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PK Applicatio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4초

Crosstalk of Zn in Combination with Other Fertilizers Underpins Interactive Effects and Induces Resistance in Tomato Plant against Early Blight Disease

  • Awan, Zoia Arshad;Shoaib, Amna;Khan, Kashif Al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30-340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ntegrated effect of zinc (Zn) with other nutrients in managing early blight (EB) disease in tomato. A pot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basal application of the recommended level of macronutrients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NPK)] and micronutrients [magnesium (Mg) and boron (B)] in bilateral combination with Zn (2.5 and 5.0 mg/kg)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igned in replicates. Results reveal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Zn with Mg or B was often futile and in some cases synergistic. Zn with NPK yield synergistic outcome, therefore EB disease was managed significantly (disease incidence: 25% and percent severity index: 13%), which resulted in an efficient signaling network that reciprocally controls nutrient acquisition and uses with improved growth and development in a tomato plant. Thus, crosstalk and convergence of mechanisms in metabolic pathways resulted in induction of resistance in tomato plant against a pathogen which significantly improved photosynthetic pigment, total phenolics, total protein content and defense-related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peroxidase (POX), polyphenol oxidase (PPO)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The tremendous increase in total phenolics and PAL activity suggesting their additive effect on salicylic acid which may help the plant to systemically induce resistance against pathogen attack. It was conclud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Zn (5.0 mg/kg) with NPK significantly managed EB disease and showed positive effect on growth,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ttributes therefor use of Zn + NPK is simple and credible efforts to combat Alternaria stress in tomato plants.

토양 비옥도가 상이한 조건에서 돈분 퇴비와 요소 비료의 배추에 대한 시비효과 (Pig Manure Compost and Urea Application Effects on Chinese Cabbage in Different Soil Fertility)

  • 윤홍배;한승갑;이종식;이예진;김명숙;이용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62-967
    • /
    • 2010
  • 가축분퇴비 시용시 시비질소의 이용효율 증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토양 비옥도가 다른 두 토양 (Soil-L와 Soil-H)에서 돈분 퇴비와 질소비료 (요소)의 혼용비율을 달리하여 포장조건에서 배추를 포트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추수량은 Soil-L에서는 시용질소를 전량 화학비료로 시비한 NPK 대비 돈분퇴비로 시용한 COM 100 처리구에서 17% 감소한 반면, 화학비료 질소와 퇴비를 혼용한 3처리 (COM 70+N30, COM50+N50 및 COM30+N70) 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oil-H에서는 NPK 대비 COM100 처리구에서 23.6%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배추의 질소흡수량은 두 토양 공히 NPK 처리구와 N70+COM30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비 질소에 대한 배추의 생산효율은 두 토양 모두 화학비료의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그리고 화학비료를 전량 시비한 NPK 처리구에서 두 토양의 질소 생산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질소 시비량을 전량 퇴비로 시용한 COM 100 처리구에서는 Soil-L에서 28.8 g $g^{-1}$으로 Soil-H 16.2 g $g^{-1}$보다 현저히 높았다.

유기질비료 시용이 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김철호;윤화모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9-36
    • /
    • 1992
  • 유기질비료 시용이 봄 및 가을 작형에서 무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실험을 실시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의 엽장, 엽중, 근장, 근경, 근중등 생육은 봄, 가을작형 모두에서 3요소, 발효계분 + 1/5 량NK추비, 발효계분, 계분, 무처리구 순으로 촉진하는 경향이었으며, 엽의 chlorophyll 함량과 질소함량도 생육에서와 같은 처리순으로 증가하였다.2) 봄 및 가을작형의 수량에 있어 발효계분 450kg 처리구는 3요소구에 비해 저하되는 경향이었으나 전국평균 수량을 상회하였다.3) 발효계분처리로 4회연속재배한 경우보다 1회재배한 경우보다 3요소처리구와의 무 생육차가 감소하였다.4) 무 재배후 토양의 질소 및 마그네슘함량은 처리간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pH, 유기물함량과 인산 및 칼슘함량은 3요소구에 비해 발효계분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한국산의 죽류에 관한 연구 (제8보) 신죽과 구죽에 있어서 비료의 종류에 따르는 효율성에 대하여 (RESEARCH ON THE BAMBOO IN KOREA (Ⅷ) On the Effectiveness of Fertilizers by kind upon the New and Old Bamboos)

  • Chong, Hyon-Pae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9권1_2호
    • /
    • pp.25-30
    • /
    • 1966
  • The writer presented in the report 7th of this series(Chong, 1959. '62 a.b. '64, '65) the result of fertlizer application on Sasamorpha purpurascens var. borealis with regards to soil conditions, climate, planting position etc. and this report is on the effectiveness of fertilizers by kinds of the new (1-year old) and old(3-to 4 years old) Phyllostachys retticulata. The ineffectiveness of fertilizers for old bamboos aged more than 8-years old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The study site was chosen in a bamboo groven situated at Hyunnae Ri, Okkye Myun, Myungju Gun, Kangwon Do. Each plot was so designed that only one individual remained at the center of a circular area with a dimeter of meters by eliminating the clums and severing the rhizomes, of other individuals around it. And, for the fertilizer test, 10 individuals(the new and old: 5 to 5) were observed per kind of fertilizer used; thus marking the total number of 160 plots in all.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otted individuals which numbered 48, successfully established ones out of 55 the transplanted to pots. The 48 were divided into 8 treatments: whole fertilization (NPK+compost+human manure); NPK; N; K; Human manure; compost; and the control. Amoung of fertilizers applied was 200 grams for the natural plots and 100 grams for pot; it continued for 3 years and applied twice a year (spring and summer) following the theory of Dr. Koichi-ro Ueda(1954, '60 a.b.). Measurements were taken in August each year. The resutls were confirming the fact that the bamboos require a great deal of fertilizer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points: 1) Fertilizers were more effective in the 3 to 4 year old bamboos. 2) The order of effectiveness of fertilizers by kind was the whole fertilization, NPK, and N treatments for Phyllostachys reticulata. 3) Organic matter in addition to commercial fertilizers showed better result than the soil application of the latter due to better soil aeration.

  • PDF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석회 및 3요소 시용수준이 10년후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III. 토심별 염기간 상호비율 및 가시적 토양보존의 특성변화 (Effects of Lime and NPK Application Rates on the Soil Charateristics after a 10-year Experiment in Oversown Hilly Pasture of Mixed Grass-Clover Sward III. Change in the mutural ratios of exchaegeable cations by the soil depth, and the visible characteristics of soil conservation)

  • 정연규;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3-232
    • /
    • 1998
  • 곁뿌림 산지초지의 조성, 수량, 식생 및 목초품질 등에 미치는 3요소($N-P_2O_5-K_20$:0-0-0; 0-10-10; 6-15-15; 12-20-20; 24-25-20 kg/l0a/year)와 소석회 (0, 250kg/10a; 조성시만 시용)의 시용효과를 구명하는 10년간 시험후, 별도로 사심별 토괴의 화학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본보에서는 치환성 체기간 다양한 상호비율 및 사괴 보존성의 가시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1. 사괴비옥도 특성 및 grass tetany 임계수준과 연관하여, 치환성 고기관화비 Ca:Mg:K(% of CEC)와 Ca:Mg:K(K=I), $K/\sqrt{Ca+Mg}$, Mg/K, K/Mg 및 Ca/Mg 당량비를 처리별 및 사심별로 검토하였다. 시험전, 후 이들 비율은 대체로 불균형 및 부적합 하였으며, Mg 시용이 없는 석회 및 3요소 시비는 이틀 고기비를 더욱 부적합하게 하였다. 대체로 Mg>Ca>K 순으로 불량한 요인을 보였다. 2. 석회 시용은 Ca 관화비, Ca/Mg 및 Ca:K 당량비를 상승시켰고, $K/\sqrt{Ca+Mg}$ 당량비는 하락시 켰으나 적정비 수준에는 크게 미흡하였다. 3요소 수준에서 무비구 및 다비구(질소다비)는 소비구와 보비구에 비해 K 관화비 및 $K/\sqrt{Ca+Mg}$가 더 낮았다. 3. 사괴 보존성은 시비관리에 따른 수량성/식생율 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3요소 무시용구는 수량/ 식생의 불량으로 심한 침식(3등급), 심사의 노출, 척 갈색 사색, 석진의 노출(피복율 18.8%)을 보였다. 시복량의 중가에 따라 토양 보존성이 향상되었고, 3요소 보비구 및 다비구에서는 침식이 거의 없고(1등급), 지표면에 유기질/잔해물의 퇴척충이 형성되었으며, 표사는 암갈색을 띄었고, 석력의 지표 피복율은 모두 0.1% 이하로 거의 노출되지 않했다. 석회 시비로 인한 두과목초의 수량/식생의 양호는 토양 보존성을 증대시켰다.

  • PDF

염류집적토양에서 규산질 비료가 인산의 유효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icate Fertilizer on Increasing Phosphorus Availability in Salt Accumulated Soil during Chinese Cabbage Cultivation)

  • 이용복;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14
    • /
    • 2006
  • 시설재배지내 염류와 인산이 집적된 토양(Total-P; $2140mg\;kg^{-1}$)에서 이온간 경쟁에 의한 인산의 유효도를 증진효과 조사하기 위해 현장 작물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규산의 인산유효도 증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규산을 처리하지 않은 삼요소구(NPK)를 대비구로 하여, 인산무시용 조건에서 규산질비료를 세수준(0, 2, $4Mg\;ha^{-1}$)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인산을 시용한 삼요소구에 비해 인산을 무처리하고 규산을 처리시 배추의 생육과 수량은 크게 증대되었다. 특히 인산을 무처리하고 규산을 $4Mg\;ha^{-1}$ 처리시 삼요구에 비해 약 25%의 수량증대가 확인되었다. 식물체내 인산함량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규산 처리량 증가에 따른 수량증대로 인산 흡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규산질비료 시용량 증가에 따라 토양 중 유효인산함량의 유의적 증가가 하였으며, 토양의 유효규산과 식물체의 규산함량간($r=0.76^{**}$), 그리고 식물체 규산함량과 배추 수량간($r=0.78^{**}$)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시용규산이 토양 내 인산의 유효도 증진과 작물의 인산흡수량 증가에 직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규산질비료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의 인산 흡수량 증가로 인해 시험 후 토양 중 Total-P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효인산 함량에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시험 전 토양과 비교할 때 배추수확 후 토양 내 전 인산 함량 감소는 주로 Ca-P 함량 감소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인산 집적지 토양에 규산질비료의 적절한 시용은 인산의 유효도를 증진시켜 작물의 수량을 증대시키고, 인산시비량 감축에 따른 인산집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질비료 시용시 흑색비닐 멀칭이 봄 배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Chinese Cabbage Growth Effected by Black Vinyl Mulching and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in Spring Season)

  • 윤홍배;이종식;이예진;김록영;송요성;한승갑;이용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07-1111
    • /
    • 2011
  •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유기질비료 사용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배추의 생육 및 질소 이용효과를 평가하였다. 처리는 배추재배의 NPK 표준시비구 ($N-P_2O_5-K_2O$ : $320-78-198kg\;ha^{-1}$)를 비롯하여, NPK 시비구의 질소시비량을 기준한 유기질 100% (OF100), 유기질70%+질소30% (OF70+N30), 유기질30%+질소70% (OF30+N70) 처리하였고, 비닐 멀칭효과를 분석하고자 동일 처리구에 각각 비멀칭과 흑색비닐멀칭재배를 실시하였다. 배추 재배기간동안 지온을 조사한 결과, 흑색비닐멀칭이 비멀칭재배에 비해 일일 평균 $2^{\circ}C$ 높았다. 토양 중 무기태질소함량은 OF100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배추수량도 OF100 처리구에서 흑색비닐멀칭구가 비멀칭구에 비해 46% 증가하였다. 질소이용율은 비멀칭 재배시 NPK 처리구 44%, OF100구는 26%, OF70+N30구는 21%, OF30+N70구는 27%이었고, 흑색비닐멀칭 재배시 NPK처리구는 56%, OF100구는 55%, OF70+N30구는 51%, OF30+N70은 39%의 질소이용율 각각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를 병용하고 흑색비닐 멀칭을 실시하면 질소 이용율을 높임으로서 비료를 절감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라고 판단되었다.

초지에서 시비관리의 차이가 사초생산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 류종원;헬무트야콥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6
    • /
    • 1998
  • The effects of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on herb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were determined.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during 1991 - 1993 on sandy loam soil at Allgiu south western Germany under variabling fertilizer management; cattle slurry, NPK, PK chemical fertilizer management and zero fertilization. The dry matter yield of forage was the highest in the plot of mineral fertilizer and lowest in the plot of without fertilization. The dry matter yield of P-K application was higher by 1.2 ton than that of without fertilization.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fibre, digestible dry matter yield, net energy and nitrogen content of pla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N uptake of plants was in the order NPK chemical fertilizer (347kg N/ha) > cattle slurry (337kg N/ha) > P-K chemical fertilizer (325kg N/ha) > without fertilization (3 15kg N/ha).

  • PDF

하수슬러지 퇴비 시용이 토양의 화학성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wage Sludge Compost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Paddy Rice)

  • 이홍재;조주식;임영성;반경녀;신원교;허종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1호
    • /
    • pp.31-42
    • /
    • 1999
  • 하수슬러지의 농지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하여 생산된 퇴비를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벼 생육시기별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 식물체중 무기성분 및 중금속함량 변화, 현미중 중금속함량변화, 작물생육상황,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중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및 치환성카리는 퇴비시용 20일 후 퇴비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수확기에는 퇴비시용 20일 후에 비하여 질소, 유효인산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토양중 중금속함량도 퇴비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 폭은 매우 미미하였다. 수확기의 식물체 부위별 질소 및 카리함량은 퇴비시용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부위에서 별 차이가 없었으나, 인산함량은 퇴비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리고 식물체 부위별 및 현미중 중금속함량은 처리간 별 차이가 없었다. 벼 수량은 삼요소에 하수슬러지 퇴비를 각각 1,000, 2,000, 4,000 및 6,000kg/10a 시용 하였을 경우 삼요소구에 비하여 각각 약 3, 18, 44 및 54%증가되었으며, 벼의 건물중, 분얼수 및 주당입수는 하수슬러지 퇴비의 시용으로 증가하였다.

  • PDF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의 고추에 대한 시비효과 평가 (Evaluation of Fertilization Effect of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on Pepper Cultivation)

  • 이창훈;이협;하병연;강창순;이용복;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8-232
    • /
    • 2007
  • 고추작물의 생육기간 중 양분요구특성에 부합하는 새로운 완효성 복합비료를 개발하기 위해 질소 용출율이 110일과 150일로 조절된 완효성 복합비료 110T와 150T을 제조하여 포장 조건에서 질소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추에 대한 관행시비량 기준으로 60%의 완효성 복합비료 110T, 150T와 40%의 속효성 비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의 토양 내 질소 용출 특성과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행처리(NPK)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밭 토양조건에서 완효성 질소비료 110T와 150T의 질소 용출율은 시용 8주경과 후 각각 63%, 53%가 용출되어 원예작물인 고추재배에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예용 복합비료 CF110과 CF150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여 고추를 재배하였다. 고추의 전 생육기간 동안 토양 내 무기태 질소($NH_4^+-N$$NO_3^--N$) 함량은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CF150 처리구에서 토양 중 무기태 질소 함량은 정식 후 8주까지 NPK 처리구에 비해 낮았다.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10 처리구와 NPK 처리구사이의 고추 생육과 무기성분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량은 CF110 처리구에서 NPK 처리구에 비해 4% 증수 되었다. 그러나 원예용 완효성 복합비료 CF150 처리구는 NPK 처리구에 비해 수확 후 엽중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수량도 2%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추재배를 위한 적합한 완효성 복합비료는 CF150 보다는 CF110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