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C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589건 처리시간 0.025초

산과 염이 폴리에스터 직물의 알칼리 감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 and Salt on Weight toss of Polyester (PET) fabric by Sodium Hydroxide)

  • 도성국;조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5-73
    • /
    • 1992
  • To control the hydrolysis rate of PET fabric with NaOH, HCl and $CH_3$COOH(HAc), as regulating reagent, were added to the 0.5 M NaOH solution. The concentrations of acids in 0.5 M NaOH were varied. PET fabrics were treated with aqueous solutions of acids in 0.5 M NaOH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 weight loss of PET fabric, the rate of hydrolysis,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E$_{\alpha}$), the handle value, the etched surface of treated PET fabric, and the effect of salts such as NaCl, $CH_3$COONa(NaAc), and NH$_4$Cl on the weight loss were discussed. Acids in the aqueous 0.5 M NaOH solution decreased the weight loss of PET fabric bacause of neutralization of OH- and the weight loss of PET fabrics treated with corresponding concentration of aqueous NaOH solution to the concentrations of the aqueous solutions of acids in 0.5 M NaOH was lower than that of PET fabrics treated with aqueous solutions of acids in 0.5 M NaOH. The addition of NaCl to aqueous NaOH solution accelerated the reaction of OH- with PET greatly, the addition of NaAc increased the weight loss slightly, but the addition of NH$_4$Cl decreased the weight loss. It was thought that the very remarkable result that NaCl in aqueous NaOH solution promoted the hydrolysis of PET with NaOH would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energy and NaOH in the weight loss finishing process of PET fabric. The etched surface and the handle value of treated PET fabric were independent of the difference in the kinds of acids and salts added.nd salts added.

  • PDF

내염성에 대한 염생식물과 비염생식물의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 on Saline Tolerance between Halophytes and Glycophytes)

  • 이병모;심상인;이상각;강병화;정일민;김광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65
    • /
    • 1999
  • 본 실험은 간척지 식물들의 내염성 정도를 알아보고 식물의 내염성 기작을 규명하고자 14종의 식물을 공시하여 이들의 생리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내의 프롤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깨풀, 도깨비바늘, 붉은서나물, 망초, 미국개기장, 까마중은 200mM NaCl에서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으나 가는갯는쟁이, 나문제는 변화의 폭이 작았다. 또한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내 $Na^+$, $Cl^-$의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다. 비염생식물인 깨풀, 바랭이, 까마중은 200mM NaCl에서 $Na^+$$Cl^-$은 증가폭이 컸고 나문제, 가는갯는쟁이, 갯개미자리는 200mM까지 $Na^+$, $Cl^-$은 증가폭이 작았다. 염 농도가 높아질수록 $K^+/Na^+$율은 감소하였고, 염생식물인 나문제, 가는갯는쟁이, 갯개미자리의 $K^+/Na^+$ 율은 감소폭이 작아 세포내 이온균형의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백김치의 특성에 미치는 온도 및 소금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NaCl Concen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aik Kimchi)

  • 강근옥;김우정;임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69-577
    • /
    • 1997
  • 백김치 주스제조를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백김치 담금시 소금 농도와 발효 온도를 달리하였을 때의 발효중 pH, 총산도, 염도, 색도 및 관능적 성질 변화를 측정하여 최적 발효 조건을 알고자 하였다. 백김치는 파, 마늘, 생강 등의 부재료만을 첨가하고 최종 백김치액의 소금농도가 0.5, 1.0, 1.5, 3.0%가 되게 제조하여 10, 20, 3$0^{\circ}C$의 온도에서 발효시켰다. 대체적으로 백김치의 pH는 염도가 높아질수록 감소속도가 느린반면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빠른 감소를 보였다. 또 총산도는 pH와 반대로 발효시간이 경과하고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염도의 증가에 따라 산의 생성량은 적어 염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염도별 백김치의 관능적 평가에서 새콤한 맛과 신맛은 1$0^{\circ}C$에서는 소금농도 0.5%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2$0^{\circ}C$에서는 0.5%와 1.0%가 유사하였으며 3$0^{\circ}C$에서는 0.5%가 가장 높은 반면 1.5%가 가장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고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백김치의 소금농도는 1.0%였다. 또한 백김치의 발효온도에 따른 관능적 평가는 전체적으로 3$0^{\circ}C$가 다른 두 온도에서 보다 좋게 평가 되었으며 p>0.05의 범위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백김치 주스를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백김치의 담금 조건은 소금농도 1.0%의 백김치를 제조하여 3$0^{\circ}C$에서 발효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예열처리 및 염도가 오이김치의 숙성 중 질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heating and Salt Concentration on Texture of Cucumber Kimchi during Fermentation)

  • 허윤정;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heating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fermentation rate and firmness of cucumber kimch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ness and the contents of pectin fractions, hemicellulose and cellulose during fermentation. For this purpose, pH, acidity, firmness and the contents of pectic fractions, hemicellulose and cellulose were studied. 1. The change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indicated that preheating and high salt concentration delayed the fermentation rate in cucumber kimchi. 2. After 9 days, preheated cucumber kimchi was firmer than nonpreheated cucumber kimchi. 3. During fermentation, the cucumber kimchi fermented at 5% NaCl was firmer than that femented at 2% NaCl. 4. After 9 days, preheated cucumber kimchi was higher in insoluble pectin (HCISP)content and lower in soluble pectin (HWSP & HXSP) content than nonpreheated cucumberkimchi and hese results in accord with those of firmness measurements. 5. During fermentation, the cucumber kimchi fermented at 5% NaCl was higher in insoluble pectin content and lower in soluble pectin content than nonpreheated cucumber kimchi, and these results were in accord with those of firmness measurement. 6. During fermentation, cellulose content decreased.

  • PDF

Assessment of seawater intrusion using geophysical well logging and electrical soundings in a coastal aquifer, Youngkwang-gun, Korea

  • Hwang Seho;Shin Jehyun;Park Inhwa;Lee Sangkyu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1호
    • /
    • pp.99-104
    • /
    • 2004
  • A combination of drilling, geophysical well logging, and electrical soundings was performed to evaluate seawater intrusion in Baeksu-eup, Youngkwang-gun, Korea. The survey area extends for over 24 $km^2$. To delineate the extent of seawater intrusion, 60 vertical electrical soundings (VES) have been carried out. Twelve wells were also drilled for the collection of hydrogeological, geochemical, and geophysical well logging data, to delineate the degree and vertical extent of seawater intrusion. To map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awater in this coastal aquifer, geophysical data and hydrogeochemical results were us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stivity of groundwater and equivalent NaCl concentration was found. Layer parameters derived from VES data, various in-situ physical properties from geophysical well logging, and the estimated equivalent NaCl concentration were very useful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seawater intrusion. Our approach for evaluating seawater intrusion can be considered a valuable attempt at enhancing the use of geophysical data.

Shigella sonnei ATCC 29930의 아치사 가열 후 소금 농도에 따른 회복 정도 비교 (Comparison of Recovery Levels of Shigella sonnei ATCC 29930 Treated at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after Sublethal Heating)

  • 정혜진;박성희;송은섭;박성수;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0-7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세균성 이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균인 S. sonnei를 대상으로 불충분한 열처리와 NaCl 처리에 따른 각각의 생존균수 변화와 불충분한 열처리 후 다양한 NaCl 농도 (0, 2, 4, 6%) 하에서 sublethal injured cell의 회복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충분한 열처리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균수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NaCl 처리시 NaCl 농도가 6% 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생존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리고 $55^{\circ}C$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후 2% TSAS 배지에서 7.58 log CFU/mL, 4% TSAS 배지에서 7.83 log CFU/mL, 그리고 6% TSAS 배지에서 7.93 log CFU/mL 만큼 각각 생성된 colony 숫자가 감소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60^{\circ}C$에서 30분동안 열처리후 2% TSAS 배지에서 6.71 log CFU/mL, 4% TSAS 배지에서 6.73 log CFU/mL, 그리고 6% TSAS 배지에서 6.73 log CFU/mL 만큼 각각 생성된 colony 숫자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온도에서 sublethal heating후 노출된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D-value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불충분한 열처리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sublethal injured cell들이 열처리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배지의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회복정도가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The Influence of NaCl and Carbonylcyanide-m-Chlorophenylhydrazone on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in a Marine Vibrio Strain

  • Kim, Young-Ja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56-159
    • /
    • 2004
  • In general, the salinity of the ocean is close to 3.5% and marine vibrios possess the respiratory chain-linked Na$\^$+/ pump. The influence of sodium chloride and the proton conductor carbonylcyanide m-chlo-rophenylhydrazone (CCCP) on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in a marine Vibrio strain was examined. At the concentration of 0.5 M, sodium chloride minimally inhibited the activity of extra-cellular proteases by approximately 16%, whereas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product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was severely inhibited.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addition of 2 ${\mu}$M CCCP at pH 8.5, where the respiratory chain-linked Na$\^$+/ pump functions.

오염물질에 의한 점토 차수재의 역학적 특성변화 및 지하수 오염거동 (The Change in Geotechnical Properties of Clay Liner and the Contamination Behavior of Groundwater Due to Contaminant)

  • 하광현;이상은;정성래;천병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1호
    • /
    • pp.13-23
    • /
    • 2008
  • 오염물질로 오염된 퇴적점토의 강도, 변형 및 투수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NaCl 수용액과 매립장 침출수를 시료의 간극수(포화수)로 교체하여 삼축압축시험과 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채취된 점토시료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과 에너지분산분광(EDX) 분석이 수반된다. 화학성분 분석결과 O, C, Si, Al, Fe 크기 순의 구성비가 얻어졌으며, 삼축압축시험 및 압밀시험결과는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극한응력(강도)은 증가하고 압축성과 투수성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산이중층(DDL)의 두께가 감소되어 면모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점토 차수재를 투과한 침출수가 지하수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MT3D 해석모델이 이용되었으며, 지하수 오염거동 해석결과 초기 염소이온 농도가 클수록 측정농도도 커지며, 시간경과에 따라 지하수 오염농도는 비선형적으로 증가되었다. 지하수 오염농도 감쇄 관계식을 유도하여 지하수 오염 이동거리를 예측한 결과, 초기농도가 클수록 지하수 오염 이동거리도 크게 나타났다.

수온, 염분 및 염화마그네슘의 농도가 바지락의 토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t and $MgCl_2$, Concentration on Sand Ejection Characteristics of Short Neck Clam, Luditapes philippinarum)

  • 홍상필;김동수;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4-118
    • /
    • 1997
  • 국내 유통중인 패류의 토사처리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바지락을 중심으로 수온, 염분 및 염화 마그네슘의 농도에 따른 바지락의 토사특성을 검토하였다. 패류의 기본 수계인 해수를 이용하여 토사처리효과를 분석한 바, 꼬막, 피조개 및 동죽은 충분히 토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바지락은 해수처 리만으로는 불완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지락의 토사는 처리수로서 담수를 이용할 경우 이들의 서식환경과 유사한 $2.5\%\;NaCl(pH\;8.0),\;25^{\circ}C$ 조건에서 극대를 나타냈으며 이 조건에 $50\;mM\;MgCl_2$를 첨가시 1.57배의 토사촉진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조건과 해수 및 해수$+20mM\;MgCl_2$ 조건에서 48시간 처리후 토사 배출량을 비교했을 때 해수 $+20mM\;MgCl_2$, 해수, $2.5\%\;NaCl$ (담수)$+50mM\;MgCl_2,\;2.5\%\;NaCl$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 결과는 관능검사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바지락의 서식환경과 Mg이온은 바지락의 생물활동과 토사에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 PDF

작물의 내염성 기작 연구 II. 염분농도에 따른 보리, 호밀,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유묘반응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Crop Plants II. Physiological Responses of Barley, Rye, and Italian Ryegrass Seedling to NaCl Concentration)

  • 김충수;조진웅;이석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91-397
    • /
    • 1993
  • 보리, 호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를 실험재료로 하여 염분농도가 다른 배양액에서 수경재배하면서 염분농도에 따른 유상기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었다. 1. 파종후 15일패의 초장과 엽면적은 세 작물 모두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엽면적의 감소는 엽폭의 감소보다는 엽장의 감소가 그 원인이었으며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생장량 감소의 정도는 보리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 > 호밀의 순이었다. 3. 엽록소함량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보리는 변화의 경향이 없었다. 4. 생체중 1g에 대한 건물중은 호밀과 이탈리안 라이그래스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여 고염조건에서 생육할 경우 생체내 수분의 함량이 높아졌으며 보리는 변화의 양상이 없었다. 5. 엽녹소함량은 염분농도가 0.6%로 높은 경우에는 세 작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전기전도도는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6. 뿌리와 잎에 함유된 Na+은 염분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증가하였는데 호밀의 경우는 잎과 뿌리의 함유량은 비슷한 반면 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에서는 뿌리보다 및에서 Na+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염분을 잘 이동시키지 않는 기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7. 근활력은 호밀이 염분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력이 감소하는 반면 보리에서는 염분농도의 증가에도 활력이 오히려 높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