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T(Nanotechnolog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효율성 비교를 통한 나노기술 분야별 R&D 전략 수립 (R&D Strategy Development for Nanotechnology Areas based on Efficiency Comparisons)

  • 배성훈;김준현;정연주;강상규;김재신;김흥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1-40
    • /
    • 2017
  •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investments between NT (Nanotechnology) areas in terms of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and found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ies of national R&D investments for each NT area. This is in response to huge R&D investments government has made recently in NT areas. Here, we collected data on investment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the R&D projects in NT areas through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data, we analyzed the investment and performance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each NT area, calculated the efficiency for each NT area, and compared the efficiencies between NT areas. Next, using cluster analysis, we identified several NT area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aper efficiency, patent efficiency and commercialization efficiency. Finally, we derived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cy enhancement for each grouping.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could be two groups, one being low in terms of technological outcome (papers and patents) efficiencies and high in terms of commercialization efficiencies, while the other being high in terms of technological outcome (papers and patents) efficiencies and low in terms of commercialization efficiencies. Therefore, the strategy for one group calls for support for technology transfer or technology introduction from other R&D performers and grant of guidance for improving R&D performers' commercialization ability to other R&D performers while the strategy for the other group calls for R&D support for transfer of technology to other R&D performers, activa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R&D performers.

한국의 나노기술:초기 정책 형성과 사회적 수용을 중심으로 (Early Development of Policy and Public Understanding of Nanotechnology in Korea)

  • 이은경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91-116
    • /
    • 2007
  • 이 논문은 한국에서 나노기술이 도입되고 확산되는 과정을 정부정책, 교육 연구기반 확대, 그리고 사회적 수용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려고 시도한다. 이를 위해 미국이 <국가나노기술계획>을 발표한 후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식과 언론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 나노기술 소개, 그리고 정부의 지원 정책의 영향을 받은 나노기술 교육 및 연구 기반 확대의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의 나노기술의 성장은 새로운 정책 수립의 필요성이라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촉발되었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 정보통신기술이나 생명공학기술과 달리 나노기술의 위험에 대한 지적이나 비판적 논의가 형성되지 못한 가운데 나노기술은 매우 긍정적인 미래 기술의 이미지를 얻었고 기술영향평가와 같은 내용은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이는 한편으로는 정부와 언론 중심으로 나노기술에 대한 담론이 형성된 데 따른 결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나노기술이 큰 사회적 저항 없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 중 하나로 작용했다.

  • PDF

나노기술 정보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내 나노기술 정보자원 현황 및 정보수요엔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Resources and Demands of NanoTechnology in Korea)

  • 소대섭;강상규;이호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127-134
    • /
    • 2002
  • 나노기술은(NT)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환경기술(ET)과 함께 국가 핵심 전략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을 지원하는 기반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나노기술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류, 가공하고 표준화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효율적으로 확산 유통 시킬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유정보, 인력, 장비 등 나노기술 관련 정보자원 및 연구전문가들의 컨텐츠 및 정보수요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연구 분석하였으며 체계적이고 국가적인 나노기술정보의 종합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나노입자를 이용한 의학진단

  • 조경아;김진형;박병준;이준우;김현석;김상식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7권4호
    • /
    • pp.32-39
    • /
    • 2004
  • 차세대 신기술로 부상하고 있는 나노바이오 기술(Nano-Bio Technology)은 10억분의 1이라는 정밀도를 바탕으로 원자나 분자를 조작해 새로운 물질을 만들고 시스템을 창조하는 나노기술(Nanotechnology : NT)과 생명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바이오 기술 (Biotechnology : BT)이 융합된 분야이다. 근본적으로 무기물을 다루는 NT와 생명체를 다루는 BT가 융합할 수 있는 것은 BT의 궁극적인 연구대상인 DNA, RNA, 단백질의 크기가 수 나노미터로 NT의 연구대상의 크기와 동일하다는 데에 있다.(중략)

  • PDF

우주탐사용 나노기술 개발 동향 (Current Status of Nanotechnology Development for Space Exploration)

  • 이호성;채연석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1호
    • /
    • pp.90-98
    • /
    • 2008
  • 나노기술(NT, Nanotechnology)은 분자 및 원자 수준에서 물질을 제작 및 가공할 수 있는 초극미세기술을 의미하며, 재료, 물리, 전자 등의 기존의 기술 분야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술 영역을 구축하는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가 필요한 분야이다. 국내에서는 탄소나노튜브가 향후 반도체를 견인할 10대 신성장동력 미래기술로 선정되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기술이 미소과학 분야라면 우주기술(ST, Space Technology)는 거대 복합과학 분야를 대표하는 기술로서 기계, 재료, 전자, 통신 등의 기술을 활용하는 시스템 기술이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선진국 보다 비록40년 가량 늦었지만 15년 남짓한 기간에 기술자립화 단계로 나아가는 비약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남 고흥에 나로우주센터가 완공되면 우리 땅에서, 우리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발사할 수 있게 된다. 나노기술분야는 나노재료, 나노전자, 나노제조 등 매우 광범위하므로 우주기술 개발을 위한 제한된 자원의 견지에서, 비용 대비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는 나노 기술적 구성요소들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NASA에서 수행중인 나노기술 개발현황과 유럽의 9차 나노포럼에서 보고한 우주항공분야의 나노기술을 기초로, 현재 우주항공선진국에서 수행중인 개발 현황을 정리하였다. 성능 나노기술의 도움으로 이전에는 불가능하였던 우주 기술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바, 우주개발의 경쟁력을 얻기 위해서는 나노기술을 접목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따라 2025년 달탐사 착륙선을 개발할 계획이므로, 나노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선진국수준의 기술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 PDF

나노기술 정보 분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Analysis of Nanotechnology and Contents Development)

  • 소대섭;이일형;최붕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95-102
    • /
    • 2003
  • 본 연구는 국가 전략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나노기술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나노기술의 정보분석 및 기술, 산업시장 등을 분석하고 가공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전 수요조사 및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통해 핵심적인 중요 과제를 도출한 후, 내외부 전문가가 공동으로 정보분석과 기술동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은 물론 실제로 방법을 적용하여 콘텐츠로 가공하여 DB로 구축하였다. 또한 산ㆍ학ㆍ연ㆍ정의 관계 전문가에게 인터넷 정보망과 책자 및 전자매체(CD-ROM)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가 나노기술의 핵심 역량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New Measurement to Understand Convergence Phenomenon

  • Kim, Keun-Hwan;Moon, Yeong-H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2권1호
    • /
    • pp.37-62
    • /
    • 2013
  • Many scholars have persevered in understanding the convergence process by developing a measure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gence phenomenon as a process. Recently a series of studies suggested a framework in terms of diversity and coherence. However, an index for coherence is required to reflect the vital features of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hus a new index for coherence is proposed in this paper. Technology Convergence Index combines diversity and coherence and indicates the degree of the convergence in information computer technology (ICT), biotechnology (BT) and nanotechnology (NT) sectors. The index can not only be used to track each technology field that consists of a major technology sector, but also to compare other leading countries. Based on a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degrees of technology convergence of Korea in ICT, BT, and NT sectors have ameliorated.

DEA를 활용한 나노기술의 투자분석 (Analysis of Investment in Nanotechnology Using DEA)

  • 윤승철;김흥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01-110
    • /
    • 2018
  • This study aims to objectively measure the efficiency of nanotechnology R&D programs by systematically evaluating the inputs and outputs of nanotechnology R&D activit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anotechnology R&D programs. Data on input factors such as R&D investment, R&D manpower, R&D period, and output factors such as paper, patent, and commercialization for R&D projects which started from 2008 or afterwards and ended by 2011 are gathered through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which are used for efficiency evalu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R&D efficiency in detailed technology units in depth. The process take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asic statistics of input and output factors to compare and analyze R&D investment, R&D manpower, R&D period, paper, patent, and commercialization status by technology unit are analyzed. Next, DEA models are utilized to derive the overall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by conducting the efficiency evaluation for each technology unit, from which implications for strategic budget allocation are derived. In addition, partial efficiency evaluation is conducted to identif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unit. In turn, cluster analysis is performed to identify similar technology units, from which implications for efficiency improvement are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