이고 10종은 동해에도 분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남해도의 태형동물 분포상이 쓰시마난류와 북한한류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우리나라 남해도에서 채집된 실고기과 한국 첫기록종, Hippichthys penicillus (First Record of the Beady Pipefish, Hippichthys penicillus (Gasterosteiformes: Syngnathidae) from Namhaedo Island, Korea)

  • 조현근;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6-201
    • /
    • 2021
  • 인도-서태평양산 실고기, Hippichthys penicillus 1개체(표준체장 124.5 mm)가 우리나라 남해도의 동대만으로 유입되는 소하천 하구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본 종은 주둥이가 비교적 길며, 직선형의 몸통 측면 융기선이 꼬리 융기선과 연결되지 않고 항문 앞에서 끊기는 점 등에서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본종의 신한국명으로 '흰점실고기'를 제안한다.

The Spider Fauna of Namhaedo Island, Korea

  • Kim, Joo-Pil;Jang, Dae-Chang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9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77.2-77
    • /
    • 1999
  • No Abstract, See Full Text

  • PDF

남해분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Saussurea namhaedoana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Namhaedo Island, Korea)

  • 선은미;윤선아;김승철;정재민;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7-101
    • /
    • 2022
  •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S. gracilis), 함백취(S. albifolia), 서울분취(S. seoulensis), 백운취(S. insularis)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이다.

남해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in the Subtidal Region off the Namhaedo Island, South Coast of Korea)

  • 임현식;최진우;최상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1호
    • /
    • pp.11-23
    • /
    • 2016
  • 남해도 남측 해역의 연성기질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의 4계절 동안 정점당 2회씩의 grab(표면적 $0.1m^2$) 채집이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총 247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밀도는 1,027개체/$m^2$, 평균 생체량은 $148.7g/m^2$이었다. 다모류가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에서 우점한 분류군이었으며, 각각 37%를 점유하였다. 반면 생체량 우점 분류군은 극피동물로서 전체 생물량의 44%를 점유하였다. 출현종수는 봄철에 가장 적었으며 겨울철에 가장 많았다. 서식밀도는 가을철이 가장 낮았으나 봄철에 가장 높았다. 육지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외해역으로 나가면서 밀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최우점종은 소형 옆새우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였으며, 봄철에 네 번째 우점종으로 출현한 것을 제외하고 가장 밀도가 높았다. 이 종은 주로 남해도 앞 외해역에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으나 광양만 입구역이나 사량만 입구역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들 내만 해역의 입구에서는 이매패류인 Theora fragilis와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여 우점종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시프린스호 유류사고 이후 광양만 입구부터 외측까지 높은 밀도로 출현한 Tharyx sp.는 이번 조사에서는 4계절 중 어느 계절에서도 해당 정점 주변에서 출현하지 않았다. Bio-Env 분석결과 저서동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소는 퇴적물의 분급과 저층수온의 조합이었으며, 집괴분석 결과 내만해역, 외해역, 중간해역 등의 5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SIMPER 분석 결과 각 정점군에는 유기오염 지표종인 T. fragilis가 공통적으로 기여하였으며, Magelona japonica, E. sechellensis, L. longifolia, Paraprionospio cordifolia 등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서오염지수(BPI) 값에 의한 저서군집 건강도 평가 결과 광양만 입구 및 사량만 인접 정점에서는 약간오염 상태였으나 남해도 외해역의 정점에서는 정상상태였다. 따라서 남해도 남측 해역은 유기물 오염영향을 다소 받는 연안역과 상대적으로 양호한 외해역으로 구분되며 지속적인 저서생태계 감시가 요구된다.

Two New Marine Psammocinian Sponges (Demospongiae: Dictyoceratida: Irciniidae) from Korea

  • Lee, Kyung-Jin;Sim, Chung-J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39-143
    • /
    • 2004
  •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Psammocinia (Dictyoceratida, Irciniidae), P. conulosa n. sp. and P. ulleungensis n. sp., are described from Namhaedo Island and Ulleungdo Island, Korea. Psammocinia conulosa n. sp. seems to be close to both P. amodes Cook and Bergquist, 1998 and P. hawere Cook and Bergquist, 1996 on the basis of the skeletal structure. However, these three species are clearly separated by the following differences: Shape of P. amodes is spatulate and thin, with a broad blade narrowing to a semi-cylindrical stalk; P. hawere forms cups with a shallow excavated bowl, and attached to the substratum by a narrow base. The whole surface of the new species is very finely conulose. Psammocinia ulleungensis n. sp. is similar to P. gageoensis Sim and Lee, 2001 in shape, but this specie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P. gageoensis by the simple skeletal structure.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을 이용하여 2019년 남해도 해역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적조의 조기검출 (Early Detec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Dinophyceae) Blooms in Namhaedo in 2019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 박태규;김진주;송선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4-680
    • /
    • 2020
  • 적조가 처음 시작되는 해역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을 경남해역 적조현장에 활용하였다. 2019년 경남해역을 대상으로 Cochlodinium polykrikoides를 qPCR로 정량분석한 결과, 6월 초에 저밀도로(0.0015~0.0058 cells mL-1) 검출되기 시작하여 8월 중순에는 최대 0.163 cells mL-1 밀도로 증가하였고, 주로 남해도 주변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8월 말에는 현미경 검경으로 남해도 주변에서 높게 출현함이 확인되었고(최대 24 cells mL-1), 9월 2일에는 남해도에서 적조주의보가 발령되었고(최대 200 cells mL-1), 9월 1일에는 최대 12,000 cells mL-1까지 남해도 해역에서 발생하였다. 위 결과는 극미량의 C. polykrikoides이 적조발생 전에 남해도에서 검출되었고 이후 같은 해역에서 적조가 발생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qPCR이 극미량의 C. polykrikoides을 조기검출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First Zoeal Stage of Camptandrium sexdentatum (Crustacea: Decapoda: Camptandriidae)

  • Park, Jay Hee;Ko, Hyu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4호
    • /
    • pp.235-239
    • /
    • 2014
  • The first zoea of Camptandrium sexdentatum i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with a digital image of live zoeas. An ovigerous crab of C. sexdentatum was collected at the muddy sand flat in Namhaedo Island on 2 June 2012 and hatched in the laboratory on 6 June 2012. In Camptandriidae, the first zoea of C. sexdentatum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zoeas of Cleistostoma dilatatum and Deiratonotus cristatum by having no dorsal and lateral carapace spines, an abdomen significantly broadened posteriorly, and a subovoid telson without forks. Especially, the finding of a subovoid telson without forks is the first report in brachyuran zoeas.

New Records of Marine Algae from Korea II

  • Oak, Jung-Hyun;Keum, Yeon-Shim;Hwang, Mi-Sook;Oh, Yoon-Sik
    • ALGAE
    • /
    • 제20권3호
    • /
    • pp.177-181
    • /
    • 2005
  • Two species of marine algae, Fauchea spinulosa Okamura et Segawa (Rhodymeniaceae, Rhodophyceae) and Stictyosiphon soriferus (Reinke) Rosenvinge (Chodariaceae, Phaeophyceae) were newly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and Cheju Island of Korea. Fauchea spinulosa was collected from subtidal zone in the insular region of the southern coast. Plants were erect from the discoidal holdfast with short stipe, pinkish to deep red, cartilageneous, dichotomously and flabellately branched, and 10-15 cm high, 5-15 mm broad. Tetrasporangia are cruciately divided and nemathecia occurred on a side of the branches. Cystocarps were mostly coronate in marginal area and spermatangia were scattered on both sides of branches. Stictyosiphon soriferus commonly occurs on muddy and sandy intertidal flat of Namhaedo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Plants are epilithic, light brown, terete, 3-5 cm high, and branched heavily in irregular or alternate manner, arising from a small holdfast with rhizoidal clumps. Plurilocular sporangia were scattered in patches and slightly swollen above the cortex of the whole filament. Unilocular sporangia were not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