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생성 농도

검색결과 1,052건 처리시간 0.034초

RAW 264.7 Cell에서 납에 의한 NO 생성의 조절에 미치는 Glutathione의 효과 (Effect of Glutathione on Lead Induced Modulation of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

  • 오경재;권근상;윤욱희;신새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69-274
    • /
    • 2002
  •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Abelson leukemia virus (A-MuLV)를 주입하여 발생시킨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의 배양조건에 납과 NAC및 BSO를 첨가하여 세포생존율과 NO 및 ATP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납을 처리한 기본배양조건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율은 각 농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의 생성량은 $0.5{\mu}M$의 납농도에서부터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TP의 생성량은 각 농도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NAC을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 및 ATP의 생성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BSO를 전처리하고 납을 처리한 배양조건에서의 NO의 생성량은 납만 처리했을 때와 달리 각각의 농도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ATP생성량은 역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납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TP의 생성량은 변화가 없으면서 NO가 감소하는 것을 볼 때, 납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의 억제기전은 수은 및 카드뮴 등과 같이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쳐 ATP생성이 억제됨으로 L-arginine-NO경로에서 ATP를 필요로 하는 iNOS가 작용을 못하여 NO 생성이 저하되는 기전과는 다른 기전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iNOS의 조효소인 세포내 GSH를 증가시키는 NAC을 전처리했을 때 NO의 생성량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고 세포내 GSH를 감소시키는 BSO를 전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NO의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납의 농도에서조차 NO 생성의 감소가 일어난 것으로 볼 때 GSH는 대식세포에서 NO생성을 저하시키는 납의 독성에 보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VA 매트릭스 내에 Silver 나노 입자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s in the PVA Matrix)

  • 정정숙;배광수;김병준;유성구;서길수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73-177
    • /
    • 2007
  • PVA 농도, $AgNO_3$ 농도, IPA의 농도, 그리고 전자빔의 조사량 등의 다양한 조건에서 PVA 매트릭스에서 은입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자 빔을 이용하였다. PVA 농도, $AgNO_3$ 농도, 그리고 IPA의 농도가 증가하고 전자빔의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생성된 은입자의 분포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AgNO_3$ 농도, IPA의 농도, 그리고 전자빔의 조사량은 은입자의 생성에 중요한 변수가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XRD, UV, 그리고 TEM 등으로 확인하였다. XRD로부터 생성된 입자가 은임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은입자의 분포 및 크기 등을 연구하기 위하여 UV와 TEM을 사용하였다.

가미지황탕(加味地黃湯)의 항염작용(抗炎作用)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GamiJihwangTang)

  • 장두현;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128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천식, 기관지염, 폐렴, 결핵, 산후감모 등의 호흡기 질환에 사용되는 가미지황탕(加味地黃場)의 항염작용(抗炎作用)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가미지황탕(加味地黃場)의 항염작용(抗炎作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NO, $TNF-{\alpha}$, $IL-1{\beta}$, IL-6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TNF-{\alpha}$, $IL-1{\beta}$, IL-6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OS, COX-2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PGE_2$ 합성에 미치는 영향 및 COX-2, $NF-{\kappa}B$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평가를 하였다. 결과 : 가미지황탕(加味地黃場)은 MTT 분석을 통한 RAW 264.7 세포주의 생존력 평가에서 세포독성이 없었고,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서 NO, $TNF-{\alpha}$, $IL-1{\beta}$ 및 IL-6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가미지황탕(加味地黃場)은 400 g/ml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 대해 $TNF-{\alpha}$, $IL-1{\beta}$ 및 IL-6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서 iNOS와 COX-2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그 농도에 따라 $PGE_2$ 생성량이 현저하게 억제하였고, LPS로 유도된 COX-2 및 $NF-{\kappa}B$ 전사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이상의 실험을 통해 가미지황탕(加味地黃場)은 iNOS나 COX-2와 같은 Cytokine이 있는 효소에 의해 합성되고 천식에서 증가하는, 혈관과 기관지 긴장도와 관련 있는 NO와 $PGE_2$ 생성량을 억제하고, 염증과 관련된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량을 억제하였다. 또한 $NF-{\kappa}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 및 COx-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으므로 부인과 영역에 있어서도 산후감모, 만성해수 및 천식 등의 기관지의 염증질환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Raw 264.7 cell에서 잣 잎(Koreinsis chinensis L.) 추출물의 Pro-inflammatory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Koreinsis chinensis leaves extract on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cells)

  • 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191-198
    • /
    • 2017
  • 잣나무 잎 추출물에 대해 염증인자인 hyaluron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 물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HAase 저해효과를 보여주었으며, $50-200{\mu}g/mL$ phenolic 농도에서 13.2-29.5%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잣나무잎 추출물을 Raw 264.7 cell에 농도별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NO량을 측정한 결과 LPS처리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하여 3배에 가까운 NO발현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발현을 억제하였다. LPS에 의해서 생성된 $PGE_2$의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25{\mu}g/mL$의 처리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이 26.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기작에 관한 iNO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25{\mu}g/mL$의 농도에서 4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LPS 처리시 또 다른 염증인자인 COX-2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25{\mu}g/mL$의 처리 농도에서 6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잣나무잎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서 생성되는 $TNF-{\cdot}$, IL-6의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25{\mu}g/mL$의 처리농도에서 각각 61.7, 62%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잣나무잎 추출물은 염증억제를 위한 천연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산균발효애엽이 독성물질들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생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pentosus-Fermented Artemisiae Argi Folium on Nitric Oxide Production of Macrophage impaired with Various Toxicants)

  • 박완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9-96
    • /
    • 2009
  •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발효애엽 물추출물이 에탄올 등으로 약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애엽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시료(AFL)를 만들고 만들어진 시료를 10, 50, 100, 200, 400 ug/mL의 농도로 에탄올, 갈릭산,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알데히드, 니코틴과 함께 24시간동안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 NO 생성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갈릭산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2.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에탄올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3.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니코틴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4.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5.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결론:유산균발효애엽추출물(AFL)은 에탄올, 갈릭산, 니코틴,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아미노펜 등에 의해 약화된 대식세포의 NO생성을 회복시킴으로서 다양한 독성물질에 의하여 약화되는 식세포의 항병능력을 회복시키는 면역강화물질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the Ballon Flower) on Oxid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 장주리;황성연;임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도라지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및 glutathione (GSH)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검토하였고 NO 생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실험에서 건조 도라지의 A+M 및 MeOH 추출물과 추출물을 n-hexane, 85% aq. MeOH, n-Bu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HT108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A+M과 MeOH 추출물 모두 측정시간 120분 동안 $500\;{\mu}M$ $H_2O_2$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MeOH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분획물들 중 n-BuOH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들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GSH 농도 측정 실험에서 A+M 및 85% aq. MeOH 분획물를 처리했을 때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NO 생성 저해 실험에서는 A+M 및 MeOH 추출물이 0.01 및 0.05 mg/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 효과가 높았다. 각 분획물들은 모두 control보다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은 0.05 mg/mL 농도에서 blank에 가까운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n-BuOH 분획물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 및 NO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분획물의 분리 정제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uphorbia supina Raf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by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박성철;손대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86-492
    • /
    • 2011
  • 본 연구는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Rafin.) 열수(ESW) 및 에탄올 추출물(ESE)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매개물질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ESW와 ESE은 조사된 모든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SW의 경우, NO의 생성을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1.6%, 31.9%, 44.3%, 54.8% 억제하였고, PGE2의 생성은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5.7%, 34%, 38.2% 억제하여 농도 의존적이고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IL-6의 생성은 25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66.1%, 54.3% 억제하였다. IL-10, TNF-${\alpha}$의 생성은 $5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ESE의 경우, NO의 생성을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38.3%, 66%, 74.7%, 77.5%, $PGE_2$의 생성은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40%, 51.8%, 92.4%, 94.7% 농도 의존적이고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IL-6의 생성은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43.9%, 48.9%, 69.7%, 89.4% 억제하였다. IL-10의 생성은 $500\;{\mu}g$/mL 농도에서 44.1% 억제하였고, TNF-${\alpha}$의 생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92.4% 억제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때, 애기땅빈대는 ESW보다는 ESE의 경우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E는 저농도보다는 $500\;{\mu}g$/mL 이상의 고농도에서 NO, $PGE_2$, IL-6, IL-10,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애기땅빈대 ESE는 $500\;{\mu}g$/mL 농도 이상에서 염증매개물질 억제 보조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抗炎作用)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ngpyeHwadamTang)

  • 곽상호;신선미;김수민;김의일;이정은;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4-160
    • /
    • 2007
  • 목 적 : 이 연구는 천식, 기관지염, 폐렴, 결핵, 산후감모 등의 호흡기 질환에 사용되는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抗炎作用)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抗炎作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NO, TNF-${\alpha}$, IL-l${\beta}$, IL-6 생성량에 미치는 영항, TNF-${\alpha}$, IL-l${\beta}$, IL-6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OS, 염증cytokine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PGE$_2$ 합성에 미치는 영향 및 NF-${\kappa}$B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평가를 하였다. 결 과 :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은 MTT 분석을 통한 RAW 264.7 세포주의 생존력 평가에서 세포독성이 없었고,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서 NO 생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은 400 g/ml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 대해 TNF-${\alpha}$, IL-1${\beta}$, IL-6 생성량을 각각 41.86${\pm}$2.26 %, 61.11${\pm}$2.54 %, 55.33${\pm}$3.65 % 억제하였으며 TNF-${\alpha}$, IL-1${\beta}$ 및 IL-6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주에서 iNOS와 COX-2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그 농도에 따라 PGE$_2$ 생성량이 현저하게 억제하였고, LPS로 유도된 NF-${\kappa}$B 전사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iNOS와 염증Cytokine 유전자 발현을 하향조절 하였다. 결 론 : 이상의 실험을 통해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은 LPS로 유도된 macrophage에서 NO와 염증Cytokine 생성량을 억제하였고 murine macrophage에서 NF-${\kappa}$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염증Cytokine 유전자 발현을 하향조절 하였다. 이러한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으로 천식, 기관지염, 폐렴, 결핵, 산후감모 등의 호흡기 질환에 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항염활성과 Nitric Oxide 생성 저해물질의 생산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Wild Yeasts,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 and Rhodotorula graminis YJ36-1,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in RAW 264.7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Cytotoxic Effects)

  • 배상민;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6-34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산과 섬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항염 효과가 우수했던 Meyerozyma guilliermondii YJ34-2와 Rhodotorula graminis YJ36-1의 무세포 추출물들을 제조하여 대식세포 계열 RAW 264.7 세포에 대한 이들의 NO 생성 저해활성과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NO 생성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 M. guilliermondii YJ34-2와 R. graminis YJ36-1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 시 각각 51.6%와 81.4%를 보여 가장 높았고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도 1,000 mg/mL 처리시 각각 88.4% (${\pm}3.1$)와 77.1% (${\pm}0.3$)로 가장 높았다. 두 효모들의 무세포 추출물 처리에 따른 prostaglandin $E_2$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각각의 무세포 추출물을 1,000 mg/mL 처리했을 때,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생성량이 59.2 (${\pm}43.1$), 73.2 (${\pm}38.1$)%로 감소하였고 prostaglandin $E_2$의 생성량도 52.8 (${\pm}1.9$), 71.2 (${\pm}3.7$)%로 감소하여 이 두 효모들의 항균활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두 효모들의 NO 생성 저해물질 최적 생산조건을 조사한 결과 M. guilliermondii YJ34-2를 yeast extract-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무세포 추출물이 가장 높은 51.6 (${\pm}0.3$)%의 NO 생성 저해율을 보였고 R. graminis YJ36-1를 YPD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81.4 (${\pm}1.3$)%의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2003년 여름 동안 서울 지역에서의 오존의 광화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손장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193-195
    • /
    • 2005
  • 광화학측정이 이루어진 기간 중 일사량이 강한 날에 관측 오존의 농도와 광화학 모델의 광화학 정류상태로 추정된 오존의 농도는 아주 밀접한 근접성을 보였다. 광정류 상태로부터의 이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측정 지역 근처에서의 지역적 NO$_{2}$ 생성원의 존재, 지역적 NO 또는 오존의 소멸, 비 정류상태 조건, 또는 측정의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존의 생성 속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화학반응은 NO와 HO$_{2}$의 화학반응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