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Y cell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비염증성 치은증식증의 상피 및 상피하조직내 세포변화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 최영욱;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605-621
    • /
    • 1993
  • The gingival hyperplasia refer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gingival tissue produc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ts component cel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gingival tissues were surgically obtained from the patients with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and idiopathic gingival hyperplasia. The excised tissue samples were fixed in neutral formalin for 6-24 hours, embedded with paraffin, sectioned at $4-6{\mu}m$ in thickness, mounted on glass slides coat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and immunocytochemically processed b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 method for detecting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tenascin and collagen type IV. Monoclonal mouse anti-human PCNA antibody(Oncogene Science, Uniondale, NY, U.S.A., 1 : 250,000), monoclonal mouse anti-human tenascin antibody(Chemicon-International Inc., Temecula, CA, U.S.A., 1:5,000), and monoclonal mouse anti-human collagen type IV(Dakopatts, Glostrup, Denmark, 1: 50)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positive reaction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was localized in the basal cell layer of gingival epithelium and well-developed rete pegs. 2. The positive reaction to tenascin was shown in the connective tissue subjacent to basament membrane of gingival tissue, and especially strong positive reaction was noted in the tip portion of connective tissue projections. 3. The positive reaction to collagen type IV was localized along the basement membranes of gingival epithelium and blood vessels. The results suggest that connective tissue enlargement may affect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epithelium.

  • PDF

인삼사포닌 분획이 Escherichia coli K-12의 성장과 Siderophore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and Siderophore Formation in Eseherichia coli K-12)

  • 조영동;이용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02-107
    • /
    • 1983
  • The effects of saponin, one of major components (Panax ginseng C.A. Meyer), on the growth of E. coli K-12 and the formation of siderphore was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en E. coli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5%-11${\times}$10-1% of the saponin, the rate of growth was stimulated at 10-1% of the saponi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2. When E. coli K-12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1% of the saponin, the amount of siderphore was two times as much as the control. 3. The growth of E. coli was observed to b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iderophore when siderophore was added to medium. 4. The effect of saponin on the formation of siderophore in vitro was observed to reach maximum at 1${\times}$10-3% of the saponin.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rate of E. coli K-12 could be enhanced by ginseng saponin fraction through stimulation of siderphore formation. We have described the fast growth of E. coli, K-12 and B. subtilis, rapid uptake of 14C-glucose, and high level of other metabolites such as lipids and proteins of E. coli, and B. subtilis in medium containing saponing fraction compared to that of microorganisms without saponin fraction.1∼3Such differences were claimed to be due to rapid uptake of 14C-glucose by widened periplasmic region throught unknown mechanism in the prescence of saponin fraction in medium3 and have raised a question whether there is another possible factor, siderophore4(Greek for iron bears), since microorganisms must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iron for normal growth. These are known to be synthesized by the cells under iron-deficient condition and in most case, excreted into the medium5, where they can complex and solubilize any iron present ther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se complexes are then taken into the cells presumably by specific transport systems, thus providing iron for cell metabolism. Within the group of enteric bacteria, only three species (E. coli, S. typhimurium, and A. aerogense) have, so far, been studied in a ny detail. The main iron-binding compound produced by these species is enterochelin, and its role in iron transport is now well established. And biosynthesis of enterochelin from 2, 3- 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 the prescence of magnesium ions and ATP was reported6. 2, 3-dihydroxybenzoate was also shown to involve isochorismate and 2, 3-dihydro-2, 3-dihydroxybenzoate as intermediate.7∼1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the level of enterochelin formation in vivo and the conversion of 2, 3-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to entrochelin in vitro, and entrochelin obtained on the growth in relation to possible explanation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rapid growth of E. coli, K-12.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 DR5 TRAIL 수용체와 p53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DR5 TRAIL Receptor and p53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계영;이정현;김순종;유광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4호
    • /
    • pp.278-284
    • /
    • 2008
  • 연구배경: TRAIL 은 death 수용체(DR4, DR5)와 decoy 수용체(DcR1, DcR2)라는 독특한 수용체 시스템 덕분에 정상세포는 보호하고 종양선택적 살상능을 가진 유망한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다. DR5 TRAIL 수용체는 wild-type p53 세포에서 DNA 손상항암제인 doxorubicine에 의해 발현 유도되는 p53-조절 death 수용체 유전자로 처음에 발견되었다. 폐암 조직에서 이러한 DR5와 p53 발현에 관연 연구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DR5 발현과 p53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Avidin-biotinyl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를 이용하여 89예의 수술적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포르말린 고정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1차 항체로는 anti-DR5 polyclonal antibody (Pro Sci Inc., Poway, CA)와 anti-p53 monoclonal antibody (DO-7, Novocastra, Inc, Manhasset, NY)를 이용하였다. DR5 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판정은 면역염색의 범위와 강도를 합산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0, non-staining; 1+, weak and diffuse(>50%) or focal (<50%) or moderate and focal; 2+, strong and focal or moderate and diffuse ; 3+, strong and diffuse. 2+ 이상을 고발현(high expression)으로 분류하였다. p53 발현 정도에 따른 p53 wild type과 mutant type의 구분은 3+의 강양성인 경우를 mutant type으로 판정하였고, 나머지 0, 1+, 2+ 발현은 wild type p53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주변 정상폐조직에서의 DR5발현은 기관지점막에서 89%의 고발현율을 보였으나, type I, II 폐상피세포, 림프구, 평활근세포 등의 정상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폐암 조직에서 DR5 고발현율은 편평상피암에서 28% (15/53), 선암에서 47% (15/32), 대세포암에서 50% (2/4)의 빈도를 보여 전반적으로 36%의 고발현율을 보였다. DR5 고발현율은 임상병기, 생존기간 등 임상 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p53 발현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DR5 발현이 기관지점막을 제외하고는 종양 선택적임을 확인하였고 p53 발현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DR5가 p53 조절 유전자임을 in vivo에서 확인한 유력한 증거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Skaergaard 암체의 희토류의 분화경향 (Differentiation Trend of Rare Earth Elements of the Skaergaard Intrusion)

  • Yun D. Jang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6호
    • /
    • pp.617-625
    • /
    • 2001
  • Skaergaard 암체는 광범한 in situ 화성분화작용을 격은 층상관입암의 대표적인 예로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암체는 폐쇄계에서 미량원소변이를 modeling 할 수 있는 적지가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본 암체의 전암 및 광물의 회토류는 폐쇄계로서의 예상된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Haskin and Haskin, 1968; Paster et al., 1974). 발표된 분배계수, 공존광물들의 mode,그리고 전암 및 광물의 미량원소함량을 사용한 미량원소modeling에 의하면 Skaergaard 암체의 희토류는 분화후기에 일어난 광범한 인회석 결정작용에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미량원소modeling은 Upper Border Series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인회석이 기존에 주장되어 온 바와 같은 liquldus상이 아니라 진화하는 magma의 미량원소함량에는 영향을 끼칠 수 없는 interstitial phase임을 시사한다. 분화작용 말기에 Skaerganrd 마그마가 대류를 멈추거나 소규모로 대류를 할 때, 마그마 암장의 상부에 축적되는 휘발성분에 기인한 증가된 $PH_2$O가 인회석이 UBS에서 정출 되는 것을 방해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회석의 특성을 고려해서 Skaergaard분화작용을 modeling하면 희토류는 폐쇄계로서의 예상된 경향을 따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종 20% 분화작용기간 중에 양적으로 상당한 양의 마그마의 주입이나 분출을 수반하는 그 어떤 Skaergaard 암체의 분화model도 배격한다.

  • PDF

Moving Cell Theory를 이용한 동적 교통망 부하 모형의 개발 (Dynamic Network Loading Model based on Moving Cell Theory)

  • 김현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13-13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oving Cell theory에 기반한 DNL(Dynamic Network Loading)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혼잡이 존재하는 교통망에서 교통류가 갖는 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시된 모형에서는 동일 시간대에 링크에 진입하는 교통량을 하나의 Cell로 형성하고 Cell following rule에 따라 링크에서 진행시킨다. 기존의 DNL 모형들은 링크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패기행렬을 묘사하기 위해 연속성을 갖는 단일 링크를 주행구간과 대기행렬 구간으로 분리하여 링크에서 발생하는 동적 상태(state)를 주행과 대기로 간단히 묘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은 교통류의 다양한 동적 특성을 묘사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염물질 확산분석 등에 주로 이용되었던 Lagrangian method과 차량 추종모형을 결합한 Moving Cell theory를 개발하였다. Moving Cell theory하에서 차량군(platoon)은 Cell로 표현되며, 각 Cell들은 추종이론에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Moving Cell 기반의 시뮬레이선 모형은 이미 Cremer et al.(1999)에 의해 제시된 바 있으나 그 분석 대상이 고속도로 본선구간이었기 때문에 합류나 분류문제를 풀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Cell이 포함 가능한 차량대수를 인위적으로 설정하는 등 기초적인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들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Moving Cell theory를 개발함으로서, 교통류의 연속적인 동적 특성 변화를 Cell의 이동과 상태 변화를 통해 재현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합류와 분류가 존재하는 간단한 가상교통망에서 실행되었고, 기존 DNL 모형에 비해 향상된 동적 교통류 묘사능력을 얻을 수 있었다.on constraint)을 토대로 다음 통행배정 시간대의 실시간 수요로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여도 취소소송의 대상으로 삼도록 하는 보다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논의전개를 제안하였다.수 있었다.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암항원 유전자 발현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0.2 uM농도에서도 유전자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 5 uM농도에서 매우 강하게 유도되었다. ADC 처리가 페암세포주의 MHC와 B7 발현을 증가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1 uM 농도의 ADC를 72시간 처치한 후 FACS 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페암세포주에서 MHC 및 B7분자의 발현은 유도되지 않았다. 또 ADC농도가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DC를 0.2, 1, 5 uM농도로 96시간 처치 후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대성장지수를 알아본 결과 ADC 처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성장은 매우 감소하였다. 결론: 폐암세포주에서 ADC처치는 MAGE, GAGE 및 NY-ESO-1과 같은 세포독성 T 림프구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암항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ADC의 세포독성과 항원 발현 유발시간을 분석할 때 1 uM 농도에서 48시간 처치한 후 ADC가 없는 배지에서 수일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DC를 처치하여도 MHC 및 B7의 발현의 변화는 없었으므로 ADC를 처치한 폐암세포를 암백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MHC나 B7 및 cytokine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처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량이 거의 없고, 적은

폐암환자의 유도 객담에서 MAGE의 발현 (Expression of MAGE in the Induced Sputum of Lung Cancer Patients)

  • 육동승;신호식;최바울;김지혜;신성훈;옥철호;조현명;장태원;정만홍;박종욱;전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65-274
    • /
    • 2002
  • 배 경 :종양 특이 항원인 MAGE 유전자는 여러 종류의 암조직에서 발현되지만 정상조직에서는 고환의 생식 세포를 제외하고는 발현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MAGE 유전자의 암 특이적 발현을 폐암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유도객담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30명, 대조군으로 기타 폐질환 환자 14명에서 얻은 유도객담을 3cc의 보존제(guanidinium isothiocyanate, Triton X-100)와 잘 섞어 냉장보관 후 당일 MAGE A 1-6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고안된 2종류의 primer(MAGE common primer C1/C2, C3/C4)를 이용하여 nested PT PCR를 실시하여 MAGE 유전자의 발현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MAGE common primer를 이용한 nested RT-PCR에서 폐암환자 30 명 중 24명 (80%)에서 MAGE가 양성으로 발현되었고 대조군에서는 전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p=0.001). 편평세포암 17례 중 13례(76.5%), 선암 9례 중 7례 (77.8%)에서 소세포암은 4례에서 모두 MAGE 양성이었으며 각 군간에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56). MAGE양성인 환자 24명 중 약 반수인 11 명에서는 기관지 내시경검사에서 육안적으로 종양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였다. 결 론 : 유도객담에서 MAGE 유전자는 암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높은 빈도의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객담을 이용한 MAGE 검사법이 폐암의 검색, 조기진단 그리고 치료 후 경과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