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Y zeolite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5초

탈수한 $Ag_{12-x}Na_x-A$ (x = 4, 6, 및 8)를 루비듐 증기로 처리한 세가지 결정구조 (Three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Ag_{12-x}Na_x-A$ (x = 4, 6, and 8) Treated with Rubidium Vapor)

  • 이현도;김운식;박종열;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6-196
    • /
    • 1994
  • $Ag^+$이온이 부분적으로 이온 교환된 zeolite A를 완전히 탈수한 결정 Ag_4Na_8-A, Ag_6Na_6-A, 및 Ag_8Na_4-A를 $250^{\circ}C에서$ 4시간 동안 약 0.1 torr의 Rb 증기로 처리하였다. 세 가지의 결정구조는 $22(1)^{\circ}C$에서 입방공간군 $Pm{\bar3}m$ (a = 12.264(4) $\AA$, a = 12.269(1) $\AA$, and a= 12.332(3) $\AA$임)을 이용하여 단결정 X-선회절법으로 해석하였고, Full-matrix 최소 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각각 I > $3\sigma(I)$인 131개, 108개 및 94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각각 최종오차인수 R=0.056,0.068 및 0.070까지 정밀화시켰다. 각각의 구조에서 $Rb^+$이온은 3개의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단위세포당 3개의 $Rb^+$ 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약 6.0 ~ 6.8개의 $Rb^+$ 이온은 큰 동공의 6-링과 마주보는 위치의 3회 회전축상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2.5개의 $Rb^+$이온은 큰 소다라이트 동공내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Ag종은 2개의 서로 다른 결정학적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약 0.6~1.0개의 $Ag^+$이온은 4-링과 마주보는 위치에 존재하였고, 약 1.8~4.2개의 Ag원자는 큰 동공의 중심에서 헥사실버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8-링 위치가 $Rb^+$이온으로 모두 차 있어서 $Ag^0$가 골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각각의 헥사실버 클러스터는 6-링과 8-링의 $Rb^+$ 이온 및 4-링의 $Ag^+$이온에 의해 안종화된다.

  • PDF

Effects of permeation test conditions on $CO_2$/$N_2$ separations of NaY zeolite membranes

  • Cho, Churl-hee;Ahn, Young-soo;Han, Moon-hee;Hyun, Sang-hoon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conference of aseanian membrane society
    • /
    • pp.105-108
    • /
    • 2004
  • Since Kyoto protocol in 1997, carbon dioxide recovery using membranes has been attended due to its potential applications to recover high purity carbon dioxide with low processing cost. Because carbon dioxide membrane should operate in chemically and thermally severe conditions and requires high permeance, an inorganic membrane is more favorable than a polymeric membrane.(omitted)

  • PDF

이온교환을 이용한 음용수의 $NH_3-N$ 처리 (Treatment of $NH_3-N$ in Drinking Water Using Ion Exchange)

  • 채용곤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1호
    • /
    • pp.67-72
    • /
    • 2008
  • Ion exchange performance to remove Ammonium in water was studi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strong acidic cationic exchange resin of $Na^+$ type in the batch and continuous column reactors. The performance was tested using the effluent concentration histories for continuous column or equilibrium concentrations for batch reactor as a function of time until resins were exhausted or reached ionic equilibrium between resin and solution. The results shoed that cationic exchange resin used in this study was more effective than activated carbon or zeolite for ammonium removal. Ammonium removal with the ion exchange resin temperature to be high qualitative recording minuteness but increases about seasonal change of temperature was judged with the public law where the adaptability is excellent. When the pH comes to be high at 11 degree, the ammonium was not effectively removed.

제올라이트 분말을 기본 재료로한 전기유변유체의 전기 및 유변학적 특성 (The electr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zeolite based electrorheological (ER) Fluids)

  • 정동운;최윤대;김상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13-218
    • /
    • 1994
  • 제올라이트 분말을 기본재료로 하는 전기유변유체의 전기 및 유변학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전기장 인가시 높은 한계응력을 얻기 위하여 비교적 유전상슈가 큰 5종류의 유전유체를 선택하여 제올라이트 분말과 혼합하여 전기유변유체를 준비하였다. Couette형 rheometer를 이용하여 유변유체의 한계응력을 인가된 전기장 및 온도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이중 chlorinate hydrocabon oil과 제올라이트 분말을 혼합한 전기유변유체의 한계응력은 6KPa(E=4KV/mm, T=$25^{\circ}C$)로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측정된 한계응력은 온도가 상승하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전류밀도는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전류밀도에 대한 Arrhenius 그라프에서 전기전도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약 0.7eV였으며 이는 제올라이트 분말에 포함된 $Na^{+}$ 이온의 확산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폴리이미드/제올라이트 막의 기체투과 특성 (The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imide/Zeolite Membrane)

  • 최익창;김건중;남세종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6-48
    • /
    • 1998
  • 1. 서론 : 최근에 기체분리막의 재료로 많이 연구가 되고 있는 폴리이미드는 열,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재료이다. 그동안 본 연구실에서는 폴리이미드를 직접 합성하여 플라즈마처리, UV 처리등과 같은 고분자막수식에 의한 방법과, 무기재료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하는 복합막 제조 등으로 폴리이미드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 실험에서는 고분자재료로 폴리이미드 계열 중 가장 산소투과계수가 높은 6FDA-p-TeMPD 폴리이미드와 산소투과계수는 작고 선택도가 높은 6FDA-m-TeMPD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고, 무기재료는 surface pore size가 7.3${\AA}$, super cage가 13${\AA}$인 다공성 물질로 흡착력이 뛰어난 NaX형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생략)

  • PDF

방사성 코발트 및 루테늄의 토양 흡착 (Sorption of Radioactive Cobalt and Ruthenium on Soil Minerals)

  • 이병헌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7-16
    • /
    • 1990
  • 알우미나, 실리카겔, 제오라이트 3A, 카오린 그리고 나트륨-벤토나이트에 대한 방사성코발트 및 루테늄 흡착을 수소이온농도, 핵종 농도 그리고 이온강도를 함수로 고찰하였다. 토양에 대한 코발트 및 루테늄의 지연계수는 공극율 측정으로 결정하였다. 코발트 및 루테늄의 가수분해 분자종은 물리적 흡착반응으로 고체 표면과 상호작용한다. 코발트 및 루테늄의 후로인드릿히 흡착 등온식은 직선이다. 코발트 및 루테늄의 흡착은 이온강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지연계수에서 공극율 증가효과는 분배계수의 증가효과와 반한다.

  • PDF

광조사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 PP-g-AA와 PP-g-St 부직포의 암모니아성 질소 흡착특성 비교 (Ammonium Adsorption Property of Acrylic Acid and Styren Grafting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Synthesized by Photo-induced Polymerization)

  • 박현주;나춘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255-1263
    • /
    • 2008
  • The efficiency of PP-g-AA and PP-g-St nonwoven fabric synthesized by photoinduced polymerization as an adsorbent for removal $NH_3-N$ from waste water was evaluated. The results evidently indicate that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NH_3-N$ onto PP-g-AA nonwoven fabric were extremely superior to those onto sulfonated PP-g-St nonwoven fabric, PK and zeolite. PP-g-AA nonwoven fabric showe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NH_3-N$ at the degree of grafting of 80 wt.%. The adsorption behaviour of $NH_3-N$ onto PP-g-AA and sulfonated PP-g-St nonwoven fabric was controlled by an ion exchange reaction, and tended to be similar to both trends of Langmiur and Freundlish isotherm. Futhermore, PP-g-AA non-woven fabric could be regenerated more than 5 times by a simple washing with 0.1N HCl with no decrease of adsorption capacity and no degrad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lso sulfonated PP-g-St nonwoven fabric could be regenerated by washing with 0.1N ${H_2}{O_4}$. However, their regeneration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 because grafting layer acted as functional radical for adsorption was continuously desquamated in the adsorption or regeneration processes, which resulted in decrease of adsorption capacity and weight of adsorbent. Al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H_3-N$ removal capacity of PP-g-AA non-woven fabric was extremely superior to those of PP-g-St non-woven fabric, PK and zeolite.

물유리에서 소달라이트의 합성: 합성모액 조성이 결정화도와 입자 크기에 미치는 영향 (Synthesis of Sodalite from Water Glass: Effect of the Composition of Synthetic Mixtures on Its Crystallinity and Crystallite Size)

  • 배송은;서곤;송미경;노경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24-429
    • /
    • 2009
  • 물유리로 제조한 알칼리성 실리카-알루미나 합성모액에서 $Na_2O$, $SiO_2$, $H_2O$ 함량이 소달라이트의 결정화도와 입자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2.5~7.5, y=1.4~3.0, z=140~400 범위에서 한 성분의 함량만 바꾸어 제조한 $x\;Na_2O{\cdot}y\;SiO_2{\cdot}Al_2O_3{\cdot}z\;H_2O$ 조성의 합성모액을 $140^{\circ}C$에서 2일간 수열 반응시켜 소달라이트를 합성하였다. $Na_2O$ 함량이 많아지면 소달라이트의 결정화도가 높아지나 입자는 작아졌다. 합성모액의 $SiO_2/Al_2O_3$ 몰비가 2 근처에서 소달라이트가 생성되었으며, 물의 함량이 달라지면 합성되는 제올라이트의 종류가 달라졌다. 이 합성조건에서는 $SiO_2/Al_2O_3$ 몰비가 2.0 근처이고, $Na_2O$ 함량이 많은 영역에서는 결정화도가 높은 소달라이트가 합성되었으며, 나트륨 이온의 구조유도체로서 효과로 입자 크기는 작아졌다.

아닐린과 메탄올의 산화 카르보닐화에 의한 Methyl N-phenyl carbamate 제조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Methyl N-Phenyl Carbamate by Oxidative Carbonylation of Aniline and Methanol)

  • 노종선;이관영;김태순;장태선;윤병태;김성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119-124
    • /
    • 2018
  • 아닐린과메탄올의산화 카르보닐화방법에의한 Methyl N-phenyl carbamate 제조는 기존의포스겐을사용하는폴리머의 단량체 생산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지체로 Y-zeolite, $SiO_2$, $Al_2O_3$를 사용하여 불균일화 촉매를 제조하였고, 제조 된 불균일화 촉매를 이용하여 아닐린과 메탄올로부터 산화카르보닐화 연속운전을 시도하였다.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하여 담지체를 결정하였으며, 담지된 palladium 촉매를 이용하여 조촉매의 영향과 반응온도, 반응압력 등 여러 반응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 MPC의 수율은 98.6% 였으며,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반응온도의 반응속도상수로부터 얻어진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E=82.38 kJ/mol, E=66.20 kJ/mol 이었다. 또한 확립된 반응조건에서 장시간 연속운전을 수행하여 카바메이트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