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dong Estuar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4초

낙동강 하구 해양환경 및 기상 요인이 김P(orphyra yezoensis) 생산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Properties on Variability of Laver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South Coast of Korea)

  • 권정노;심정희;이상용;조진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68-877
    • /
    • 2013
  •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arine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laver Porphyra yezoensis produc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we analyzed marine environmental (water temperature, salinity, nutrients, etc.) and meteorological properties (air temperature, wind speed, precipitation, sunshine hours) with yearly and monthly variations in laver production over 10 years (2003-2013). Air and water temperature,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precipitation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yearly variability in laver produc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Lower air and water temperatures together with higher levels of nutrients and sunshine and stronger wind speeds resulted in higher laver harvests. Salinity and nitrogen did not show clear correlations with laver production, mainly due to the plentiful supply of nitrogen from river discharge and the low frequency of environmental measurements, which resulted in low statistical confidence. Howeve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monthly laver production were related to the life cycle (culturing stage) of Porphyra yezoensis and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factors affecting annual laver production. In November, a young laver needs lower water temperatures for rapid growth, while a mature laver needs much stronger winds and more sunshine, as well as lower temperatures for massive production and effective photosynthesis, mostly in December and January. However, in spring (March), more stable environments with fewer fluctuations in air temperature are needed to sustain the production of newly deployed culture-nets ($2^{nd}$ time cul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pid changes in weather and marine environments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will negatively affect laver production and, thus, to sustain the yield of and predict future variability in laver produc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environmental variation around laver culturing farms needs to be monitored with high resolution in space and time.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곽석남;허성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5
    • /
    • 2003
  • 2001년 9월부터 2002년 7월 사이 낙동강 하구역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설이전 어류 조사와 비교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21과 30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문절망둑과 주둥치가 최우점종이었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성체량의 $71.2\%$$67.8\%$를 차지하였다. 그 외 양태, 꼼치 등이 우점하였다. 채집종수는 봄과 가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과 여름에 높았으나, 겨울에는 모두 낮았다. 하구둑이 완공되기 직전에 실시된 어류 조사와 비교한 결과 어류 종조성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과거의 우점종인 흰베도라치, 실양태, 밴댕이 및 고등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감소한 반명, 문절망둑, 양태, 꼼치, 두줄망둑 및 농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구둑 건설 이후 강 상류로부터 내려오는 담수의 유입이 수시로 차단됨에 따라 하구역에서의 해수 유동 변동이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 하구역에 각종 부유물이 축척되는 등의 저질 환경이 변화가 일어나 어류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인공시설물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 환경인자의 시·공간적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윤상철;윤석현;서영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7
  • 낙동강 하구는 최근 하구둑, 보 등의 인공시설물 건설과 매립 및 준설 등 인위적인 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위적 영향에 대한 낙동강 하구의 해양환경 변화를 확인하고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하구로 유입되는 담수를 비롯하여 해수역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하구로 유입되는 방류량은 보 건설전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평균 염분은 증가하여 기수역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질산염과 규산염의 주요 공급원은 유입되는 담수로 나타났으며 인산염은 저층과 외해에서 공급되었다. 인산염과 용존산소의 농도는 춘계와 하계에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담수의 인산염은 하구둑에 의한 영향으로 제거되었고, 해수의 인산염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제거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낮은 용존산소 농도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번성 이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저층에서 소모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춘계와 추계에 대번성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일반적인 특성에 비해 낙동강 하구에서는 하계에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변화는 유입되는 담수의 유량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에 의해 또 다른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다.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I) - 춘계 국지 해양파랑과 기상인자 - (Correlation between Spring Weather Factors and Local Wind Wav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유창일;윤한삼;박효봉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5
    • /
    • 2008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주변해역의 파랑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7년 춘계(4월, 5월)에 낙동강 하구 중앙 해상 지점에서 관측된 파랑자료와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에서 동일시점에 관측된 결과와 비교 검증하고 관측기간동안의 두 지점에서의 기상인자(기압, 기온, 풍속 및 풍향)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07년 춘계(4월과 5월)의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 파랑 관측자료가 최대파고 약 3-4m, 유의파고 약 2m, 주기 약 5-8sec의 범위에 해당하는 반면에 낙동강 하구에서의 파랑 관측자료는 파고가 대체적으로 1m미만의 상태로 정온한 상태를 보이며 주기는 4-7sec의 범위를 가진다. (2) 춘계 파랑 관측자료에서 바람에 의한 파랑 감쇄가 없을 경우 거제도 해양기상 부이에서부터 천수 또는 굴절에 의한 파랑변형의 효과로 인해 낙동강 하구 중앙부까지 파랑이 전달되면서 최대파고값은 약 2.2m, 유의파고값은 약 1.3m정도 감소된다. (3) 낙동강 하구역으로 내습하는 해양파랑은 대상해역의 기상조건, 특히 바람의 영향(풍속 및 풍향)에 따라서 증감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풍향이 역풍이 부는 경우 유의파고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풍속이 클수록 그 감소 기울기도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 PDF

장기조석관측 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정밀조위 예측 연구 (A Study on Precise Tide Predic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Long-term Tidal Observation Data)

  • 박병우;김태우;강두기;서용재;신현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74-881
    • /
    • 2022
  •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 복원이 본격으로 논의가 진행 전인 2016년까지는 하류 수위의 예측을 위해 하구에서 수km 떨어진 기존 조위관측소(부산 및 가덕도)의 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지만, 조위와 위상 차이로 인해 예측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낙동강 하굿둑 인접 외해역에서 조석 영향을 받는 수위관측치를 이용하여 조석조화분해를 통한 정밀한 조위 예측 산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낙동강하굿둑 인근 외해역에서 10분 간격으로 기간별 관측자료의 저장상태 및 이상자료 유무를 확인하고, 조석조화분해 프로그램인 TASK2000(Tidal Analysis Software Kit) Package를 이용하여 관측조위와 예측조위를 1대 1 비교하여 회귀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관측조위와 예측조위간의 상관도는 0.9334로 높게 나타났으며, 당해 연도의 조위예측 분석시 직전연도의 1년 조석관측 자료를 조화분해하여 산출된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조위예측을 실시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 예측조위를 생성하여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 복원의 해수유입량의 산정에 활용 중이다.

Newly Recorded Species of Diatoms in Korea, from Estuarine Sandflats of the Nakdong River and Seagrasses of Yeongil Bay

  • Joh, Gyeongje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227-239
    • /
    • 2017
  • To find unrecorded diatom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Yeongil Bay, bottom sediments in the estuary, and seagrasses in the bay were collected from 12 sampling sites. Eighteen species and four genera are added to the national flora of diatom as newly recorded on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welve species are new records to Korea, Martyana atomus (Hustedt) Snoeijs, Pseudostaurosira perminuta (Grunow) Sabbe & Vyverman, Trachysphenia acuminata M. Peragallo, Trachysphenia australis Petit, Fallacia clipeiformis ($K{\ddot{o}}nig$) D.G. Mann, Amphora graeffeana Hendey, Amphora jostesorum Witkowski, Metzeltin & Lange-Bertalot, Amphora ostrearia var. vitrea (Cleve) Cleve, Amphora wisei (Salah) Simonsen, Halamphora eunotia (Cleve) Levkov, Halamphora lineata (Gregory) Levkov, Nitzschia littorea Grunow. In Yeongil Bay, four species are added as new, Licmophora gracilis var. anglica ($K{\ddot{u}}tzing$) H. Peragallo & M. Peragallo, Tabularia investiens (W. Smith) Williams & Round, Nitzschia composita Giffen, Nagumoea neritica Witkowski & Kociolek. Two species occurred simultaneously in both regions, Fragilaria cassubica Witkowski & Lange-Bertalot and Hyalinella lateripunctata Witkowski et al.

Nesting Site Preference and Hatching Success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the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 Hong, Soon-Bok;Higashi, Seig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01-20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lutch size and habitat usage of Kentish plovers (Charadrius alexandrinus) breeding on Sinja-do lslet in the Nakdong Estuary from 22 April to 12 July in 1995 and from 21 April to 20 June in 1996. The Kentish plover preferred grasslands and damp sands to dry dunes as nesting sites. The difference in hatching success among these microhabitats was attributed to high tides, which washed away many nests on damp sands, and strong winds, which frequently shifted the sand to bury eggs on dry dunes. The main mortality factor in grasslands was predation by magpies Pica pica. Each clutch contained one to four eggs, with a mode of three eggs. Hatching success was highest in two-egg clutches and lowest in one- and four-egg clutches. The mean interval for egg laying was 1.8 d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ggs and 2.1 day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eggs. The average incubation period was about 24.2 day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Construction Image Analysis of the Nakdong Estuary as Coastal Tourism Resource

  • Yhang Wii-Joo;Cho Yoon-Shi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05-9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san citizens' images of Eulsook-do as a coastal tourism destin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a road bridge across the Nakdong estuary in order to analyze local people's changes in leisure patterns. Analysis of the images of a pre-construction Eulsook-do that people aged both 40 and less and 50 and more had on five dimensions showed values higher than zero(0) that suggests neutral image, while their images of a post-construction Eulsook-do showed the shrinking size of pentagon on all five dimensions: ET(Entertainment), CA(Culture & Art), EE(Environment & Ecology), RC(Recreation) and LP(Leports) dimensions. Its pre- and post- construction image analysis conducted 20 years after it came to be built finds that the road bridge construction has l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al disruption of the coast and the lower Nakdong river, having negative influence on the images of Eulsook-so.

하구의 보존성 오염물질 확산 예측 (Diffusive Estimation of the Conservative Contaminant in River Estuary)

  • 윤종수;신찬기;황동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3호
    • /
    • pp.47-57
    • /
    • 2008
  • This study was predicted the diffusion of the conservative contaminant using a two-dimensional hydraulic model. The research area is upper basin of Jakwang river where the possibility where the pollutant of vast quantity will flow is high. Using SMS model, we calculated two-dimensional stream flow. And using this result, predicted the conduct of the conservative contaminant by pollutant transfer diffusion calculation. And also we predicted flow and contaminant diffusion in the near estuary by constructed guide bank. As a result of study, pollutant effect scope of the conservative contaminant was predicted with the fact that will broaden because of interception by guide bank. As discharge was increased from the Jakwang river, The diffusion of the pollutant is accelerated, also the effect scope increases.

낙동강하구의 보전지역 설정을 통한 현명한 이용방안 모색 (Wise Use through establishing Conservation Area in Nakdong River Estuary)

  • 차민준;김승환;이기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3-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서부산권의 낙동강하구역 일원을 대상으로 낙동강하구를 잘 이해하고 있는 각계각층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낙동강하구를 핵심보전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된 보전지역을 설정하고 각 보전지역별 현명한 이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보전지역 설정은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설정된 보전지역 범위에 문화재보호지역과 습지보호지역 등의 법정보호지역과 비오톱보전가치평가도를 중첩시키고 보전지역 세부범위 설정에 관한 워크숍 및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세부조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보전지역을 설정하였다. 이 후 설정된 핵심보전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 별로 현명한 이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낙동강하구에서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이해당사자간의 갈등을 조율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