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MF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3초

Dead Angle Reduction of Single-Stage PFC Using Controllable Coupled Inductors

  • Tavassol, Mohammad Mehdi;Farzanehfard, Hosein;Adib, Ehsan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5권1호
    • /
    • pp.78-85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new structure of single-stage flyback power factor correction (PFC) converter with a controllable coupled negative magnetic feedback (NMF) winding. NMF winding is used to reduce the bulk capacitor voltage at high line voltages and light loads. However, it would cause line current distortion at zero crossing condition. In the proposed circuit, a series winding is used with NMF inductor to eliminate the NMF inductor at low line voltages. As a result, the dead angle of the input current, near zero voltage crossing, is eliminated and the power factor is increased. The presente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PFC converter confirm the integrity of the new idea and the theoretical analysis.

시간 변화에 따른 사전 정보와 이득 함수를 적용한 NMF 기반 음성 향상 기법 (A NMF-Based Speech Enhancement Method Using a Prior Time Varying Information and Gain Function)

  • 권기수;진유광;배수현;김남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6호
    • /
    • pp.503-511
    • /
    • 2013
  • 본 논문은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NMF)를 이용한 음성향상 기법을 다루고 있다. 음성과 잡음에서 적절한 훈련을 통해 각각의 기저(basis) 행렬을 구하고 이 행렬들을 이용하여 두 음원을 분리 하는 것이다. 이 때 훈련으로부터, 시간 흐름에 따른 기저 사용량의 변화량을 각기 독립적인 가우시안 모델들로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매 시간 프레임에서 주어진 모델들에 일정 가중치만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매 시간 얻은 NMF의 부호화 행렬의 결과를 이전 시간 프레임의 부호화 행렬 값과 평활화(smoothing) 과정을 수행하였다. 향상 과정에서는 Log-spectral Amplitude를 이용하여 이득(gain) 함수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PESQ 값을 지표로 사용하였고, 기존의 NMF를 이용한 음성 향상 보다 이 두 과정을 적용한 방법이 뛰어남을 확인 했다.

저차원 선형 모델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협력적 여과 (A Hybrid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a Low-dimensional Linear Model)

  • 고수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0호
    • /
    • pp.777-785
    • /
    • 2009
  • 협력적 여과는 특별한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협력적 여과 기술은 사용자 기반 접근 방식과 아이템 기반 접근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많은 상업적인 추천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차원 선형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 기반과 아이템 기반을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협력적 여과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저차원 선형모델 중 비음수 행렬 분해(NMF)를 이용하여 기존의 협력적 여과 시스템의 문제점인 희박상과 대용량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협력적 여과 시스템에서 NMF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를 의미 관계로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나 사용자-아이템 행렬의 평가값에 따라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모델 기반의 방법이기 때문아 계산 과정이 복잡하여 동적인 추천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방법에서는 NMF에 의해 군집된 그룹을 대상으로 TF-lDF를 이용하여 그룹의 특징을 추출한다. 또한, 아이템 기반에서 아이템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호정보량(mutual information)을 이용한다. 오프라인 상에서 훈련집합의 사용자를 군집시키고 그룹의 특징을 추출한 후, 온라인 상에서 추출한 그룹의 특징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가장 최적의 그룹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를 분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동적인 추천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 기반과 아이템 기반을 병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도를 높인다.

국내 합성피혁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디메틸포름아미드의 공기중 농도와 생물학적 노출지표간의 상관성 평가 (Assessment of correlation between markers of ambient monitoring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imethylformamide for workers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 황양인;이미영;정윤경;김은아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315-325
    • /
    • 2013
  • The possibility of acute hepatotoxicity caused by dimethylformamide (DMF) requires regular monitoring of the workers who are using DMF to prevent the occupational disease. The authors performed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involved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DMF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rs of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MF. The authors monitored 142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DMF from 19 workshops in the synthetic leather and ink manufacturing industries located in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 on work procedure and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classified by exposure type. DMF in air samples collected using personal air samplers, diffusive and active sampler,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with DB-FFAP column (length 30 m, i.d. 0.25 mm, film thickness 0.25 ${\mu}m$). Urinary N-methylformamide (NMF)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at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 with DB-624 column (length 60 m, i.d. 0.25 mm, film thickness 1.40 ${\mu}m$). Geometric mean (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of the ambient DMF was $6.85{\pm}3.43$ ppm, and GM and GSD of urinary NMF was $42.3{\pm}2.7$ mg/L. The ratio of subjects with DMF level over 10 ppm was 44%, and those with urinary NMF over 15 mg/L was 87%.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was $4.61{\pm}2.57$ mg/L/ppm and $9.50{\pm}2.41$ mg/L/ppm, respectively, with or without respirator. There was seasonal differences of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7.63{\pm}2.74$ mg/L/ppm in summer and $4.53{\pm}2.29$ mg/L/ppm in winter. The urinary NMF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s to 10 ppm of ambient DMF was 52.7 mg/L (r=0.650, n=128).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route of exposure which resulted from the compliance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estimated contribution of respiratory and dermal exposure route for DMF was 48.5% vs. 51.5%.

Effects of Tropospheric Mapping Functions on GPS Data Processing

  • Won, Ji-Hye;Park, Kwan-Dong;Ha, Ji-Hyun;Cho, Jung-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21-30
    • /
    • 2010
  • In processing space geodetic data, mapping functions are used to convert the tropospheric signal delay along the zenith direction to the line of sight dire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ree mapping functions by evaluating their effects on the tropospheric signal delay and position estimates in GPS data processing. The three mapping functions tested are Niell Mapping Function (NMF), Vienna Mapping Function 1 (VMF1), and Global Mapping Function (GMF). The tropospheric delay and height estimates from VMF1 and GMF are compared with the ones obtained with NMF. The differences among mapping functions show annual signals with the maximum occurring in February or August.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discrepancies among mapping functions, we calculated the maximum difference and the amplitude using a curve fitting technique. Both the maximum difference and amplitude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latitude of the site. Also, the smallest difference was found around $30^{\circ}N$ and the amplitudes increase toward higher latitudes. In the height estimates, the choice of mapping func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vertical velocity estimate, and the precision of height estimates was improved at most of the sites when VMF1 or GMF was used instead of NMF.

NMF 와 코사인유사도를 이용한 질의 기반 문서요약 (Query-Based Text Summarization Using Cosine Similarity and NMF)

  • 박선;이주홍;안찬민;박태수;송재원;김덕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3-476
    • /
    • 2006
  •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의 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방대한 정보로부터 정보검색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너무 많은 검색결과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하는 정보의 과적재 문제가 있다. 질의 기반의 문서요약은 정보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검색시간을 줄임으로써 정보의 과적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 (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과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질의 기반의 문서를 요약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질의와 문서 간에 사전학습이 필요 없다. 또한 문서를 그래프로 변형시키는 복잡한 처리 없이 NMF 에 의해 얻어진 의미 특징(semantic feature)과 의미 변수(semantic variable)로 문서의 고유 구조를 반영하여 요약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한 방법으로 문장을 쉽게 요약할 수 있다.

  • PDF

NMF를 이용한 영문자 활자체 폰트 분류 (Font Classification of English Printed Character using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 이창우;강현;정기철;김항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2호
    • /
    • pp.65-76
    • /
    • 2004
  • 최근 대부분의 문서들이 전자적으로 생성되고 많은 고문서들이 이미지 형태로 전자화되고 있다. 이미지 형태의 전자 문서들은 정보 추출과 데이터베이스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문서구조분석 방법과 문자 인식을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폰트의 구분 특성(font discrimination features)들이 폰트이미지의 공간적으로 지역적인 특징들에 기반함을 가정한 방법으로써, 객체의 부분기반 표현들을 학습할 수 있는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폰트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은 부분기반의 비지도 학습 방법(part-based unsupervised learn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전체의 폰트 이미지들로부터 각 폰트들의 구분 특징인 부분을 학습하고, 학습된 부분들을 특징으로 사용하여 폰트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실험결과에서 폰트 이미지들의 공간적으로 국부적인 특징들이 조사되고, 그 특징들이 폰트의 식별을 위한 적절성을 보인다.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문자인식, 문서 검색 시스템들의 전처리기로 사용되면, 그 시스템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NMF 기반 음악전사 (NMF Based Music Transcription Using Feature Vector Database)

  • 신옥근;류다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8호
    • /
    • pp.1129-1135
    • /
    • 2012
  • NMF를 이용하여 음악을 전사할 때 표적음악에서 특징행렬과 가중치 행렬을 동시에 추출해 내는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징행렬의 크기(특징벡터의 수)를 미리 알아야 할 뿐 아니라, 추출된 각각의 특징벡터들의 음고를 결정하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한다. 또 이 방법은 음악에 포함된 음고의 수가 커질수록 특징행렬을 정확하게 추출해 내기 어려워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준비한 다음 이를 실제 음악에 이용하는 방법을 실험한다. 먼저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 다음, 특징행렬을 추출한 피아노에서 연주된 음악, 그리고 제 3의 피아노에서 연주된 같은 음악을 각각 전사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또 이들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특징행렬과 가중치행렬을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도 실험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특징행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특징행렬과 가중치행렬을 동시에 추출하는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Stiefel 다양체에서 곱셈의 업데이트를 이용한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 (Orthogona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Multiplicative Updates on Stiefel Manifolds)

  • 유지호;최승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5호
    • /
    • pp.347-352
    • /
    • 2009
  • 주어진 비음수 데이터를 두 개의 비음수 행렬의 곱의 형태로 표현하는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는 비음수 데이터의 다변량 분석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비음수 행렬 분해는 집단화(Clustering), 특히 문서의 집단화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문서들로부터 구성된 단어-문서 행렬을 두 개의 비음수 행렬의 곱으로 분해할 때, 그 중 하나의 행렬에 직교 제한을 주는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Orthogona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방법을 다룬다. 현존하는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 방법은 직교 제한과 관련된 항을 더해주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Stiefel 다양체 위에서의 실제 기울기를 직접 구하여 곱셈의 업데이트 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다양한 문서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통해 새롭게 유도된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 방법이 기존의 비음수 행렬 분해나 기존의 비음수 행렬의 직교 분해보다 문서 집단화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NMF와 이미지 보정을 이용한 적조 이미지 인식 향상 (Enhancing Red Tide Image Recognition using NMF and Image Revision)

  • 박선;이성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31-336
    • /
    • 2012
  • 적조는 유해 조류의 이상 대량번식으로 바닷물의 색이 적색이나 황색으로 변하며, 어패류를 대량으로 집단 폐사시키는 등 바다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적인 자연현상이다. 국내에서는 90년대 이후로 어패류 양식장에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 적조 생물에 대한연구는 수산업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으로 적조 이미지를 인식하여서 유해적조를 판별하는 적조이미지 검색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200여종의 적조 생물은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인식을 위한 기준 특징을 추출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기존이 연구들은 몇 종류의 적조 생물만을 이미지 인식에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비음수 행렬분해)와 이미지의 회전각 보정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 이미지 인식 향상방법을 제안한다.