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OH treatment

검색결과 845건 처리시간 0.027초

효소처리에 의한 텐셀직물의 역학적 성질 및 태의 변화 (Effect of Cellulase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Hand of Tencel Fabrics)

  • 손경희;신윤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141-1149
    • /
    • 1998
  • Tencel fabrics were treated with NaOH, mechanically prefibrillated, and hydrolyzed by cellulase. Softner was applied to improve hand of the treated Tencel fabrics after prefibrillation and cellulase treatment. Kawabata's Evaluation System for Fabrics(KES-FB) was used to evaluate effects of NaOH pretreatment, prebifrillation, and cellulase and softner treatments on fabric hand of the treated fabrics. Primary hand values of women's medium thick fabrics such as KOSHI, NUMERI, FUKURAMI, and SOFUTOSA, and total hand values were evaluation parameters. As the treatments of prefibrillation, cellulase, and softner progressed, values in bending and shearing properties decreased and softness and elasticity were imparted to the treated fabrics. Specifically, compressional linearity, compressional energy, and thickness of the treated fabrics increased by prefibrillation, providing bulkiness to the treated fabrics. Values indicating surface properties increased owing to fibrils formed by prefibrillation treatment, but removal of fibrils by cellulase treatment enhanced smoothness. As the fabrics were exposed to various treatments such as NaOH pretreatments, prefibrillation, and cellulase and softner treatments, NUMERI, FUKURAMI, SOFUTOSA, and total hand values increased with the exception of KOSHI, Consequently, the treated fabrics became softer, smoother, and more elastic. Especially, the NaOH pretreatment provided superior SOFUTOSA to Tencel fabrics.

  • PDF

게껍질로부터 섬유가공용 Chitin.Chitosan 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for Textile Finishing Agent from Crab Shell)

  • 이석영;박성우;조환;구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6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rification of chitin and chitosan for textile finishing agent from crab shell. Weight loss rate(removing Ca and protein), degree of deacetylation, solubility and MIC(Minimum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 value of chitosan and molecular weight of the treated crab shell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eight loss rate(removing Ca) of crab shell treated with HCI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HCI and treatment time, but it became constant over 60 min. of treatment time. 2) Weight loss rate(removing protein) of crab shell treated with NaOH(0.5N∼2N)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OH and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but it became constant above loot of temperature and over 200 min. of treatment time. 3) Degree of deacetylation of chitin treated with NaOH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OH(40∼60%), but molecular weight decreased and thus MIC value increased. 4)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should be above 0.3% to dissolve chitosan easily. Solubility for chitosan was the highest with formic acid, and the next was acetic acid, hydrochloric acid, lactic acid and sulfuric acid in order.

  • PDF

물과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의한 블랙 드로스의 처리 (Treatment of Black Dross with Water and NaOH Solution)

  • 행위동;안병두;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53-60
    • /
    • 2017
  • 블랙드로스에는 금속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가용성 염 및 미량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블랙드로스를 사용가능한 재료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가용성 염인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은 $50^{\circ}C$에서 물에 용해되었다. 물세척 후 잔사에 함유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타이타늄의 침출거동을 NaOH의 농도와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며 조사하였다. 반응온도 $25{\sim}95^{\circ}C$에서 알루미나의 침출율은 온도에 비례하나 실리카의 침출의 경우에는 최적 온도가 존재하였다. 한편 2~6 M의 NaOH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은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5 M의 NaOH와 $95^{\circ}C$에서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침출율은 각각 80과 68%이었다.

NaOH 처리에 의한 식물종류별 망사잎 제조 방법의 확립 (Establishment of Manufacturing Process of Skeleton Leaves in Different Species by NaOH Treatment)

  • 변미순;김윤희;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17-22
    • /
    • 2008
  • 엽연의 모양이 다른 4종류의 잎을 식물재료로 사용하고, 망사잎 제작을 위한 엽육제거시 sodium hydroxide(NaOH)의 농도와 처리시간의 최적 조건을 찾고자하였다. 중국단풍(장상열)은 NaOH 60% 용액에서 50분간, 호랑가시나무(예거치)는 NaOH 20% 용액에서 50분간, 신갈나무(천열)는 NaOH 20-60% 용액에서 70분간, 대왕참나무(전열)는 NaOH 20-40% 용액에서 70분간 열탕 처리하다 엽육제거율도 높고 관상가치가 높은 망사잎을 만들 수 있었다.

화본과 관상용 그래스의 종자처리와 플러그 묘 생산 (Seed Treatment and Plug Production of Ornamental Grasses (Gramineae spp.))

  • 김기동;김윤중;이종민;이정호;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76-380
    • /
    • 2013
  • 유전자원으로서의 화본과(Gramineae) 관상용 그래스 식물의 번식을 위한 대량생산체계 확립 및 향후 농가소득 작물로의 개발을 목표로 3가지 화본과 관상용 그래스(ornamental grass)의 종자 발아촉진과 플러그 묘 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자처리에 의한 새(Arundinella hirta var. ciliate Kodiz)의 최종 발아율은 NaOCl 4% 농도로 60분 처리구가 52.6%로 나타났으며, NaOH 4% 농도로 30분 처리구가 49.4%로 가장 높았다. Switchgrass(Panicum virgatum)는 NaOCl 4% 농도로 10분 처리구가 20.3%의 발아율을 보였고, NaOH 2% 농도로 60분 처리구가 22.4%로 가장 높았다. 수크령(Pennisetum alpecuroides)은 NaOCl 4% 농도로 60% 처리구가 98.4%의 발아율을 보였고, NaOH는 4% 농도로 30분 처리구가 98.5%로 가장 높았다. 플러그 묘 생산 분석결과 구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초종별로는 수크령이 약 21일(162구)~30일(40구)로 가장 빠르게 형성되었다. 새의 플러그 형성 시점은 약 32일(162구)~44일(40구)로 Switchgrass 32일(162구)~40일(40구)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3초종 모두 구의 크기가 작을수록 플러그 형성시점이 빠르게 나타났으나, 크기가 클수록 생장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해도직물의 감량 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Loss of Island-in-a Sea Fabrics by Ultrasonic)

  • 신현세;윤철수;임병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7
    • /
    • 2004
  • Alkaline treatment gives Sea-Island type yam to produce microfiber and silk-like touch. But this treatment have some problems in dyeing and finishing process. To solve some problem occurred in dyeing and finishing of polyester fabric, the ultrasonic treatment technique was used recent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ultrasonic treatment on alkaline weight loss finishing of polyester fiber under general alkaline treatment conditions; NaOH concentration 2, 3, 4, and 5%, treatment time 5, 10, 15, and 20 minutes, treatment temperature 70, 80, 90, and 99'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three way lay out method was used to test of significant obtained data from alkaline treatment. It was found that weight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aOH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Also, in case of PET/Co-PET fabrics by ultrasonic, weight loss and dissolution of microfiber were superior to PET/Co-PET fabrics without ultrasonic.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NaOH concentrations and hydrolysis time. Therefore, the effect of alkali hydrolysis by ultrasonic application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양돈액비에서 Struvite 형성으로 연속적 인의 회수기술 (A Continuous Process for Phosphorus Recovery from Swine Slurry with Forming Struvite)

  • 오인환;이종현;최병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5-100
    • /
    • 2006
  • 양돈액비에서 인을 회수하기 위한 연속식 공정을 개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MgCl_2$를 마그네슘 원으로 사용하였고 pH를 NaOH로 조정해준 구와 폭기를 시켜준 구를 서로 비교하였다. 몰비가 증가할수록 용해인의 회수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 pH를 NaOH로 조정하였을 때 비육돈사 액비의 경우에 용해인은 몰비 1:1.5에서 초기값 353(${\pm}9$)mg/L에서 19(${\pm}1.6$)mg/L로 감소하여 95%의 회수효과를 보았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에는 5,527(${\pm}174$)mg/L에서 5,009(${\pm}161$)mg/L로 감소하여 9%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2. 자돈사 액비의 경우에 몰비 1:1.5에서 용해인은 초기치 111(${\pm}2.8$)mg/L에서 1(${\pm}1.1$)mg/L로 감소하여 회수율은 98%를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에는 2,317 (${\pm}37$)mg/L에서 2,226(${\pm}39$)mg/L으로 감소하여 제거율 4%를 나타내었다. 3. 자돈사 액비의 경우에 폭기공정의 몰비 1:1.5에서 용해인은 초기값 321(${\pm}10.2$)mg/L에서 113(${\pm}3.6$)mg/L로 감소하여 회수율은 66%로 되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경우에는 2,364(${\pm}5$)mg/L에서 2,017(${\pm}2$)mg/L로 낮아져서 제거율은 15%로 높게 나타났다. 4. pH를 NaOH로 조정해준 구가 폭기를 시켜준 구보다 용해인 회수에서 효과가 좋았다.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에서는 반대로 폭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소나무(Pinus densiflora) 목질을 이용한 수용액 중의 Cu(II) 흡착 (Adsorption of Cu(II)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Pine (Pinus densiflora) Wood)

  • 김하나;박세근;양경민;김영관
    • 산업기술연구
    • /
    • 제27권A호
    • /
    • pp.195-202
    • /
    • 2007
  • Milled Korean pine (Pinus densiflora) wood was used to evaluate its adsorption capacity of Cu(II)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running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Prior to the tests, the milled woods were pretreated with 1N NaOH, 1N $HNO_3$, and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to examine the effect of pretreatment. Within the tested pH range between 3 and 6, copper adsorption efficiency of NaOH-treated wood(96~99%) was superior to the $HNO_3$-treated wood(19~31%) and distilled water-treated wood(18~35%). The efficiency of copper removal by wood enhanced with increasing solution pH and reached a maximum copper ion uptake at pH 5~6. Adsorption behavior of copper onto both raw and $HNO_3$-treated woods was mainly attributed to interaction with carboxylic acid group. For NaOH-treated wood, carboxylate ion produced by hydrolysis or saponification was a major functional group responsible for Cu sorption. NaOH treatment of wood changed the ester and carboxylic acid groups into carboxylate group, whereas $HNO_3$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which could bind copper. A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fitted well for the sorption of copper ion onto NaOH-treated wood. A batch isotherm test using NaOH-treated wood showed that equilibrium sorption data were better represented by the Langmuir model than the Freundlich model.

  • PDF

알칼리 처리가 멸치 추출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ne Treatment on Some Quality of Anchovy Extract)

  • 김혜경;박주영;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1-446
    • /
    • 1988
  • 마른 멸치를$0{\sim}0.5N$의 NaOH 용액과 함께 마쇄한 뒤 $60^{\circ}C$에서 $0{\sim}6$시간까지 처리시키면서 원심분리 하여 얻어진 멸치 추출액의 고형분 수율과 몇몇 물리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NaOH의 농도와 처리시간이 증가 할수록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고유점도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 값에 도달하였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Hunter값으로 표시된 추출액의 색의 변화는 'L'값이 반응초기에 증가하여 색이 밝아졌다가 그 후 강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알칼리 처리가 멸치추출액의 맛과 냄새에 미치는 영향은 알칼리 농도와 처리시간이 가할수록 맛과 냄새의 강도가 현저히 상승 하였으며 맛과 냄새 중 소라맛, 쓴맛 그리고 소라냄새, 바닷물 냄새에서 특히 높은 강도를 보여 주었다.

  • PDF

표면처리에 의한 왕겨분말-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의 계면 접착력 향상 (Improvement of Interfacial Adhesion for Surface treated Rice Husk Flour-Filled Polypropylene Bio-Composites)

  • 이병호;김희수;최성우;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38-4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왕겨분말을 NaOH와 acetic acid 처리를 통하여 왕겨분말-폴리프로필렌(PP) 바이오복합재의 계면 결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을 충전제로 사용하여 바이오복합재를 제조한 후 왕겨분말의 처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이 충전된 바이오복합재의 인장강도가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이 충전된 바이오복합재보다 증가하였다. NaOH와 acetic acid로 처리 전후의 왕겨분말 표면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의 사진으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SEM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왕겨분말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의 화학적 구조는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 NaOH와 acetic acid로 처리된 왕겨분말의 결정화구조 및 결정화도는 wide-angle X-ray scattering (WAX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