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ju

검색결과 513건 처리시간 0.031초

1900~1945년 나주의 중.소규모 한식상가와 일식상가의 변천연구 - 나주면과 영산포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Mid.Small Korean Commercial Area and Japanese Commercial Area in Naju City from 1900 to 1945 - Focused on Naju-myeon, Maju City & Youngsanpo-myeon)

  • 안국진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3-102
    • /
    • 2011
  • Existing research for store has been localized in that of Seoul area, and research for the Japanese style store buil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been done properly owing to national sentiment. This research established Naju that inland pillage is available along Yeongsan River after opening of Mokpo harbor. I will compare modernization developmental process of building of Korean style store with that of Japanese Style store, so obviously try to make clear the activities of modernization by linking social and economical change with Joseon merchants' life. I will try to light up the position of korean style store in Naju area in history of architecture by analyzing two styles of stores into urban architectural element, putting process of change in order and translating it according to flow of age.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restaurant stores and that of Japanese counterparts are rather relative. Whereas Japanese accumulated wealth through o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the people of Joseon the former dynasty of present day Korea, the people of Joseon could not but be oppressed and depressed.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ynamic liberation movements of Joseon merchants managed to develop based on the vitality that was growing ever more, Japanese chose to back down to some degree by exercising appeasing policy. The efforts to take initiative by shattering off the submissive attitude can be found from the ability fostering movement, Gwangju students campaign and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hanok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s commercial building in the 1920s. The changing phase of the people breaking away from subjugated relation to subjective attitude can be found in the commercial districts.

대형 옹관의 보존처리 과정과 이를 활용한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Use of Visible Storage for Display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a Large-sized Jar Coffin)

  • 곽은경;이혜진;유소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9권
    • /
    • pp.41-52
    • /
    • 2018
  • 이 논문은 국립나주박물관에서 진행했던 대형 옹관의 복원과 활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처리 대상 소장품은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높이 194cm, 구연부 지름 108cm의 중량급 옹관이다. 복원 전에는 약 40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였고, 복원 기간 동안 유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용 지지대를 제작했다. 복원 기간은 2018년 2월 5일부터 2월 27일까지 약 3주 간 보이는 옹관 수장고에서 진행했다. 이 기간 중 약 2주 동안 진행 과정을 관람객이 직접 볼 수 있도록 상설전시의 하나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일반 관람객에게 '옹관'이라는 대형 유물과 이를 복원하는 작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고자 했다. 또한 보존과학 업무홍보에 대한 국외사례를 조사하여, 보존과학센터 설립과 맞물린 홍보 방안을 고민해 보았다.

정신과 교대근무와 주간근무 간호사에서 수면의 주관적 및 활동기록기 평가의 비교 (Comparisons of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s of Sleep between Shift-working and Daytime Psychiatric Nurses)

  • 곽준;윤보현;전봉희;시영화;송제헌;박수희;김경민;정하란;정유란;박진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66-175
    • /
    • 2017
  • 연구목적 교대근무는 수면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와 연관이 있고 결국에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임상현장에서는 주로 대상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의하여 수면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을 주관적인 수면평가와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수면평가를 통해 주간근무자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교대근무 간호사 23명과 주간근무 간호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SQI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고 기타 자기보고척도를 이용하여 정신사회적 측면을 평가하였다. 객관적인 수면을 측정하기 위해 활동기록기를 총 7일간 착용하도록 하였고, 그 기간 동안 수면일지를 함께 작성하였다. 교대근무군과 주간근무군간에 활동기록기의 수면변수, PSQI 총점과 구성요소 그리고 자기보고척도로 평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PSQI 총점은 양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PSQI 구성요소 중에서 교대근무군이 유의하게 수면의 질(C1)이 나쁘고, 수면장애(C5)와 수면제 사용(C6)이 많으며, 주간기능장애(C7)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기록기로 측정한 수면변수에서 교대근무군이 주간근무군에 비해 유의하게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과 총 수면시간이 짧으며, 수면효율이 떨어지고, 평균각성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교대근무 간호사가 주간근무 간호사에 비해 주관적 수면평가 및 활동기록기를 통한 객관적 지표 모두에서 수면에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활동기록기가 수면장애를 평가하는데 있어 주관적 설문만으로는 측정이 어려운 객관적 수면변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벼 주요 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I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II))

  • 라동수;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3-128
    • /
    • 1994
  • Incidence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on 21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was investigated in different locations such as Icheon, Chuncheon, Jecheon, and Naju during three years from 1991 to 1993. Disease index of leaf blast of Dongjinbyeo was high in the blast nursery with range 4 to 9 at Naju, but low at other locations with range 1 to 4. Percentages of diseased leaf area of Joryungbyeo and Daelipbyeo 1 were 4.3 and 12%, respectively in the fields at Jecheon in 1993, but were much lower in the other locations during three years. The incidences of leaf blast of Daelipbyeo 1 were 0.3 and 12.0% at Chuncheon and Jecheon, respectively in 1993, but no disease occurred at Naju during three years. Percentage of diseased panicles of Joryungbyeo was 100% at Icheon and Jecheon in 1993, 92.4% in Suweon 390 at Icheon on 1991 and 100% in Jinbu 15 at Jecheon on 1993. Race distribution of rice blast fungus at Icheon and Jecheon was more varied than that of the other locations.

  • PDF

나주지방의 배 과수원에서 서식하는 이리응애 (응애아강: 이리응애과) (Phytoseiid Mites (Acari: Phytoseiidae) from the Pear Field of Naju District in Korea)

  • Ok, Ryu-Myon;Lee, Won-Koo;Cho, Sam-Rae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7-9
    • /
    • 2001
  • 한국의 나주 지방의 배 과수원에 서식하는 이리응애는 6종이었다. 이 가운데 A. bukeri와 p. nemotoi는 이 과수원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며, Proprioseiopsis속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 PDF

벼 주요 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 (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 (I))

  • 라동수;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1994
  • Incidences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on 24 leading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s at Icheon, chuncheon, Jecheon, Naju from 1990 to 1992. In the blast nursery, disease index of leaf blast on Jinmibyeo and Ilpumbyeo were very low as 1 to 3 at Naju, but as high as 6 to 9 at Icheon and other Chuncheon in 1990, but the disease did not occur in other locations and years. The most variable incidence of temporal and spatial leaf blast was observed on Nagdongbyeo, which was 30.6% at Icheon and 2.1% at Chuncheon on 1990, but the disease did not occur at Naju during the investigation. Percentages of diseased panicles on Chucheongbyeo were 11.6% in 1990 and 4.3% in 1992 at Icheon. Odaebyeo and Sobaekbyeo revealed more severe blast occurrences at Chuncheon and Sangju where the elev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places. Regional race distributions of rice blast fungus were more variable at Icheon and Chuncheon than the others.

  • PDF

한반도 남서부 나주 일대 화강암 구릉대의 적색화와 화학적 풍화 경향 (Chemical Weathering Trend and Rubefaction of Granitic Hills in Naju, Southern Korea)

  • 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8
    • /
    • 2012
  • 한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나주 일대에는 화강암 구릉대가 대표적인 지형경관이며, 대부분은 적색의 풍화층(토양)으로 일반화되어 있다. 나주 구릉대의 적색풍화층을 화학적 풍화지수(CIA)를 통해 분석해본 결과, CaO, $Na_2O$, $K_2O$는 일반적인 화강암 풍화층에 비해 강하게 용탈된 상태이지만, 스페인의 Guadalquivir 분지의 카오리나이트 풍화층과 비교해 볼 때, $K_2O$의 용탈이 아직은 많이 미약한 상태이다. 화학적 풍화강도와 적색화의 상관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A-CNK-FM 도식을 통해 두 지역을 비교해 본 결과, 화학적 풍화강도가 미약한 나주 구릉대의 적색풍화층이 스페인의 카오리나이트 풍화층보다 더 높은 유색광물의 함량을 보였다. 이를 통해, 풍화층과 같은 소규모 측면에서는 실제적인 화학적 풍화강도와 적색화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전남 나주호와 영산강 지류에 나타나는 조석현상의 분석 (Analysis of Tidal Phenomena in chunnam the Naju Lake and Youngsan River)

  • 조주환;임광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8-173
    • /
    • 2000
  • 내수면에 나타나는 조석현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남도의 나주호와 영산강에서 1997년 12월 30일부터 1998년 1월 27일까지 1시간 간격으로 수위변화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나주호와 영산강지류에서 모두 일주조와 반일주조가 나타났으나 조차는 수 mm 내지 수 십 mm로 작다. 하루에 두 번씩의 고조와 저조가 있었고, 1일 2회의 고조 중에서 일조부등 현상도 나타났다. 그믐과 보름이 지난 2일 후에 대조가 나타나고, 상현과 하현 후에 소조가 나타났다. 조화분해한 결과에 의하면 나주호에 나타나는 조석은 반일주조가 우세하며, 진폭이 가장 큰 순서로 주태음반일주조(M$_2$)가 0.55mm이고, 주태음일주조(O$_1$) 0.47mm, 월일합성일주조(K$_1$) 0.43mm, 주태양반일주조(S$_2$) 0.39mm의 순이다. 영산강 지류에 나타난 조석은 4mm에서 크게는 18mm로 장소, 지형 , 방향에 따라서 조차가 다르게 나타난다. 목포항의 고조 시각과 영산강 지류에 나타난 고조 시각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남평 지석강 수중보에서 나타나는 수위변동은 동 ${\cdot}$ 서 방향으로는 반일주조에 가까운 반면에 남 ${\cdot}$ 북 방향에서는 6시간 정도의 변동주기가 나타났다.

  • PDF

중성자 방사화분석에 의한 5세기 옹관의 산지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5th Century Jar Coffin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9-465
    • /
    • 2010
  • 국내 최초로 5세기 대 옹관을 생산하는 가마가 나주시 오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 가마는 영산강 중류에 입지하고 있으며 고대사회 장묘연구에 있어서 생산과 유통구조 그리고 소비체계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 가마에서 생산되는 옹관이 어디로 소비되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인근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대표적인 옹관 고분유적 5기와 4세기 대 만동유적에서 발굴된 옹관유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유물들의 미량성분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판별분석을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산지의 동일성을 추정하였다.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옹관은 교역과 유통을 통하여 나주 반남고분, 영암 옥야리고분, 그리고 함평 반암고분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창 만동유적과 무안 인평고분의 옹관은 나주 오량동 가마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산지의 옹관 가마로부터 교역과 유통을 통해 유입되었다고 사료된다.

지방 중소도시 도심지역의 거주환경과 거주의식에 관한 연구 - 나주 도심재생을 위한 사례연구 I -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Areas at Regional Small & Medium Cities - Case Study for Urban Regeneration of Naju Region I -)

  • 정영덕;조용준;김윤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25-132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sciousness of downtown residents in Naju city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Naju's population or urban population were decreased by half for 25 years, but area of residential regions was increased twice. It indicates that major parts of increased residence area are occupied by housing site development area. Uses of downtown buildings are for residential building mostly, but commercial building is less than 1/3 and story of buildings is mostly the first floor. So downtown area in Naju has residential function mostly and family composition is over sixties in more than half of population and regional aging is remarkable because household over majority of the population has no family under twenties. Downtown areas showed detached house and their own house in 2/3 of population and residents over majority of population have lived in current house over 20 years and had strong settlement. But housing site area is less than 40 pyeong at 3/2 of population and 2/3 of population have not parking lot. Most of population have dissatisfaction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or solving their dissatisfaction, improvement of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road extension and construction of parking lot are needed most. Most of residents consider tha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r economic level is normal or developed a little compared to five years ago, but when such a dissatisfaction is solved, they continue to live in their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