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che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경상남천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판정 (Biiolog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from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Kyungsan)

  • Suh, Younbg Hee;Sang Ock Park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46-53
    • /
    • 1990
  • Analyzing the water quality biologically by the biotic index ($\beta$) of Beck-Tsuda method, for four sites of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which reaches a length of 19.5km and flows through the kyungsan-town and Namcheon-myun in Kyungsan-gun of the suburbs of Taegu and extends to the Gumho-river on the low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n indicator species collected from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comprises 78 species. Among them, 27 species are intolerant species and 51 species are tolerant species to water pollution. 2) The water of 2 sites, Weondong-bridge, Sanjeon-iron bridge was clearly water, oligosaprobic zone. The water of Youngdae-bridge was slightly polluted water, $\beta$-measosaprobic zone. But the water of Maehoildong bridge was severely polluted water, polysaprobic zone. 3) The Namcheon River was mainly polluted with sewage from the kyungsan town, with industrial wastes and products from many factories surviving the town. 4) The pH wate system of Namcheon River was alkalescent. 5) The map showing a class of water quality analyzed biologically was also prepared for each site of the water system of Namcheon River, Kyungsan. 6) It is requested that a waste water disposal plant should be established near Youngdae-bridge and Maehoildong-bridge respectively.

  • PDF

지류의 수질이 금호강 본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Branches on Kumho River's Water Quality)

  • 양득석;배헌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245-1253
    • /
    • 2012
  • In this study, how branches of Kumho River affect to the water quality on Kumho River was investigated. Water samples from six sampling points at Kumho River and three at each branch were taken from Dec. 2009 to Dec. 2011. As results, Namcheon affected BOD and T-P concentrations on Kumho River while Sincheon did only T-P concentrations. However, the water quality of Kumho River was improved because of Sincheon in terms of BOD and COD concentrations. This was the results from management of Sincheo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Jisa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hich might be the best example for managing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Dalsecheon would not affect the water quality of Kumho River although it had bad conditions of water quality because of lack of its water quantity comparing to Kumho River's.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 Hong, EuiJeong;Kim, Youngjin;Jeong, Jong-Chul;Kang, Seung-Ho;Jung, Jong-Kook;Suk, Sang-W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4호
    • /
    • pp.125-131
    • /
    • 2017
  • The ground beetles collect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were nine subfamilies, 24 genera, 51 species, and 3504 ground beetles. Species richness was high in Pterostichinae has 24 species (47%), Harpalinae nine species (17.6%), Carabinae six species (11.8%), and Lebiinae three species (5.9%). Overall dominant species was Synuchus agonus, and dominance index was 0.361. Synuchus agonus was investigated as the dominant species in both Namcheon Valley and Geumseon Valley. Regarding subdominant species, it was Synuchus nitidus (52 individuals, 12.6%) and Synuchus cycloderus (52 individuals, 12.6%) in the order in Namcheon Valley, and it was Pterostichus orientalis orientalis (660 individuals, 21.3%) and Pterostichus audax (378 individuals, 12.2%) in the order in Geumseon Valley. Total species diversity index of ground beetles in Sobaeksan National Park was 2.917. By area, the number of collected ground beetles was smaller in Namcheon Valley than in Geumseon Valley. Sobaeksan National Park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northern and southern parts in Korea and is a very important place in terms of geography and climate. Sobaeksan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and its ecosystem is relatively preserved well. If continuous investigation of basic data for ground beetles is conducted through long-term monitoring, the data can be used as key data to research mutual relationship with organisms, effects by climate change, and ecosystem change depending on human activities.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한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Aflatoxin 생성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 in Various Varieties of Soybeans)

  • 박건영;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1
    • /
    • 1985
  • 한국산 6종의 대두품종 봉의, 황금, 장백, 단엽, 장엽 및 남천을 선정하고 Aspergillus parasiticus NR-RL 2999의 접종량을 다르게 하여($10^2$$10^6$) aflatoxin 생성을 검토하였다. 균접종량이 적었을 때$(10^2)$ 대두품종간의 AF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남천은 봉의의 7배 정도의 AF $B_1$을 생성하였으며, 봉의와 황금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 (p<0.05)을 생성하였다. 한편 장엽은 가장 많은 양의 $AF\;G_1$ (p<0.05)을 생성하였고, 남천과 장엽은 $AF\;B_1+G_1$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품종이었으며, 이들은 비교군으로 쓰인 쌀보다 70배 정도의 AF을 생성하였다. 소립(小粒) 대두인 단엽과 장백은 $AF\;B_1/G_1$율이 높은 반면 대립(大粒) 대두인 봉의 황금 및 장엽은 낮은 $AF\;B_1/G_1$율을 나타내었다. 균 접종량이 많았을 때는$(10^6)$ $10^2$ 때보다 소량의 AF이 생성되었는데 남천이 가장 적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으나 황금은 가장 많은 량의 $AF\;B_1$을 생성하였다(p<0.05). $AF\;G_1$에 있어서는 황금을 제외하고는 생성량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경우 AF 생성은 비교군 쌀에서 보다 적은 량이 생성되었다.

  • PDF

주변 수계에서 미생물유래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in the waterfront environments)

  • 배영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16-923
    • /
    • 2022
  • 창원시의 3개 지점(남천, 창원천, 청운지)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한 시료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DNA와 class A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ESBL) 유전자 5가지(blaOXA-1, blaSHV, blaTEM, blaCTX-M-1, blaCTX-M-9)를 target으로 하는 primers를 사용하여 quantitative PCR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지점별로 ESBL 유전자들의 수와 비율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천의 경우 DNA 30ng당 ESBL 유전자가 1.93×106 copy나 존재하는 데에 반해 창원천의 경우에는 1.47×105 copy 그리고 청운지에는 9.5×103 copy 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흐르는 하천인 남천과 창원천에서는 각 ESBL 유전자들의 비율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즉, 남천에서는 blaOXA-1 유전자가 65.3%, blaCTX-M-1 유전자가 33.6%를 차지하여서 이 두 유전자가 전체 ESBL 유전자의 99%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었다. 창원천에서도 blaOXA-1 유전자가 64.1%, blaCTX-M-1 유전자가 19.1%를 차지하므로 이 두 유전자가 전체의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하천과 다르게 폐쇄된 환경인 청운지 연못에서는 내성세균들의 총량 자체가 다른 두 하천에 비해서 월등하게 적었다. 또한 내성 세균의 비율도 달라서 blaCTX-M-1 유전자가 전체의 87.5%, 그리고 blaCTX-M-9 유전자가 9.8%를 차지하고 있었다.

경주시 남천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Namcheon Stream in Gyeongju City)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4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cologically important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iver ecosystem. Namcheon Stream, the study site, is a local river flowing from the east to the west of Gyeo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8 taxa including 98 families, 321 genera, 467 species, 9 subspecies, 32 varieties, 4 forms, 4 hybrids and 2 cultivars. The rare plants were 4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Koelreuteria paniculata, Hydrocharis dubia and Sparganium stoloniferu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Lespedeza maritima, Weigela subsessilis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27 taxa including 2 taxa of grade IV, 4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I and 14 taxa of grade I.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92 taxa including Pterocarya stenoptera, Conyza canadensis, Vulpia myuro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부착규조를 이용한 남천의 하천 생태 건강도 평가 (Assessment of Ecological Health of the Namcheon Stream using Epilithic Diatoms)

  • 정애숙;장성현;이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70-979
    • /
    • 2012
  • 본 연구는 생물학적 보전지수(IBI, Index of Biotic Integrity) 평가와 이화학적 수질 분석, 물리적 서식지 평가(QHEI, Qualitative habitate evaluation index)를 이용하여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남천의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6년 8월과 2006년 11월, 2007년 2월, 2007년 4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부착규조 조사를 실시하였다. IBI, QHEI값을 산정하기 위하여 USEPA(1999) 가 제시한 항목 중 우리나라의 환경적 특성에 맞게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남천의 하천 생태 건강도 평가 결과, IBI 등급은 '보통', QHEI등급은 '열악', BOD값에 의거한 이화학적 수질등급은 II등급 기준인 '약간좋음'으로 나타나 총체적인 하천생태계 건강도는 '보통'상태로 나타났다. 이는 수 환경에 대한 교란은 적고 생물들이 서식하기에 비교적 양호한 수질임을 시사한다. 정점별로는 St. 6과 St. 7, St. 8, St. 9는 물리적 서식지 지수가 가장 '열악'한 상태로 대부분이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는 교각이나 인공보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상구조가 대부분 단순화되어 있어 수생태계 심각한 교란이 예상되는 정점이다. 또한 St. 10은 전체적으로 서식 환경은 좋으나 생활하수 유입과 함께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영양염으로 인한 수생태계의 교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추후 영양염 유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두조직배양세포(大豆組織培養細胞) - Rhizobium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 (The Establishment of Nitrogen Fixation by Cultured Cell-Rhizobium Association Through Tissue Culture Technique in Soybean)

  • 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27-35
    • /
    • 1986
  • Rhizobium의 Nitrogenase 생성요인(生成要因)과 감염기작(感染機作)을 구명(究明)하고 배양세포(培養細胞)와 Rhizobia의 혼합배양(混合培養)에서 질양고정계(窒養固定係)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황금(黃金), 남천(南川), D68-0099등(等) 세 품종(品種)을 조직배양(組織培養)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형성능(形成能)은 배(胚)와 유근(幼根)에서는 양호(良好)하나 배축(胚軸)에서는 전혀 없었으며 2mg/${\ell}$ 2,4-D, 4mg/${\ell}$ NAA에서 가장 양호(良好)하고 2,4-D/Kinetin 조합농도(組合濃度)에서는 0.2mg(2,4-D)/${\ell}$과 0.05mg(Kinetin)/${\ell}$에서 가장 이상적(理想的)이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에는 2,4-D 2mg/${\ell}$와 2,4-D (0.2mg/${\ell}$)/Kinetin(0.05mg/${\ell}$)일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며 R. japonicum 019, 011을 접종(接種)하였을때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은 상당히 둔화되었다. 단일(單一) 아미노산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을 저해(沮害) 하였는데 황금(黃金)의 경우 Methionine, Leucine에서 저해(沮害)가 가장 컷으며 다른 아미노산의 첨가(添加)로 저해작용(沮害作用)이 상당히 회복되었다. 부정근(不定根)의 생성(生成)은 2,4-D 2.0mg/${\ell}$에서나 0.2mg/${\ell}$ 2, 4-D/0.05mg/${\ell}$ Kinetin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세포(培養細胞)-Rhizobium의 친화(親和)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25개(個) 사용(使用) 균주중(菌株中)에서 황금(黃金)에서는 10개(個) 균주(菌株), 남천(南川)에서는 7개(個) 균주(菌株)에서 나타났으며 D68-0099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황금(黃金)의 경우(境遇) 85-HG-1 019, 007, 남천(南川)에서는 007, 119등(等)이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 PDF

잎들깨 품종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by Various Cultivars)

  • 김현영;이한결;서혜영;서우덕;이미자;송승엽;김정인;최준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3-46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poly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perilla leav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nine cultivars (Namcheon dlggae, Saedora, Nulbora, Donggel 1, Donggell 2, Soim, Sangyeop, Somirang, and Saebom) of perilla leave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gallic acid equivalent mg/g, GAE) was the highest in "Nulbora," while it was lowest in Namcheon dlggae. Moreover,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s of nine cultivars leaves was in the range of 132.93~268.50 mg catechin equivalent/g sampl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perilla leaves were determined using two different in vitro bioassays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in "Nulbora"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Xanthin-oxidase-inhibition activity ranged from 65.65% to 80.58%, with "Nulbora" exhibiting the highest activity, although the difference with other cultivars was not significant. "Nulbora" extracts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and several cytokines, including IL-6 activation induced by LPS in macrophages in the range of 100-50 ㎍/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perilla leaves can be used as bioactive and func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important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e future.

잎들깨 수경재배에서 배지 종류에 따른 식물 생육 및 수량의 반응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Perilla Plants Grown under Different Substrates in Hydroponic System)

  • 신민주;정호정;노미영;김진현;송관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2-299
    • /
    • 2022
  • 잎들깨 수경재배 시 적합한 고형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천'과 '소미랑' 2품종에 대해 코이어(chip:dust = 5:5), 펄라이트, 입상 암면, 원예용 상토(cocopeat: peatmoss:vermiculite:perlite:zeolite = 50:25:10:10:5) 등 4종의 배지에 따른 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생육반응을 분석하였다. 배지 간의 EC와 pH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용기용수량 측정 결과 입상 암면이 가장 높고 원예용 상토와 코이어가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배지의 기상률은 코이어와 펄라이트가 30% 이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비중은 코이어 배지를 제외한 모든 배지가 기준을 충족하였다. 잎의 크기는 품종 간에 배지에 따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천' 품종은 원예용 상토에서 엽장, 엽폭이 가장 컸고 '소미랑'의 경우 코이어에서 재배하였을 때 가장 컸다. 엽중은 두 품종 모두 원예용 상토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높았고, 코이어와 펄라이트에서 재배한 것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수량이 높은 원예용 상토 및 입상 암면과 수량이 낮은 코이어, 펄라이트로 두 그룹으로 구분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그룹 간에 최대 28%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권에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한 잎들깨를 수경재배하기 위해서는 보수력이 좋은 원예용 상토와 입상 암면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