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RCS curve numbe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4초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한 소규모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Quantification of Flood Reduction Effect of Small Stormwater Detention Facilities by NRCS Curve Number)

  • 유철상;김경준;박민규;윤정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09-1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를 NRCS 유출곡선지수의 감소율로 정량화하였다. 저류시설로 유입되는 유출용적을 계산하기 위해 수정합리식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강우 특성(강우 빈도, 지속시간)과 저류시설의 규모에 따라 설치 전후의 NRCS 유출곡선지수 감소율을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저류시설의 규모에 따른 유출곡선지수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도표를 개발하였다. 이 도표는 저류시설의 최적 위치 및 용량 결정을 할 경우 저류시설의 효율을 평가하는데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에 의한 결과는 또한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과 CN Aligner 공식을 이용한 유출곡선지수 재산정 (Redetermination of curve number using genetic algorithm and CN aligner equation)

  • 박동혁;강두선;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5호
    • /
    • pp.373-380
    • /
    • 2016
  • 우리나라에서 유효우량을 구하는 방법은 미국의 NRCS-CN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70%가 산악지역인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과 담수재배를 하는 논의 유출특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NRCS-CN 방법으로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경우 실제의 강우-유출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확한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유출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지역의 유출곡선지수를 재산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토양형 A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고, 토양형 A의 유출곡선지수를 CN aligner 공식에 적용하여 나머지 토양형 B, C, D에 대한 유출곡선지수를 추정하였다. 초기 유출곡선지수와 계산된 유출곡선지수를 비교한 결과, 천왕은 0, 춘양은 -1, 장기는 -3의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실제 강우-유출을 반영할 수 있는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를 제시하였다.

CN 분포를 고려한 총 유출량 산정기법 (Runoff Volume Estimation Technique with Consideration of CN Distribution)

  • 윤라영;손광익;신승철;노진욱;심재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80-1884
    • /
    • 2007
  • The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Curve Number(NRCS-CN) method is one of the widely used methods for computation of runoff from a basin. However, NRCS-CN method has weak point in that the spatial land u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re ignored by using area weighted CN value.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which can estimate runoff by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of CN and flow accumulation at the outlet of the watershed by appling Moglen's method. Comparisons between the results from NRCS-CN method and this study showed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of experimental watersheds. The developed program predicted lower runoff than the conventional NRCS-CN method.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design direction which can simulate real runoff phenomena. And the developed program could be applied into runoff minimization design for a basin development.

  • PDF

NRCS-CN 방법을 이용한 유효우량 산정기법의 비교분석: 가중평균방법과 경사도 도입을 중심으로 (Comparing Calculation Techniques for Effective Rainfalls Using NRCS-CN Method: Focused on Introducing Weighted Average and Slope-based CN)

  • 문건우;유지영;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171-1180
    • /
    • 2014
  •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할 경우 NRCS-CN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NRCN-CN 방법에서 유역의 유출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인 유출곡선지수(CN)은 미국 유역을 대상으로 개발되어졌기 때문에,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적용될 경우 지역의 강우-유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에서 유역의 CN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적절한 유효우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역의 CN값을 가중평균하는 방법과 유역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CN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관측 유효우량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경사도를 고려하여 CN값을 보정할 경우 유효우량이 전반적으로 크게 산정되었으며, 유효우량의 지속시간 또한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우량의 산정방법에 따른 통계학적 오차 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사도로 보정한 CN값을 적용한 가중평균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관측 직접유출량과 높은 정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초기손실량과 GIS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최대잠재보유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NRCS-CN 방법에서 적용되고 있는 선형가정은 실제 강우-유출 관계와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면의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비점오염원 저감 저류지 최적용량산정 (Optimal Volume Estimation for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Land Surface)

  • 최대규;김진관;이재관;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8
    • /
    • 2011
  • In this study the optimal volume for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is estimated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land surface. The 3-parameter mixed exponen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s used to represent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rainfall events, and NRCS-CN method is applied as rainfall-runoff transformation. The catchment drainage area is divided into individual $30m{\times}30m$ cells, and runoff curve number is estimated at each cell. Using the derive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ory, the stormwate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t each cell is derived from the rainfal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NRCS-CN rainfall-runoff transformation. Considering the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 at each cell and the spatial variation of CN value at the whole catchment drainage area, the ensemble stormwater capture curve is established to estimate the optimal volume for an non-point source control retention. The comparison between spatio-temporally varied land surface and constant land surface is presented as a case study for a urban drainage area.

GIS와 NRCS방법을 이용한 호우형태에 따른 빈도별 유출 분석 (Frequency Runoff Analysis by Storm Type using GIS and NRCS Method)

  • 연규방;정승권;김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9-131
    • /
    • 2003
  • 강우-유출과정은 시간적, 공간적 다변성을 지닌 수문학적 인자에 좌우되기 때문에 수문모의를 위해서는 많은 매개변수와 다양한 정보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GIS 기법과 유출분석을 위한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방법을 이용하여 빈도별 유출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FARD 200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분석하였으며, 대상유역인 보청천 산성유역에 대한 확률강우량은 Log-Pearson Type III가 가장 적합한 분포형으로 나타났다.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DEM 자료의 분석은 TOPAZ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유역 내 유효우량 산정을 위해 토지이용도와 토양도를 이용하여 NRCS curve number를 산정하였다. NRCS 방법의 적용을 위한 호우형태는 Type II와 Type III를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재현기간이 80년 빈도 이상인 호우에 대해서는 Type II, Type III에 상관없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유역의 하천정비기본계획보고서에서 제시한 빈도별 홍수량과 비교한 결과 재현기간 80년과 1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하여 상대오차가 각각 7.65%와 5.33%로서 비슷한 유출량을 나타내었다.

  • PDF

NRCS-CN의 초기손실량 산정방법의 개선을 통한 유효우량 산정 (Estimation of Effective Rainfall Through Improving Initial Abstraction Method of NRCS-CN)

  • 박동혁;무하마드 아즈말;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98-98
    • /
    • 2015
  •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량을 산정할 경우,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NRCS-CN(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 curve number)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NRCS-CN 방법은 초기손실량을 잠재보유수량의 20%로 가정하고 유효우량을 산정한다. 이는 초기손실량을 과대 추정하여 유효우량의 과소산정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강우-유출사상을 바탕으로 초기손실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보완하였다. 우리나라 홍수기 동안 강우-유출 자료를 확보한 15개의 유역에 대해 658개의 강우-유출사상에 대하여 NRCS-CN 방법을 기반으로, 초기손실량과 유효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관측 직접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NRCS-CN 방법(M1), NRCS-CN 방법에서 초기손실량계수를 감소시킨 방법(M2), 관측 강우-유출 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M3)을 적용하였다. 또한 USDA에서 제시하는 CN값(CNT)과 유역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조정한 CN값(CNC)을 각 방법들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성과는 Root Mean Square Error (RMS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그리고 Percent Bias (PBIAS) 등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그 결과 CNT를 M1, M2, M3에 적용한 경우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0.24, 18.12, and 16.04), NSE(0.54, 0.73, and 0.79), PBIAS(36.54, 20.25, and 12.00)]로 나타났으며. 이와 비슷하게 CNC를 M1, M2, M3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17.17, 15.88, and 13.82), NSE(0.76, 0.80, and 0.85), PBIAS(3.06, 4.47, and 0.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M3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유효우량이 관측된 직접유출량과 통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나타났다.

  • PDF

점근 회귀방정식을 이용한 한강 권역 소유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Estimation of Curve Number Using Asymptotic Regression Method in Small Watersheds of Han Rive)

  • 유지수;박동혁;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5-215
    • /
    • 2017
  • NRCS-CN 방법은 총 강우량으로부터 유출량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국내에서는 설계홍수량 산정 시 NRCS-CN 방법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CN값은 토지이용 및 피복, 토양특성, 수문학적 조건(AMC)에 따른 함수로 결정할 수 있으나, 보통의 경우 미국의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NEH-4)에서 제시한 표를 활용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 현황은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현실 조건을 반영한 조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관측 자료가 확보되지 않아 이러한 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NRCS-CN 방법에서는 결과 값이 총 강수량보다 CN에 크게 의존적이기 때문에 부정확한 CN 값의 산정은 큰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소유역에서는 초기손실량이 설계홍수량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우리나라는 초기손실률을 20%의 고정된 값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제주도와 같은 특수한 투수성 지층에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강수량과 CN 사이에는 특정 관계식이 존재하며, 고정된 CN 값이 아닌 강수량에 따라 변화하는 값을 적용하는 것이 기존의 NRCS-CN 방법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NRCS-CN 방법의 CN 값과 초기손실률을 유역에 적합하게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의 NRCS-CN 모형에 점근 유출곡선지수방법(Asymptotic CN Regression Method)을 통해 산정된 CN값과 각기 다른 초기손실률(0.01, 0.05, 0.10, 0.20, 0.40)을 적용하여 개선된 총 8개의 모형을 한강 권역 소유역에 적용하였다. RMSE, MAE 및 R-square 등의 지표를 이용하여 모형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최적의 모형 및 미개변수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NRCS-CN 방법보다 점근 유출곡선지수방법을 적용했을 때 더 작은 오차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부분의 유역에서 0.01 또는 0.05 등 기존보다 더 작은 초기손실률을 채택 시 실측값과 가장 적은 오차를 나타냈다.

  • PDF

점근유출곡선지수법을 이용한 소유역 유출곡선지수 산정 및 최적 초기손실률 결정 (Using asymptotic curve number regression method estimation of NRCS curve number and optimum initial loss ratio for small watersheds)

  • 유지수;박동혁;안재현;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1호
    • /
    • pp.759-767
    • /
    • 2017
  • NRCS-CN 방법을 이용해서 유출량을 결정하는 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유출곡선지수와 초기손실률이다. 수자원 실무에서 유출곡선지수와 초기손실률은 대부분 미국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의 지침에 따라 결정하지만, 우리나라 유역의 토양 및 수문학적 특성은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유출량을 과대 또는 과소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유역특성에 적합한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점근유출곡선지수법을 이용하여 총 8개의 유효우량 산정 모형(M1~M8)을 제시하였다. RSR (RMSE-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과 NSE(Nash-Sutcliffe Efficiency)의 두 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모형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계측 유역에서는 M6 (평균 RSR: 0.76, 평균 NSE: 0.39), 미계측 유역에서는 M7 (평균 RSR: 0.82, 평균 NSE: 0.31)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유역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초기손실률 0.20보다 더 작은 값(0.01-0.10)을 적용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토지이용 분포를 고려한 유출량 산정기법 (Runoff Estimation with Consideration of Land-Use Distribution)

  • 손광익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97-102
    • /
    • 2008
  • 최근 유역으로부터의 유출량을 산정기법으로 NRCS-CN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NRCS-CN 기법은 면적가중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토지이용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유출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류를 반영하는 Moglen(2000) 이론을 FORTRAN을 이용해 개발한 흐름누적 산정 알고리즘에 도입함으로써 CN의 공간적 분포를 반영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과 기존의 area-weighted CN기법을 시험유역에 적용하여 비교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유출특성을 개념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에 비해 유출량을 작게 예측함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출현상에 보다 더 근접한 유출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유역개발을 위한 유출최소화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