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PD projec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디자인과 마케팅 협업의 틈새관리: 디자인과 마케팅의 협업시 통합의 문제와 해결방안 (Bridging the Chasm between Design and Marketing: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Integration Between Design and Marketing)

  • 임수빈;주재우;마틴 린더;남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26-1035
    • /
    • 2015
  •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해서 디자인과 마케팅의 통합은 중요하지만, 두 영역이 통합할 때에 명확하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고 실제로 어떠한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되는지에 관한 논의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마케팅이 통합될 때 발생하는 구체적인 문제와 실질적인 해결책을 알아내기 위하여, 미국의 한 대학교에서 디자인 학생들과 마케팅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2년간의 통합적 신제품 개발 수업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5명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 기능적 차이에 따른 갈등과 (2) 의사결정 권한의 불균형이 구체적인 문제점으로 발견되었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 의사소통을 강화하거나 (2) 의사소통을 단절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디자인 마케팅 협업시의 통합 영역의 학문적 시사점을 정리해본다.

네트워크분석과정(ANP)을 이용한 기술개발 성공 예측 : MRAM 기술을 중심으로 (An Analytic Network Process(ANP) Approach to Forecasting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 The Case of MRAM Technology)

  • 전정환;조현명;이학연
    • 산업공학
    • /
    • 제25권3호
    • /
    • pp.309-318
    • /
    • 2012
  • Forecasting probability or likelihood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has been a crucial factor for critical decisions in technology management such as R&D project selection and go or no-go decision of new product development (NPD) projects. This paper proposes an analytic network process (ANP) approach to forecasting of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Reviewing literature on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development success has constructed the ANP model composed of four criteria clusters : R&D characteristics, R&D competency,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An alternative cluster comprised of two elements, success and failure is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working of the proposed approach is provided with the help of a case study example of MRAM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technology.

하이테크산업에서 선두이점의 원천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ources of Pioneering Advantage in High-tech Industries: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e)

  • 조연진;박경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3-131
    • /
    • 2015
  • 본 연구는 지식경영역량의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역할을 설명하고, 지식습득역량에서 지식적용역량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선두이점과 신제품품질의 우월성, 그리고 신제품 성과 간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지식기반 연구는 지식의 정의, 지식의 유형 구분, 지식과 정보 간의 차이 등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왔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신제품 지식경영활동 중 발생하는 지식습득과 지식적용역량을 전략적 변수로서 간주하여, 지식경영역량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조사하였다. 지식기반이론과 source-position-performance(SPP)구조를 바탕으로, 가치창출에 원천으로서 지식의 유형은 지식경영역량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지식경영역량은 포지션상의 우위를 가져와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하이테크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 중 신제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제품 개발팀의 과장급 이상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7개의 가설 중 신제품 지식의 복잡성과 지식적용역량의 관계(H1b)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공헌은 SPP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지식의 유형과 포지션상 우위를 연결하는 매개변수로서 지식경영역량을 소개하였고, 실증 분석을 통해 신제품 혁신 이론에 지식경영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신제품 개발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팀장들의 역할 즉, 팀 구성원들의 개별 지식 접근능력을 기르고, 그것을 적용하기 위한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은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다.

  • PDF

역동적 환경 하에 구매사/주공급사 간의 기술협력은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는가? (A Study on the Technology Collaboration between the Main Supplier and Buyer under the Dynamic Environment: The Focus on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 이윤숙;함민주;문성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397-4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역동적인 환경 하에 공급사와 구매사의 신제품 개발 기술협력이 구매기업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생산성본부와 지식경제부가 공동으로 조사한 2012년도 한국 600개 제조기업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립 변수로 구매사와 구매사의 주요공급사와의 신제품 개발에서의 기술협력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 구매사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품질달성률(quality), 비용절감(cost), 개발일정준수률(time)의 세 가지 운영 성과를 사용하였다. 환경의 역동성을 조절 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급사와 구매사간의 기술협력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품질 달성율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환경의 역동성은 오히려 공급사 구매사의 기술협력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 성과에 모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경의 역동성이 높은 산업(통신기기산업)과 낮은 산업(조선산업)으로 분리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분석결과, 역동성이 낮은 산업에서는 구매사-공급사의 기술협력이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역동성이 높은 산업에서는 구매사-공급사의 기술협력이 구매사의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운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역동성이 높은 산업은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기존에 지속적으로 거래를 하고 있는 특정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축적된 학습효과 및 시너지를 누리기가 어렵고 이에 주공급업체와의 협력이 프로젝트 운영의 효율성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환경의 역동성이 낮은 환경에서는 기존의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축적된 협력 역량 프로젝트 운영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속성과 횟수는 기업이 처한 환경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주 공급업체와의 기술 협력의 효과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부가가치 수산식품 가공기술 개발 트랜드 및 전망 (Current Trends and Prospects of High Value-added Seafood 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 이영철;김형균;정재천;강창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48-157
    • /
    • 2024
  • The market size of Korea's seafood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62 trillion won ('19), of which the seafood processing industry is about 10 trillion won ('19),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16% of the total market size. However, the current level of processing technology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seafood products is mainly simple primary processing, such as freezing and drying raw materials (in Jeollanam-do, which ranks first in the country in terms of seafood production, primary processors account for 86% of all seafood processors).In the futur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echnology for seafood will become more advanced in respons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consumption patterns. Blue food tech linked to ESG, convergence and digitalization linked to the 4th industry revolution will be further advanced in line with the national seafood industry policy direc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establish itself as an axis of future technology management in the fisheries sector based on the large and small success stories of accumulated seafood R&D commerci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